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함을 가리키는 아카드어는 ‘엘루‘인데, 이것은 ‘청결, 찬란, 광채‘라는 뜻이다. 이 말은 헤브라이어의 ‘엘로힘‘과 연결되는데, 이 말은종종 간단하게 ‘신‘으로 번역되지만 원래는 신이 인간에게 의미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요약한 말이다. - P89

이스라엘 사람들은 신성한 전사의 지원이 필요했고 야훼를 자랑스러워 했지만, 다수는 다른 형태의 신성함도 원했다. 이는 결국 야훼만을 섬기고 싶어하는 소수와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 P92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스인은 눈부시게 찬란한 문명에 이르렀지만, 결코 비극의 감각을 잃지 않았으며, 이것이 그들이 축의 시대에 종교적으로 가장 크게 기여한 점으로 꼽히게 된다. - P101

그리스인은 아무리 강해져도 절대 자신이 자기 운명을 책임진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스 문명이 절정에 이른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서도 그들은 여전히 사람들이 운명의 여신들에게, 심지어 올림포스의신들에게 강요당해 어떤 행동을 하며, 범죄가 발생하면 그것이 그 오염된 환경에 살고 있는 무고한 사람들에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화를 미친다고 믿었다. - P107

축의 시대에 네 지역에서 창조된 종교 전통은 모두 공포와 고통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이들 모두 이런 고난을 부정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고난을 완전히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깨달음의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었다. - P110

기원전 9세기에 아합의 결혼은 정치적 대성공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이스라엘 왕국은 이 지역과 통합을 이룩하고 다마스쿠스, 페니키아, 모아브 등과 대립하면서 버티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아합이 한 일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솔로몬 또한 외국의 공주들과 외교적인 결혼을 하고, 왕실 신앙에 그들의 신들을 포함시켰으며, 예루살렘 바깥 언덕에 그 신들을 위한 신전을 지었다. - P115

야훼는 전사신이었다. 그는 농업이나 다산의 전문가가 아니었다. 따라서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풍년을 보장받으려고 당연하게 바알과 아나트의 고대 제의를 거행했다. 바알은 땅을 비옥하게 하는 신이었기 때문이다. - P117

예언자는 미래를 예언하는 사람이 아니다. 영어의 prophet이라는 말은 그리스어의prophetes, 즉 신을 대신해서 말하는 사람에서 왔다. (저자 주) - P117

고대 중동신학에서 엘은 각 민족마다 신을 하나씩 임명했다. 야훼는 이스라엘의 신성한 자였다. 케모시(그모스)는 모아브의 신성한 자였다. 밀콤(밀곰)은 암몬의 신성한 자였다. - P118

엘리야는 이스라엘에 유일신을 섬길 것을 제안하여 전통 종교에 새로운 긴장을 불러일으켰다. 바알을 무시한다는 것은 중요하고 귀중한 신적 자원을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 P119

엘리야와 바알의 예언자들의 싸움에서 이스라엘과 유다의 새로운 갈등이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경쟁하는 신들과 벌이는 살벌한 경합이 예언자들이 지닌 영성의 특징이 되었다. - P121

중국인은 자연 질서를 초월하는 신에게는 결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엘리야가 경험한 신, 즉 세상과 완전히 분리된 신 이야기를 들었다면 당황했을 것이다. 하늘과 땅은 상호 보완적이었다. 신성하고 동등한 동반자 관계였다. - P127

왕은 더할 수 없이 높은 권력을 지녔지만,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평생 매 순간 천상의 모범과 일치해야 했다. 그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느냐 싫어하느냐는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왕의 역할은 자신의 힘으로 대외 또는 국내 정책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그냥 길을 따르는 것이었다. - P131

제의는 여전히 아름답게 거행되고, 여전히 참여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지만, 소수의 현실적인 비평가는 제의의 마법적인 효능에 대한 믿음을 잃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런 점증하는 위기에 맞서 중국인은 제의를 약화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하는 쪽으로 대응한다. - P138

인도에서 축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현대 세계에서 제의는 종종 노예적인 순응을 장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브라만들은 그들의 학문을 이용하여 외적인 제의와 신들로부터 해방되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자아라는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냈다. -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