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멜로 이야기 마시멜로 이야기 1
호아킴 데 포사다 외 지음, 정지영 외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서점에는 책도 많다... 자기 계발서도 많다...

나는 원래 자기계발서 종류의 책은 사지도 않고 읽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들이 결국은 저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과 몇가지의 에피소드 및 우화로 이루어진 일반화되지 않은 내용을 진리인 것처럼 얘기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이유로 경영서적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책은 '사회에 적응한' 사람의 성공에 대해 얘기하지만 어떤 책은 '사회가치를 무시했던' 사람에 대해 얘기한다...  무엇이 정답일까? 결국은 유행이고 상황에 따라 다 다른 것이다... 즉, 내 생각에는 성공에는 '왕도가 없다'는 것이다...

얼마전부터 여기저기서 떠들어 대고 있는 '블루 오션'도 마찬가지다... 솔직히 책을 읽지는 않아서 긴 말할 처지는 아니지만 결국은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독과점적인 시장이 블루오션이라는 것 같은데... 솔직히 몇년 후 무슨 분야가 블루오션이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나? 다른 사람이 성공한 사례를 모아 성공의 원인을 설명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그게 독자와 딱 맞아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주식이나 마찬가지다... 주식가격이 떨어지고 올라가는 것을 후에 분석가들이 분석하는 건 쉽다... 하지만 어떤 분석가고 주가를 예측할 수는 없다...

즉, 내 개념으로는 자기계발서, 경영서적은 사실상 거의 사기에 가까운 책이다...

그런 관점에서 이 책은 사실 내가 읽을 가능성이 굉장히 희박했지만

1. 오랫동안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고...

2. 때마침 내 친구의 책상위에 놓여 있었으며...

3. 내용이 워낙에 짧았기 때문에 집어들게 되었다...

요새 책이 비싸지기는 했다... 이 정도 분량에 9,000원이라... 책이라는 것이 워낙 분량으로 따지기 힘든 바는 있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게 큰 활자체와 여백을 가지고 200쪽도 안되는 책이 9,000원인 것은 좀 비싸다는 생각이 든다...

내용으로 가보자... 일단 한 성공한 사장과 그 운전기사의 얘기를 적고 있다... 사장이 운전기사에게 성공에 관한 교훈을 주고 그 기사가 사장의 교훈을 따름으로써 성공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내용이다... 거기에 몇가지 사례를 적어 놓았다... 그 교훈이라는 것은? 한마디로 말하면 '미래의 큰 열매를 위하여 현재의 작은 열매를 포기하라'는 것이다...

이 책은 특히 내가 싫어하는 책의 전형을 밟고 있다...

1. 하나의 명제를 가지고 몇가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줌으로써 마치 그것이 만고의 진리인양 독자를 현혹한다... 정말 현재의 작은 열매를 먹지않고 참는 것이 미래의 성공을 담보하는가? 우리는 그렇지 않은 경험을 너무나 많이 가지고 있지 않은가?

2. 개인의 성공은 오로지 그 사람의 노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지배자의 논리를 펴고 있다... 물론 어려운 상황에서도 열심히 노력하여 성공을 이룬 사람도 있다... 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어쩔 수 없는 사회구조적인 문제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책이 그런 것까지 다룰 수는 없겠지만 이 책대로라면 힘들게 살고 가난하게 사는 사람들은 모두들 자기의 잘못이라는 것 아닌가? 이게 바로 부자들의 논리다... 너는 노력하지 않아서 불행하고 나는 노력해서 행복하니까 네 자신의 삶을 후회하고 지금부터 노력해 보라는 것이다...

3. 책 여백이 참 넓기도 하다... 그리고 종이는 두껍고... 글씨는 크기도 하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에 이른 이유는 간단하다... 숱한 자기계발서 중에 읽기 쉽고 선물하기 좋게 예쁘게 편집되어 나왔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금언이라면 그다지 새로울 것도 없다... 대단한 내용이 들어 있지도 않고 읽으면서 새로운 내용을 깨닫게 되는 것도 없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가장 좋지 않은 점은 바로 누군지도 모르는 두 인물(사장과 운전기사)을 내세워 마치 저자의 말이 진실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 두 사람의 대화를 모은 우화책인 셈인데 마치 실존인물처럼 다루고 있다... (실존인물인지 어떤지는 모르겠다... 책에서는 그에 대한 어떤 정보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실용서에서 가상인물이라는 것은 독약과 같다... 왜냐하면 그 사람들은 글쓴이의 의도대로만 움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예전에 영어공부의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면서 베스트셀러가 된 '영어공부 OOO OOOO'를 쓴 모 저자는 그 책의 여자 주인공을 실존인물인것처럼 쓰면서 자신의 이론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그 책의 이론이 의심되면서 그 여자 주인공이 정말 실존 인물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고...(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는 모르지만...) 당시의 중론은 아마도 실존 인물이 아닐 것이라는 것으로 네티즌들의 의견이 모아졌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여자가 실존인물이면서 그 내용대로 그 여자가 정말 공부를 했다면 그 책은 정당성을 부여받을 수도 있지만  그 여자가 실존인물이 아니라면 그 책은 사기라는 것이 성립한다... (실제로 많은 독자들이 책의 내용대로 따라하다가 효과를 못 보고 그 여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라는 요구를 했다고 얼핏 읽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나는 그 책의 공부방법이 전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너무 독선적이라 문제이긴 하지만...)

인생에 있어서 진리를 찾고 싶으면 지금 당장 아무 교회든 절이든 성당이든 찾아가서 믿어라... 그 외에 진리는 없다... 이런 책은 한 권만 읽으면 정말 인생에 있어서 성공할 것같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다... 그냥 한 순간의 유행일 뿐이다... 처세술 책이나 경영서적 중에는 스테디 셀러를 본 적이 거의 없는 것 같다... 있으면 알려 주면 한 번 읽어 보도록 하겠다... 대신 출판된지 10년 이상 된 책으로 추천해 주면 고맙게 생각하겠다...

이 책 자체가 먹어서는 안되는 마시멜로가 이날까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르미안 2006-06-24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베스트셀러의 폐해에 대해 잘 꼬집어주셨네요.
뭐 나름대로 좋은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에겐 좀 잔인한 말처럼 들리겠지만요.
처세술이라는 것이 사기에 가깝다는 말에는 정말 동감합니다.
좋은글 잘 읽고 추천 한방 누르고 갑니다.
참, 갑자기 글을 읽다 보니 예전에 읽었던 '세상을 어둡게 보는 법'이라는 제목의 책이 생각나네요.. 하하.. 아무튼 님 덕분에 쓸데없는 곳에 돈 쓰지 않게 되었네요. 감사... ^^*
 
사이먼 싱의 암호의 과학
사이먼 싱 지음, 이원근 옮김 / 영림카디널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퍼즐이나 퀴즈를 푸는 건 참 흥미롭다...

특히 다른 사람들이 읽을 수 없도록 만들어 놓은 암호를 풀어서 다른 사람의 비밀을 훔쳐보는 재미는 정말 흥미진진할 것 같다...

하지만 일반사람이 그런 경험을 하게 될 경우는 거의 없어 보인다... 그래서 결국은 책을 읽어서 어떤 암호들이 있는지... 그리고 암호를 풀어 보는 간접적인 경험을 하려고 하게 된다... 사실 암호 부분에 특별히 관심이 있지 않고서는 이런 책을 열어 볼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지금까지 암호에 관한 개론서를 이책 포함해서 세 권, 암호에 관한 소설집 한 권을 읽었다... 맨 처음에 읽었던 '암호의 세계(이지북)'은 좀 지루하긴 했지만 그런대로 읽을만한 개론서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두번째로 읽었던 '튜링이 들려주는 암호 이야기(자음과모음)'은 사실 읽지 않는 편이 나았다고 생각한다... '암호 미스터리 걸작선(국일미디어)'는 암호에 관한 소설을 모아 놓았지만 좀 많이 실망하고 지루했다...

네번째 책이 바로 사이먼 싱(Simon Singh)의 '암호의 과학(영림 카디널)'... 바로 이 책이다... 책은 좀 큰 편이다... 그래서 들고 다니면서 읽기가 좀 불편했다... 그리고 종이도 두꺼워서 책의 두께에 비해 내용은 좀 짧은 편이다...

하지만...

내용은 최고다... 지금까지 읽었던 암호에 관한 책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알찬 내용을 담고 있다... 개론서 두 권을 읽고서도 잘 이해가 되지 않던 비즈네르 암호라든지 에니그마의 원리에 대해 정확히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다른 책에서는 그냥 은근슬쩍 넘어갔던 RSA 암호 체계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을 해 놓아서 굉장히 큰 소득이 있었다...

특히 책을 읽으면서 반가웠던 것은 나바호 인디언 암호라든지 관심분야 중의 하나인 이집트 상형문자의 해독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까지 실려 있어서 책을 읽는 재미가 정말 쏠쏠했다...

이전의 책을 읽으면서 원래 암호라는 것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가 보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는 그런 생각이 싹 사라졌다... 역시 어떤 사람이 책을 쓰는가에 따라 아무리 어려운 내용이라 하더라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것 같다...

게다가 이 책은 번역까지 훌륭해 보인다... 번역서를 읽었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훌륭하게 번역을 해 놓아서 읽는데 부담스럽지가 않았다... 때때로 영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더 어렵게 번역을 해 놓는 번역자들이 있어서 화가 날 때가 있는데 이 책은 참 읽기 편하게 번역이 되어 있다...

암호에 관해서 개론적인 공부를 하고 싶으면 바로 이 책을 집어들면 될 것이다...

암호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초강력 추천을 때려 주는 바이다...

-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주유하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호 미스터리 걸작선 세계추리베스트 18
0. 헨리 외 지음, 정태원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암호에 갑자기 필이 꽂혀서 한꺼번에 산 세권의 책 중 두권째이다...

제목부터 '암호 미스테리 걸작선'... 흥미를 돋우는 제목임에 틀림없다...

이런 류의 책을 사서 읽을 때의 독자들의 기대는 확실하다... 내가 조금 알고 있는 암호 지식으로 소설 속에 나오는 암호를 잘 풀 수 있을지 어떨지 알아 보고 싶고... 혹시라도 운이 좋으면 내가 암호를 풀면 더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독자의 지적인 욕구를 잘 충족시켜주기를 바랄 것이다...

아~ 하지만 이 소설은 그다지 나의 그런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는 않았다... 오히려 '소년탐정 김전일'같은 추리 소설물이 두뇌를 돌리는... 아니면 반전의 충격을 더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우선은 작품들이 너무 오래된 것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좀 하게 되었다... 다들 고전적인 작품들이라서 현대인의 입맛에 그다지 맞는 것 같지는 않다... 그리고 배경 상황이 잘 이해되지 않아서 그런지 책을 읽기가 쉽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그래도 걸작(이라고 하는) 소설들을 한꺼번에 모아서 읽을 수 있는 재미는 충분히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책 말미에 있는 역자의 해설은 꽤 읽을만 했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마음에 들었던 점은 요새 나오는 다른 책들에 비해 책의 거품을 빼고 판형을 작게 하여 저렴한 가격에 가지고 다니면서 읽을 수 있게 출판했다는 점에 점수를 좀더 주고 싶다...

일단, 이 책은 보면서 퍼즐을 풀 수 있는 여건은 별로 없다... 그냥 쭈욱 따라 읽어 나가는 책이다... 즉, 암호를 풀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주지 않고 각 등장인물이 암호를 푸는 과정을 보여주고 그래서 생긱는 일련의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사실 암호를 풀어내는 등장인물들의 추리가 꼭 그렇게 타당해 보이지는 않는다는 점이 약간의 불만이긴 하지만 그래도 일종의 미스테리 소설로서 읽어볼만한 가치는 충분할 듯 싶다...

책에 나오는 아날로그 암호들에는 낭만이 있다... 하지만 요새 많이 다루는 암호들은 결국 디지털 암호로 보통 사람이 다룰 수 없는 분야이니... 아쉽기만 하다...

아쉬운 점은 역시 포우의 황금충이 없다는 것이고... 최고의 걸작은 역시 홈즈의 '춤추는 인형'이다... 그외에 다양한 암호를 볼 수 있지만 직접 풀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말 것...

스스로 암호를 풀면서 책을 읽고자 하는 사람은 실망...

여러가지 암호게 관한 단편을 읽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

-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주유하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튜링이 들려주는 암호 이야기 + 독서활용노트 세트 - 과학자들이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이벤트
오채환 지음 / 자음과모음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요새 들어서 갑자기 관심이 많아진 분야가 있다... 바로 암호학이다...

어려서부터 워낙 이것저것 읽기는 했어도 깊이는 없었는데 역시 갑작스레 아무거나 관심이 생기는 건 어쩔수 없는 병인듯 싶다...

하여간 관심이 생기면 읽어야 하는 것도 큰 병... 때마침 적립금도 있고 해서 검색을 해서 암호에 관련된 책 세권을 한 번에 주문했다...

이 책을 가장 먼저 읽은 건 이 책이 가장 얇아서였다... 큰 의미는 없다... 원래 기존에 암호에 관한 책을 한 권 가지고 있었고... (암호의 세계 이지북) 좀 다른 방식의 책을 기대했었는데 그다지 다른 점은 없었다... 단지 다른 점이라고 하면 '청소년을 위한' 책이었다는 것이다... 즉... 수능용 책이었다...

원래 책을 살 때 수능용 책은 절대 사지 않는다... 그런데 책표지가 워낙 작게 보여서 알 수가 없었던 거다... 게다가 독서활용노트까지 샀다...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는 이런 종류의 책을 볼 수가 없어서 저 독서활용노트가 뭔지 잘 모르고서 같이 주문한 것이다...

책은 대화형이다... 튜링이 세 아이(아마도 고등학생인 듯한...)에게 암호에 대해서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는 것이다... 일단 이 세 아이의 이름도 평범하지 않다... 지금 책이 집에 있어서 기억이 안나는데 한 명의 이름에 미칠광(狂)자가 들어 있었다... 즉, 무슨 의도로 이름을 지은 것인지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필자의 이상한 의식에 휩싸인 이름이다... 처음부터 심상치 않았다...

전문이론서적(이 책은 이 분야로 넣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의 경우는 얇은 책일수록 오히려 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두꺼운 책들은 설명을 자세하게 하고 실례를 풍부하게 들기 때문에 시간은 들어도 이해하기가 쉽지만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는 얇은 책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오히려 더 힘들다...

'청소년을 위한', '대화형' 책의 딜레마이다... 저런 책일수록 전혀 쉽게 읽히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 책도 그 전철을 피해가지 못한 것이... 암호에 관한 쉬운 부분에 대해서는 친절하게 설명을 해 주는 듯하지만 실제로 암호의 구조를 이해하는 어려운 부분에서는 어려운 이론을 그냥 막 써내려가고 있다... 그리고는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전문용어를 자세한 설명도 없이 사용하고 있어서 뒤에 가서는 도저히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지경이 되고 말았다...

즉,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일보 서평에는 이 책을 고등학생도 아닌 어린이 책으로 분류하고 있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317760§ion_id=103&menu_id=103

아마도 읽지도 않고 쓴 서평일 것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대화형진행에도 문제가 많다... 도대체 이런 책들을 왜 대화형으로 쓰는지 잘 모르겠다... 읽기 쉬워 보이는 효과... 그 이상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게 내 생각이다...(혹시 강좌나 강의, 토론 등 실제 대화를 책으로 내는 경우는 제외한다...)

나쁜 말만 쓰긴 했지만 굉장히 나쁜 책은 아니다... 단지 나한테 안 맞았을 뿐이다... 편집이라든지 하는 점은 깔끔하고 양이 적으니까

암호에 대해 크게 이해할 필요없이 그냥 대충 읽어 치우고 개념만 어렴풋이 잡아도 상관없는 사람은 읽어도 무방...

혹시라도 암호학에 관심이 생겨서 집중적으로 이해해 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비추... 그리고 독서노트는 절대로 사지 말 것...

마지막으로 내가 보기에 좀 심각한 오류가 두 군데 있는 것 같어서 출판사에 가서 문의를 해보려고 하니 가입을 해야만 글을 쓸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책 오류 지적해 주러 일부러 귀찮게 갔는데 내 개인정보까지 적어 주면서 글을 써 줄 필요가 있을까?

-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주유하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빈치 코드'를 쓴 Dan Brown의 다른 작품인 '천사와 악마'에 나오는 앰비그램들이다...

이전에도 앰비그램에 관심은 있었지만 이 것들을 보고 정말 기가 막히다는 생각을 했었다...

모두 John Landon이라는 디자이너의 작품...

* ambigram : An ambigram, also sometimes known as an inversion, is a graphical figure that spells out a word not only in its form as presented, but also in another direction or orientation (from Wikipedia)

Angels & Devils... 로고...
 한국어판 표지에는 없었던 것으로 기억난다...
 
 



earth... air... fire... water...

대주교가 한 명씩 죽을 때마다 그 몸에 새겨지는 앰비그램들이다. 처음에 봤을 때는 어떻게 저런 것들을 그려낼 수 있는지 신기하기만 했다. 그리고 하나하나 앰비그램이 나올 때마다 전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 이것이 '일루미나티의 다이아몬드' 위의 4개의 문자를 완벽하게 앰비그램으로 만들어 놓았다... 아마도 Jonn Langdon의 앰비그램이 없었더라면. 천사와 악마'의 재미있는 볼거리 중 하나가 없어졌을 것이다...

그러고 보니 '천사와 악마', '다빈치 코드'의 주인공 이름도 랭던(Robert Langdon)이다. 시 디자이너의 이름을 따서 주인공 이름을 지은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다음은 랭던의 다른 작품들이다...


continuity



energy



future



orientation



water falls

홈페이지(http://www.johnlangdon.net/index.html)를 보면 자신을 아티스트이며 그래픽 디자이너라고 소개를 하고 있다... 어쨌든 멋진 작업들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저렇게 다양하게 나오고 많이 나오는 걸 보면 뭔가 앰비그램을 만드는 특별한 요령이 있을 법도 하다...
 
아니면... 그저 디자이너의 통찰력과 아이디어로 가능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도 한 번 만들어 보고 있는데... 머리에 쥐날 것 같다...
 
-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주유하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