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현대성의 형성-문화연구 10
김진송 지음 / 현실문화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 또는 현대성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무얼까. 현재의 삶이 가진 모순들이 현대가 시작되며 함께 발아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싶어서? <현대성의 형성>은 '현실문화연구' 집단의 특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책이다. 문화의 각 영역을 통해 현대성을 찾아 나서는 한편, 그렇게 확보된 현대의 특성들을 통해 다시금 문화를 들여다보게 한다. 이러한 작업은 미시사의 열기만큼이나 익숙한 것이긴 해도 여전히 유효하고, 여전히 미진하다.
전체 7장으로 구성된 글들은 제목이 시사하는 바가 아주 큰데, 2장인 '물질과 과학의 시대', 3장인 '지식인, 룸펜과 데카당', 4장인 '유행과 대중문화의 형성' 등으로 현대성의 특성들을 잡아가고 있다.
그렇게 해서 드러난 '현대'는 '초점이 두 개 있는 타원형의 궤도와 같은 것'인데, 그 '초점의 하나는 새로움의 충동이며 서구화의 모델이며, 다른 하나는 낡은 전통에 대한 집착과 민족에 대한 주체의식'이다. 그것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지만 '끊임없는 거울 비추기의 허구적 주체'를 생산하는 일이기도 하다.
기실 현대란 '유행'을 낳고 '결핍'을 낳는 한편, 그간 경험해보지 못한 '지속적인 갈망'을 낳았다. 그것은 도시화가 불러온(또는 도시화로 집약할 수 있는) 거대화·기계화·익명화의 뒤에서 움직이면서, 보들레르에 의해 '권태로움'으로 명명된 유랑하는 현대인을 탄생시켰다. 카프카가 K.를 통해 그려냈고, 이상이 '권태'로 서울 거리를 헤맬 때, 현대는 극명하게 죽음에 한 발씩 다가서는 절박함을 띠기도 한다.
현대가 지금도, 앞으로도 문제가 될 때 좀더 해명되어야 할 부분은 한국의 자생적인 현대성의 줄기를 찾아내는 시도 같은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런다고 이식되고 모방된 문화적 짐을 털어낼 수 있겠는가(위험한 말이지만 '문명화' 자체가 '서구화'를 뜻하고 있음을 기억해주기 바란다). 근래 유행하고 있는 이민이나 초등학생 유학 등은 현대의 추구 속에 숨은 서구 모방의 단적인 예이다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현대란 '시기'가 아니라 '의식'이기 때문이다.
모방의 층위를 세분화하고, 모방의 쓴맛을 본 지식인의 모습을 드러내고, 서구의 시간(역사 또는 역사관)이 한국인의 의식을 어떻게 관장하게 되었는지 살피는 것 등이 현대의 의미를 밝히는 몇 가지 일이 될 것이다. 그것은 종속의 역사를 쓰자는 뜻이 아니다. 현대가 도래했을 때 열광한 선조들의 들뜬 열망과 갈등의 얼굴을 그려내자는 뜻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