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참척'에 관한 것이다

'참척'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알게 된 단어다. 뜻을 찾아보니 한자 참척(慘慽)의 뜻은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이다. '참척'은 잠척(潛着)에서 온 말로 뜻은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골똘하게 씀'이다. 이 책은 참척(慘慽)을 겪고 그 일에 잠척(潛着)하며 살았던 기록이다.

  

박완서 작가님은 참척을 겪었다. 이 세상에 태어난 지 255개월밖에 안된 아들이 19888월에 죽었다. 아들의 죽음 이후에 '만일 내가 독재자라면 88년 내내 아무도 웃지도 못하게 하련만. 미친년 같은 생각을 열정적으로 해본다.'(17)라는 글귀처럼 고통과 절망, 그리고 분노 속에 지낸 박완서 개인의 내면 기록이다.

 

납득할 수 없고, 감당할 수도 없는 절망 속에서 세상을 향해 분노하다 신을 향해 포악을 떨다가도 '한 말씀만 하소서'라고 신의 도움을 간절히 구한다. 하지만 끝내 신은 아무 말씀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나서 '밥이 되어라' 사제관 응접실 탁자 위에 놓인 백자 필통에 쓰인 글귀를 보고 이전에 자신이 경험했던 일들 속에 신의 응답이 담겨 있었음을 깨우친다.

 

그리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박완서 작가는 조금씩 다시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녀가 '다시 글을 쓰게 됐다는 것은 내가 내 아들이 없는 세상이지만 다시 사랑하게 되었다는 증거와 다르지 않다는 것'(173) 이었다.

  

책을 내내 몇번이고 한숨이 터져나왔다. 가슴이 답답했다. 그리고 불현듯 '글을 쓴다는 것이 정말로 위대한 일이다'는 생각이 올라왔다. '주여 저에게 다시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주여 너무 집착하게는 마옵소서' (174) 이 고백이 내 입술에서 나오는 날이 오기를 감히 기도해본다.

만약 내 수만 수억의 기억의 가닥 중 아들을 기억하는 가닥을 찾아내어 끊어버리는 수술이 가능하다면 이 고통에서 벗어나련만. 그러나 곧 아들의 기억이 지워진 내 존재의 무의미성에 진저리를 친다. - P26


주여 저에게 다시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주여 너무 집착하게는 마옵소서.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