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엔 개념없단 말을 들어도 좋았다. 그 말에 애정이 담긴 어투가 감도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고쳤으면 좋겠다, 라는 것이었지만 굳이 고치지 않아도 나를 내치지 않을 것이라는 자만이 내겐 있었다. 그렇게 몇몇 사람은 남았고, 몇몇 사람은 떠났다. 떠나는 사람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보며 막말하는 버릇을 고쳐야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몰랐기도 하거니와 잡지 않아도 친구들은 많았으니 절박하지는 않았다.
솔직한 게 매력이라는 말을 자기 방어의 방패이자 무기로 삼았던 것 같다. 의견이 다르거나, 상대방의 말에 공감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곧바로 반격하곤, 반격이라고 생각도 않고, 뭐 잊어버렸다. 가끔은 그 반격의 말이 상당히 가시돋혀있는 동시에 맞는 말이라 상대방의 의표와 자존심을 찔렀던 것 같기도 하다. 듣기 싫은 현실을 집어주는 자극적인 대화에 지인들은 익숙해져서 즐기기도 했지만, 마음 약한 이들은 견디지 못했나보다. 정말로 견딜 수 없었던 것은 나의 의도가 상처주려고 손톱을 세우고 있었던 것이 아니어서일 것이다.
싫으면 안보면 그만이다. 이런 면모를 좋아해주거나, 무시하고 장점만 봐주는 사람은 얼마든지 있으니까. 그런데 얼마전 나와의 대화가 지금까지 스트레스였다는 말을 들어버렸다. 그것도 온라인에서의 인연에게. 정말 다정하고 친절하길래 혼자 오바하며 온갖 친한척 다 하던 사람에게 대놓고 그런 말을 듣다니. 위에 보라색으로 쓴 것처럼 쿨한척 해왔던 가면이 여지없이 허물어졌다. 쪽팔리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충격적이기도 하고 공황상태에 빠졌다. 와, 헤어나오기 쉽지 않을 것 같다. 댓글 하나 남기면서도 이 사람이 나를 싫어하게 될까봐 몇번을 고치고 있는 나를 발견할 때의 비참함이란.
어제 A와의 대화에서 '포장'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하며 생각을 더 해봤다. 직장 상사가 엄청나게 자주 '일을 할 때 향기를 남기라'고 하는데, 난 그 말이 그렇게 불쾌할 수가 없다. 일 잘하는 척을 하란 말인데, 이건 내 능력 밖의 일이라 일 자체보다 더 스트레스가 쌓인다. 그렇지만 자본주의 경쟁구도에서는 이 포장이라는게 생존수단이기때문에, 상사의 조언을 아예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굳이 경쟁구도가 아닌 온라인에서의 관계에서도 포장이 중요하지 않은가. 나의 personality에 포장을 하지 않은 건 내 잘못이니, 나는 그 사람이 내게 빈정거리며 화를 내도 미안하단 말뿐, 할 말이 없었다.
포장의 중요성을 느낀 건 더이상 나의 성정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는 말과 같다. 외모에 자신감이 없어서 화장을 짙게 하듯이, 앞으로 내 개성을 죽이고 더 괜찮은 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해 포장을 열심히 하게 될까? 포장은 둘째치고라도, 하고 싶은 말을 자신있게 할 수 있을지나 모르겠다. 여러모로 사춘기 시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