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겨울 다섯 번의 화요일
릴리 킹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우가 내리던 여름날 만났을 때 우산이 없는 척을 했고 우산 하나를 나눠 쓰면서 살짝 팔을 잡았다. 우리가 만난, 수도 없는 날들 중 하루 어느 날 밤에는 상수의 바에 앉아서 진토닉을 마셨다. 신청곡이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그 사람은 헤드윅의 디 오리진 오브 러브를 신청했고 난 헤드윅의 감독이 한국에 와서 콘서트를 했을 때 혼자 가기도 했다며 내가 이 노래를 더 좋아한다며 토로했는데 사실 노래보다 더 좋았던 건 그 사람이었다. 말하지 않았지만 알아차릴 정도로 커져버린 내 마음 때문에 우리는 돌이킬 수 없이 멀어졌다. 한 동안 보지 않다가 내가 스페인에 가기 전 열었던 생일파티에 와서는 헤드윅 ost 시디를 선물로 주었다. 나는 노트북에도 cd플레이어가 없는데, 우리의 추억은 플레이할 수 없는 시디에 들어있는 음악처럼 묻어두어야겠구나.. 그렇게 그 사람에게 안녕을 고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기억은 그렇게 많지 않았지만 제목인 “겨울”과는 상관없이 자꾸 머릿 속에 여름이 지나갔다. 그 중 병렬독서를 하던 <황금방울새>의 시오와 보리스의 여름도 있었고.. 위에 언급한 나의 여름날 짝사랑도 있었다. 손을 뻗어도 이젠 부여잡을 수 없게 된 어린 날의 기억들은 사라져가고 아련한 느낌만 남았는데 이 책은 어린날의 불안한 기분을 기억하게 만든다.

괴물: 대체 왜 그런 사람에게 빠진걸까 싶었지만 나 역시 그런 애틋함과 트라우마를 동시에 주는 사랑을 해 본 적이 있기 때문에..

어느 겨울 다섯 번의 화요일: 마지막에 퀼트 이불을 빠는 장면이 왜인지 계속 기억에 남는다.

도르도뉴에 가면: 가장 좋았던 단편. 해피엔딩과 새드엔딩이 교차하며 지나간다. 독자로서는 평생 알 수 없는 새드엔딩의 스토리가 궁금하기도 하다. 하지만 묘사되지 않은 그들의 마음을 상상만 해도 마음이 저민다.

북해: 이 단편에서는 힘을 살짝 뺀다. 휴가 왔음에도 일상의 지리멸렬함이 갑자기 등장. 엄마의 마음이란 다 그런걸까..

타임라인: 마지막 장면에 모두가 다 모인 장면은 희곡의 클라이막스 같다. 조금 작위적이었지만 재미있었다.

시애틀 호텔: 하아.. 이런 이별이라니. 차라리 평생 그리워하는 게 낫겠지만 이런 종지부가 필요한 관계도 있다. 깨끗하게 묻어두고 행복해라 주인공. 네가 과거의 늪에서 빠져나와 빛을 향해 휘적휘적 나아가는 동안 아마 상대방은 자기혐오의 늪에 빠져 그저그런 삶을 살게 될거야.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5-06-23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 ㅑ ~ 이런 감성적인 리뷰 넘나 제 스타일입니다. 과거의 어느 여름날 짝사랑을 소환하다니요. ㅋ ㅑ ~ 술 한잔 필요하네요.

잠자냥 2025-06-23 22:03   좋아요 0 | URL
먹고 있으면서…..😝

다락방 2025-06-24 09:34   좋아요 0 | URL
안마셨거든요?! 흥!!

Forgettable. 2025-06-24 10:29   좋아요 0 | URL
돌이켜보니 짝사랑은 다 가을에 해서 소환하는데 애먹었습니다 ㅋㅋㅋㅋㅋ 오늘은 술 한잔 드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