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 가치에 대한 탐구
로버트 메이너드 피어시그 지음, 장경렬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10월
평점 :
무려 800매에 달한다.
나온 지는 30년이 훌쩍 넘었다.
제목은 잊혀진 부조리극을 연상시키는 동시에, 조금쯤은 해학적인 풍자를 기대하게 한다.
작가는 아이큐 170 천재로 화학을 전공했다가, 동양철학을 공부했다가, 저널리즘을 공부하고 영작문을 가르치다가, 다시 철학을 공부하고, 정신병원에 수용되어 전기치료 고문을 받아 기억을 약간 상실하는 고통을 겪은 뒤 이 책을 쓴다. 그리고 말한다. 122군데 출판사 중 121군데에서 거부당했지만 1군데에서 출간을 수락했고, 결국 책이 나오기 위해서는 단 한 군데의 출판사만 필요하지 않느냐고. 그러니 문제 될 것은 하나도 없었다고. 정신병원을 포함하는 약력에서 유추, 선병적 기질과 연약한 마음의 소유자일 거라는 짐작을 단호하게 거절하는, 자신만만한 말투다.
이런 기본 지식을 덥썩 안겨주는 책을 읽기 시작하자, 과연 초반에는 예상대로 무언가 압도당하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다가도 잠깐, 이런 문장을 읽으면 일종의 자기계발서 중 별난 개인 경험과 철학 개론을 버무려 그 수준을 높인 책일 뿐일까,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
|
|
|
만일 당신이 무슨 일을 서둘러 처리하려고 한다면, 당신은 그 일에 더 이상 애정을 쏟을 만큼 관심을 갖지 않고 어서 다른 일로 옮겨가기 바라고 있음을 의미한다. |
|
|
- 64쪽 |
|
그런데 곧이어 유령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서문에 작가가 조심스러우나 엄중하게 이 책 속의 나보다는 정신병원에 가기 전의 나였던 '파이드로스'가 사실은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더 많이 내포하고 있다는, 사회적이거나 반사회적인 경계는 - 정신병자는, 정말 미쳐서라기보다는 사실상 반사회적이라서 격리하는 경우가 많다 - 더 이상 긋고 싶지 않다는 식의 선언을 염두에 두게 하면서 머릿 속이 조금씩 뱅글뱅글 돈다. (그렇다, 눈치 챘겠지만 이 책은 자서전적인 소설이라고 해도 무방하게 쓰여 있다)
|
|
|
|
자연의 볍칙이란 유령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발명품이지. 논리의 법칙이나 수학의 법칙도 또한 유령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발명품이야. 이 세상의 모든 게 다 인간의 발명품이지. 심지어 이 세상의 모든 게 인간의 발명품이 아니라는 생각까지도 말이야. 인간의 상상력을 떠나 존재하는 세계란 그것이 무엇이든 있을 수 없지. 모든 게 다 유령인 셈이야. 고대에는 모든 게 다 그렇게 인식되었어. 세상을 이끌어나가는 것은 바로 유령들이지. 우리가 무언가를 본다면 바로 이 유령들이 우리에게 그것을 보여주기 때문이야. 모세, 부처, 플라톤, 데카르트, 루소, 제퍼슨, 링컨 등등이 모두 다 그런 유령이지. 아이작 뉴턴은 상당히 괜찮은 유령이야. 아마도 최상의 유령 가운데 하나일걸. 우리들의 상식이라는 것은 바로 이같은 유령들, 수천수만의 유령들의 목소리에 지나지 않아. 유령들, 그리고 더 많은 유령들의 목소리 말이야. 살아 있는 사람들 사이에 자리를 차지하려고 애쓰는 유령 말이야. |
|
|
- 77쪽 |
|
이 때만 해도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러나 책은 사회로 돌아온 나로부터 점점 그 옛날의 파이드로스에게 기억을 집중하고 강연을 하면서, 파이드로스가 고대희랍의 철학을 배우던 당시 소피스트를 궤변론자가 아니라 진정한 수사학을 정립하여 결국 후대에 크나큰 영향을 미친 철학가로 언급하는 부분에서 정점을 이루어 '대체 무슨 소리야!'라고 울부짖게 만든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그러니까 이런 식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플라톤의 철학을 비교한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비교한다. 그들이 수사학과 변증법을 가지고 놀았던 이야기를 한다. 문학에나 쓰이는 것이라고 경시되었던 수사학을 변호한다. 변증법을 미워한다. 변증법을 미워하는 논리는, 변증법이라는 자체를 또 변증해야만 하는, 그런데 그걸 변증할 도리는 아무 데도 없다는 원천적인 불가해 속에서 이론, 즉 합리화의 불가능성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파이드로스는 '질 質'에 미쳐 있었던 사람이다. 그가 말하는 질이란, 합리화나 이론과 상관이 없는 어떤 것이다. 아니 그걸 초월해야 하는 어떤 것일 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왜 파이드로스는 그토록 변증법을 비롯한 모든 철학에서 합일하는 이론적 철저함을 기대하고 그렇게 되지 않았다고 분개하는가. 이 모든 이론과 진술, 주장들이 결국 자신의 질을 망치고 세상을 퇴보 시켰다고 믿기 때문인가. 그렇다면 어서 철학을 내팽개치지 않고 거기 앉아 무엇을 하고 있으며 여적 이런 책을 쓰면서 독자에게 무엇을 기대한단 말인가 - 이딴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이 페이지마다 튀어나오니 도무지 내용에 집중을 하기 힘들었다.
책이 나왔을 때 논란이 무성했다는 후문이 적혀 있었다. 그럴 만도 하다, 끄덕이면서 마지막 장을 덮을 때 참으로 난감했다. 좋아할 수도 싫어할 수도 없는 묘한 책이니. 일독의 가치가 있는가도 고민스러웠다. 글쎄, 나는 그저 피어시그만큼 머리가 유별나게 좋지 않아 미치지도 않고 더 파고들 지적 능력도 되지 않아 차라리 다행이라고 할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