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간혹 한 가지의 주제에 유달리 천착하는 작가들이 있는데
신경숙도 그렇고 공지영도 그렇고 김연수도 그렇다.
그래서 그들의 사상이나 경험에 쉬이 공감하지 않는 이상 전작주의를 실현하기란 꽤나 버겁다.
아. 그런데도 나는 또다시 김연수의 책을 집어들었다.
머리를 쥐어뜯어도 이유를 몰랐는데... 이런, 지큐 5월호를 보니 '나도?' 싶다.
문학평론가 조영일이 이 시대의 작가들을 신랄하게 평가한 대담이다.
조영일: 평균에 만족하는 예술은 예술이 아니다. 평균을 뛰어넘는, 한국문학을 선도해 나갈 수 있을, 패기와 실력을 겸비한, 시대와 치열하게 싸우는... 그나마 김연수 작품에서는 이런 의지가 좀 느껴진다. 워낙 못 써서 문제지."
GQ : 유종호의 하루키 비판에 대해, 그가 시대적 변화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따른 문학적 변화들은 전혀 인정하지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김연수에 대해 비평할 땐, 당신 역시 '문학적 변화'에 폐쇄적이었다는 인상을 받았다.
조영일 : 그 말은 김연수에게 요즘의 감각이 있다는 건가?
GQ : 김연수 소설은 많이 읽힌다.
조영일 : 김연수는 굉장히 복잡하게 쓴다. 인물을 자세히 묘사한다기보단, 앞뒤가 엇갈리고, 이 얘기 했다가 저 얘기 했다가...젊은 사람들에겐 참신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내 눈엔 엉성하게 보인다. 자기 글을 통제 못 해서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된 것 같다. 많이 읽혀봤자 일만 부나 이만 부다.
GQ : 그게 적나?
조영일 : 그것만으로 먹고살기 힘들다. 그리고 김연수의 인기는 작품보다는 인간적인 매력에 있는 것 같다.
GQ : 독자가 인간성을어떻게 아나? 그것 때문에 팔린다는 얘기는 황당하다.
조영일 : 김연수 소설의 핵심이 감상주의다. 그게 치기 어린 문학청년들하고 통하는 거다. 왜 떴는지 나도 이해가 안 간다. 어떤 평론가는 김연수가 굉장히 좋은 문장을 쓴다고 얘기하는데 동의할 수 없다. 유치한 표현들이 산재해 있다.
아이고 화들짝.
김연수에 대해 이렇게 평가를 하다니 싶다가도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들이 많다.
특히 김연수의 인기는 작품보다는 인간적인 매력에 있는 것 같다라는 저 말.
하지만 유치한 표현들이 산재해 있다는 표현은 거슬린다.
단언컨대, 그의 문장은 유치한 게 아니라 감성적으로 밀도가 높은 거다.
그게 유치하다면, 그 평론가는 연애를 안 해 봤다는 얘기.
아무래도 나는 김연수의 다음 작품도 의무적으로 사게 될 것 같다.
그리고 밑의 두 책도.
보들레르의 <파리의 우울>
푸시킨의 <대위의 딸>
아, 하나 더.
조영일이 썼다는 <한국문학과 그 적들>도 반드시 사보야아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