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에세이
장영희 지음, 정일 그림 / 샘터사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장영희 교수의 글은 희망을 노래한다. <문학의 숲을 거닐다><생일><축복><내 생애 단한번>등 대부분의 책에서 살아가는 것은 축복이라고, 고통속에서 하루 하루를 살아 낸 힘든 투병생활을 끝내고 살아낸 것은 기적이라고 힘주어 이야기한다. 평범한 사람이라면 감당하기 힘든 고통속에 좌절하고, 원망하고 포기하는 심정이 될수도 있을텐데 그녀는 참 씩씩했다. 그런 에너지 넘치는 힘은 열정적인 삶, 긍정적인 마인드가 작용한 것이리라.
좀 더 오랜동안 우리 곁에서 희망을 안겨주는 글을 많이 읽게 해주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속에 그녀는 장애우의 편견이 없는 편안한 곳으로 영원한 삶을 누리게 되었다. 일상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놓은 그녀의 글을 읽다 보니 어느새 마음의 평안과 행복이 밀려온다.
살아보니까 친절과 사랑은 밑지는 적이 없다는 것, 책의 제목이 된 김종상 시인의 '어부' 라는 시, 뚱뚱한 친구에게 골키퍼를 시켜 함께 놀자고 말했다는 가수 김현철의 "괜찮아, 얜 골키퍼를 시키면 우리 함께 놀 수 있잖아!"하는 용기와 용서, 격려의 말 '괜찮아'의 표현, "새해에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손가락 하나만 움직이게 하소서."라는 구족화가이자 시인인 이상열씨의 새해 소망이 와 닿는다. 토마스 머튼 신학자의 "이 세상에서 오직 하나의 참된 기쁨은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것이고 '자기'라는 감옥에서 빠져 나오는 것"이라는 너는 누구냐? 하는 글도 마음에 든다.
신체 장애, 암 투병을 극복하는 힘은 본능의 힘으로 의지와 노력으로 가질 수 있는 힘이 아니라 내 안에서 저절로 생기는 내공의 힘, 세상에서 제일 멋진 축복이니 희망을 가지라고 이야기 했던 장영희 교수님. 지쳐 쉬고 싶을때, 무언가 내안의 작은 희망이라도 잡고 싶을때, 내 자신이 보잘것없고 하찮은 존재처럼 생각될때 읽으면 위로가 되겠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