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권택영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롤리타>는 문제작인 동시에 아니기도 하다. 이 소설은 나보코프의 영어 구사 능력이 그다지 왕성하지 못할 때 씌어졌다는 혐의를 벗기 힘들다. 얼마 전에 읽은 외신에 의하면 나보코프는 <롤리타>를 러시아어로 다시 썼으며, 그 작품은 영어로 쓴 작품과 큰 편차가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출간된 나보코프의 작품에 대한 연구서가 그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데 어느 정도까지 다른지, 이를테면 묘사가 완화(?)되었는지 어떤지, 문체가 좀더 사실주의적인지 어떤지 등이 궁금해진다.

어쨌든 이 작품이 의미가 있는 것은 금기 영역 중 하나인 근친상간에 대한 우회적인 일탈을 감행하고 있다는 점인데, 그것은 사실상 억압을 거부하고자 하는 정신적 노력이기보다는 본능에 충실하고자 하는 욕망의 추구에 가깝다. 단순히 비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좀더 속을 들여다보면 사랑의 본질인 소유와 집착에 대한 유희 가득한 조롱이기도 하니까 말이다.

흥미로운 것이 한 가지 있다면, 이 소설은 끊임없이 여행을 하면서(롤리타와의 사랑을 들키지 않기 위해!) 진행되는데 그 여정 자체가 상당히 흥미를 준다. 비슷비슷한 허름한 호텔에 투숙(연주 때문에 다니는 여행이라고 말하는 대목은 읽는 이를 아연케 한다)하며 외줄타기 같은 삶을 이어가는데, 그 은밀함이 왜곡된 사랑을 파국으로 몰고 간다. 누가 그랬던가. 기침과 사랑은 감출수록 나오게 마련이라고.

이 소설에서 읽는 이를 긴장시키는 부분은 많지만, 나중에 의붓아버지를 떠난 롤리타가 아버지에게 바라는 게 돈밖에 없는 때가 닥쳤을 때(!)는 특히 압권이다. 의붓아버지 앞에서 흘리는 롤리타의 눈물을 묘사하는 부분에선 고개를 돌려버리고 싶을 지경이었다. 나보코프의 의도는 그러한 파멸에 이르도록 이끈 의붓아버지의 악마성을 드러내는 데 있었을까. 이상하게도 그렇게 보이는 한편 이른바 팜므 파탈로서의 롤리타도 의도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뒤따른다.

문화적 코드 중 하나로 자리잡은 '롤리타 콤플렉스'는 기실 근친상간만큼이나 위험하지만, 인류의 역사가 이어지는 한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어린 소녀에게서 어떤 매력을 느끼는지 어떤지는 별로 궁금하지 않지만, 그와 비슷한 예를 들은 바도 있고, 본 적도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롤리타>의 경우처럼 그 파국이 엄청나지는 않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