-
-
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조지 오웰 르포르타주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마지막을 덮자, 온 몸의 세포가 부르르 떨리는 것 같은 기이한 느낌이 수초 간 지속되었다.
물론 읽다가 중간에 그런 적도 있지만 다음 페이지가 너무 궁금하고 불안해서 (이 불안의 연원은 내가 아직 파악을 못했다) 떨리는 세포조차 애써 진정시키려 했고, 드디어 다 읽은 후에는 조금은 안정감을 갖고 입맛을 다실 만 했다는 얘기다.
이런 느낌은, 그러니까, 수줍게 고백하자면, 한 사람에게 반했을 때의 느낌이다.
그렇다, 나는 그의 세번 째 책을 읽고(동물농장과 나는 왜 쓰는가를 이전에 읽었었다), 급기야 오웰에게 반해 버렸다.
반했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나 분석은 저리 치워 놓은지 오래. 앞으로 뭐라 말하든 콩깍지가 씌인 채로 한동안, 그럴 것이다.
앞뒤 맥락을 모르고 그가 살아온 역사를 모르는 분들은 그다지 이해가 안 가겠지만, 내가 가장 반하게 된 대목을 꼽자면 아래와 같은 대목, 눈시울이 갑자기 뜨거워지고 심장이 막 두근거려서 훕 - 하고 숨을 멈췄다가 뱉어야 했다.
|
|
|
|
하지만 스스로 도저히 인정할 수 없는 일을 5년 동안이나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비슷하게 느낄 것이다. 번민 끝에 결국 얻은 결론은 모든 피압제자는 언제나 옳으며 모든 압제자는 언제나 그르다는 단순한 이론이었다. 잘못된 이론일지 모르나 압제자가 되어본 사람으로 얻을 수밖에 없는 자연스러운 결론이었다. 나는 내 자신이 단순히 제국주의에서 벗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인간의 모든 형태의 지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느꼈다. 나는 스스로 완전히 밑바닥까지 내려가 억압받는 사람들 사이에 있고 싶어졌다. 그들 중 하나가 되어 그들 편에서 압제에 맞서고 싶어졌다. 모든 걸 혼자서만 생각해야 했기 때문에, 나는 압제에 대한 증오심을 유난히 길게 끌고 갈 수 있었다. 당시에는 실패만이 유일한 미덕처럼 보였다. 조금이라도 자기 발전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한 해 몇 백 파운드를 버는 정도의 '성공'이라도 바란다면 비열한 짓 같았다.
내 마음이 영국의 노동 계급에게로 향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였다. |
|
|
|
|
내가 뻔하고 무책임한 생을 살고 비슷한 부류만 상대하며 살아선지, 지금까지 나는 한번도 자신이 '압제자'의 위치에 섰다가 이토록 통렬하고 냉철하게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변화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한 사람을 본 적이 없다. 실제로 피압제자의 생활 속으로 들어가보지 않으면 함부로 말할 수 없다고 '말'들은 하지만, 그말을 한 뒤 자발적으로 피압제자의 생활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사람도 거의 보지 못했다. 실제로 하는 경우가 있다면, 그런 경우엔 '압제자'가 아니라 '피압제자'가 되어본 경험이 한번이라도 있었던 경우이거나, 80년대 대학생들이 주로 했던 '교육과 계몽 후 혁명을 이뤄내기' 위한 도구로서 잠시 잠깐 겪어보는 일일 뿐이었다.
아니 아니, 모르겠다. 내 이야기만 하자. 그들은 그들대로 최소한의 노력이라도 했을테니. 해보지도 않은 내가 감히 말할 건덕지는 없다.
아무튼 여기 이 남자, 오웰은 그 체험을 글로 썼고 내가 글에서 확인한 것은 ...... 아이고야, 그렇게도 수백만번 회자되는 '진정성' - 이 단어를 얼마나 쓰기 싫은지 모른다, 지금도. 얼마나 이 단어에 진저리 나게 가짜 진정성이 판을 치는지, 쓰자마자 식상해지는 느낌이 너무 싫어서. 그래도 이 단어 밖에 없다. (오, 나의 그지같은 어휘력이여)
아무튼지간에, 읽으면서 나는 '긴 말 필요없다. 닥치고 일단 무조건 읽어야 한다' 라는 생각을 하다가 종내에는 오웰에게 또 설득당하여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 이 따위 '배운' 자의 말보다는 그저 노동하는 것, 몸을 움직이는 행위가 더욱 중요하잖아. 우선 배우고나서 행동해야 한다는 믿음 역시 우리가 학교나 배운 사람들의 문화에서 체득한 것일 뿐, 책 한 권 읽는다고 내가 변한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네.
어째야 할지 모르겠다. 당장은, 소위 '진보' 쪽에 계신 분들이 이 책을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적어도 뜨끔뜨끔 찔리기라도 할 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