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날의 시작 박완서 소설전집 4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나는 맏며느리는 하늘이 내리는 거라고 생각해... (친한 언니가 했던 얘기)

아들이야,딸이야? 딸이라구? 시어머니 싫어하시지? 에이, 다 괜찮다고 하지만 그게 아니야~ 
(고등학교 동창이. 지금 생각해도 얄미운 넘)

 

1980년, 치매의 시모를 임종까지 최선을 다해 모시고도 말기암 친정엄마를 모셔오는 것에 결코 당당할 수 없었던,
 외도를 하고도 되레 당당한 남편을 감내하지 못하는 것에 호된 질책을 받아야 했던 여인의 얘기가 

2010년 오늘에도 유의미한 것은 결국 위의 두 대화에 함축되어 있다. 직장 생활을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페미니즘을
마음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치마정장에 아이라인까지 그리고 나가 정작 험한 고객은 힘센 남자직원들한테 미루면서
나는 내가 비겁하게 여성성을 이용하고 있다고 느꼈다. 중요부서로 옮기고 아주 그럴듯한 일을 할 줄 알고 잔뜩 부푼 마음이
양념 시다바리 역할인 것을 느끼고 쪼그라들었을 때 역설적으로 나의 성정체성을 재확인했다.
나는 여자구나. 정말 여자였구나. 
그리고 피곤한 저항대신 안온한 순응을 꼬리로 도망쳤다. 

나는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기 위한 나인가, 남이 어떻게 느끼고 남이 어떻게 생각하나에
비위맞추기 위한 나인가?
  p.34 

산후조리원에서 아이를 낳고 땡땡 부은 얼굴을 하고도 여인들은 시어머니에게 느낀 섭섭함들을 풀어냈다.
산후의 부기는 사랑하는 남편의 어머니들에 대한 그 충족되지 않는 미진한 감정의 부스러기들을 헤쳐내지 않으면
빠지지 않을 것처럼 와글와글댔다. 

남의 어머니한테 효성이 우러난다는 건 거짓말이고요. 그렇지만 효도말고도 사람과 사람 사이엔 얼마든지 아름다운
사랑의 관계가 있을 수 있어요. 축복스럽게도...... 남자들이 효도라는 걸로 억압하지만 않았어도 세상 고부간은
지금보다는 훨씬 좋아졌을걸.
p.183 

여성의 삶이 남성 앞에서 가지는 그 수많은 또다른 의미들이 며느리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어떻게 재점화되는지를
끊임없이 묻고 또 묻는 작품이다. 결국 여주인공은 적극적인 타개도 그렇다고 순응도 아닌 냉소로 마침표를 찍는다. 

2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우리 앞에 다시 던져지는 수많은 질문들이 문득 마음을 산란하게도 하지만
그 질문들 그 자체만으로 내가 누군가에게 보여지기 위해 겹겹이 입은 거추장스러운 겉옷들을 들추어 내고 싶은
욕망을 건드릴만치 도발적이다. 당연한 답이 있는 질문들을 끊임없이 반복할 수밖에 없는 그 태생적 한계 속에서
문득 스산함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