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가 내리던 여름날 만났을 때 우산이 없는 척을 했고 우산 하나를 나눠 쓰면서 살짝 팔을 잡았다. 우리가 만난, 수도 없는 날들 중 하루 어느 날 밤에는 상수의 바에 앉아서 진토닉을 마셨다. 신청곡이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그 사람은 헤드윅의 디 오리진 오브 러브를 신청했고 난 헤드윅의 감독이 한국에 와서 콘서트를 했을 때 혼자 가기도 했다며 내가 이 노래를 더 좋아한다며 토로했는데 사실 노래보다 더 좋았던 건 그 사람이었다. 말하지 않았지만 알아차릴 정도로 커져버린 내 마음 때문에 우리는 돌이킬 수 없이 멀어졌다. 한 동안 보지 않다가 내가 스페인에 가기 전 열었던 생일파티에 와서는 헤드윅 ost 시디를 선물로 주었다. 나는 노트북에도 cd플레이어가 없는데, 우리의 추억은 플레이할 수 없는 시디에 들어있는 음악처럼 묻어두어야겠구나.. 그렇게 그 사람에게 안녕을 고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기억은 그렇게 많지 않았지만 제목인 “겨울”과는 상관없이 자꾸 머릿 속에 여름이 지나갔다. 그 중 병렬독서를 하던 <황금방울새>의 시오와 보리스의 여름도 있었고.. 위에 언급한 나의 여름날 짝사랑도 있었다. 손을 뻗어도 이젠 부여잡을 수 없게 된 어린 날의 기억들은 사라져가고 아련한 느낌만 남았는데 이 책은 어린날의 불안한 기분을 기억하게 만든다. 괴물: 대체 왜 그런 사람에게 빠진걸까 싶었지만 나 역시 그런 애틋함과 트라우마를 동시에 주는 사랑을 해 본 적이 있기 때문에.. 어느 겨울 다섯 번의 화요일: 마지막에 퀼트 이불을 빠는 장면이 왜인지 계속 기억에 남는다. 도르도뉴에 가면: 가장 좋았던 단편. 해피엔딩과 새드엔딩이 교차하며 지나간다. 독자로서는 평생 알 수 없는 새드엔딩의 스토리가 궁금하기도 하다. 하지만 묘사되지 않은 그들의 마음을 상상만 해도 마음이 저민다. 북해: 이 단편에서는 힘을 살짝 뺀다. 휴가 왔음에도 일상의 지리멸렬함이 갑자기 등장. 엄마의 마음이란 다 그런걸까..타임라인: 마지막 장면에 모두가 다 모인 장면은 희곡의 클라이막스 같다. 조금 작위적이었지만 재미있었다. 시애틀 호텔: 하아.. 이런 이별이라니. 차라리 평생 그리워하는 게 낫겠지만 이런 종지부가 필요한 관계도 있다. 깨끗하게 묻어두고 행복해라 주인공. 네가 과거의 늪에서 빠져나와 빛을 향해 휘적휘적 나아가는 동안 아마 상대방은 자기혐오의 늪에 빠져 그저그런 삶을 살게 될거야.
헉.. 리뷰 보고 재밌겠다 싶어서 샀는데 기시감이.. ㅠㅠ 읽은 책이다! 아마 이북 도서관에서 읽었나봄 ㅠ 이래서 리뷰를 꼬박꼬박 남겨야 하나봄.
주말 마무리로 지앤티! + 선물 받은 라임 슬라이스.
책이 재미있으려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기억들이 있어야 하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해서 그립고 아련한 느낌이 있었는데 대상이 없는 그리움이었기에 허상을 쫓는 느낌이었다. 캐릭터 누구에게서도 누군가를 떠올릴 수 없긴 했지만 오히려 내가 주인공이 되어서 그들을 그리워하는 기분이 종종 들긴 했다.. 그러나 나랑 주인공의 접점도 그렇게 많지는 않았기 때문에 그마저도 머나먼, 잡을 수 없는 그 무언가. 바로 이 때문에 이 책이 실제로 존재한 황금방울새를 모델로 한 그림을 중심으로 한 것은 아이러니하고 재미있는 부분이다. 이 작은 새는 손을 뻗으면 바로 잡힐 것처럼 사실적이고 생동감있다. 하지만 이렇게 진짜처럼 보이는 새는 400년 전에 그려진 그림이라 잡을 수 없다. 책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올리버 트위스트의 다저를 떠올리게 하는 보리스는 어린시절의 트라우마에 갇혀 자기파괴적 욕망의 사슬에 묶여있는 주인공을 자유롭게 해주었다고 본다. 보리스가 나의 친구가 아니라 다행이었지만 또한 나의 친구이기를 강렬하게 원하기도 했다.
밤늦게 이 책을 피지 말라고 띠지에 경고문이 적혀 있었는데 나의 미천한 자제력을 모른척 하고 그냥 읽다가 새벽까지 완독해버린 사람 저예요.. 워낙 등장인물이 적고 작가에게 속지 않겠다 경계하면서 보니 대체 어찌된 일인지는 중반부부터 대략적으로 상상 가능했다. 하지만 속속들이 드러나는 디테일한 부분은 역시 유추 불가능했기에 놀라움은 독자의 몫. 선물 받아서 읽었는데 취향저격 선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