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
성석제 지음, 김경호 그림 / 창비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석제 아저씨의 산문집이 새로 나왔다.

아저씨를 '열렬히' 좋아하는 나는 이 책이 나온다는 소문만 듣고도

엉덩이가 들썩들썩했다. 모종의 관계 덕에 (아저씨하고는 아니지만) 문제의 신간이

음식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워낙에 능청맞은 묘사가 일품인 아저씨, 그 솜씨가 음식을 만나면 어찌 될지 너무 뻔하다.

재밌을 게 너무 뻔하다. 그래서 기대가 되었다. 그리고 역시!

 

 

음식을 먹는 일은 끼니를 때우는 것과 엄연히 다르다는,

사람과 음식의 그물망이 얼마나 촘촘한지 모른다는

어찌 보면 진부하고 어찌 보면 철학적인 이야기를

아저씨는 아주 감칠맛나게 들려 준다.

음식에 대해 몰랐던 정보들이 수두룩 한 것도 장점.

읽다보면 먹고 싶은 음식이 한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다이어트 중인 사람이라면 조심하는 게 좋겠다.

 

 

 

 

한토막 : <입속에 가득차는 환희 - 겉절이> 중에서

 

자, 이제 밥을 비벼 먹어보자. 비비는 그릇은 작은 그릇보다는 바가지, 함지 같은 커다란 용기가 좋겠다. 많이 비벼서 그릇으로 나누어 여럿이 먹는 게, 혼자서 적당한 그릇에 비벼먹는 것보다 훨씬 맛있다. 막 솥에서 꺼낸 밥, 뜨겁고 윤기 흐르는 밥에 숨이 죽은 겉절이를 섞는다. 숟갈을 두 개씩 양손에 나눠들고 '썩썩' 비빈다. 이 '썩썩'이 중요한 점이다. 황소가 풀을 먹을 때처럼, 싸리 빗자루로 마당을 쓸 때처럼 힘있고 숙달된 자세, 힘의 낭비가 없되 힘있게. 숨이 죽는 동안 삼투압작용으로 겉절이에서 나온 물이 비비는 일을 쉽게 한다. 다 비벼진 밥을 그릇에 나누어 담아 먹는다. 향긋한 맛. 이건 참기름의 공로다. 산뜻한 질감. 이건 배추의 공덕이다. 혀를 바쁘게 만드는 양감. 이건 밥의 은혜다. 더이상 구별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은 과식을 한다. 여럿이 둘러앉아 경쟁적으로 숟가락질을 하다 보면 양을 조절하기가 힘이 드는 데다 맛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