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좋은 사람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미국의 이민 2세대 작가들을 토막으로 다룬 기사에서 아주 아름다운 여인네 사진을 보고
뚫어져라 관찰했었다. 정말 너무 예뻐서 과장 조금 보태어 눈을 믿을 수 없을 정도였다.
이렇게 예쁘니 외모덕으로 주목받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강한 의혹을 들이밀며 그렇게 잊고 지냈다. 

그녀가 그 이름도 어려운 줌파 라히리였다.
별을 네 개를 주어도 모자랄 지경이라느니, 책장 넘어가는게 아깝다고 하는 리뷰 등 극찬 일색에
게다가 아주 아름다운 여류작가의 이 책을 읽는 것은 당연한 수순. 

사실 이 책의 원서 제목은 Unaccustomed Earth'그저 좋은 사람'은 다른 단편이다.
그러니까 미국에서 출간될 때는 가장 앞에 실린 '길들지 않은 땅'을 표제작으로 내세웠다는 얘기이다.
그리고 제목이 번역으로 인해 너무 평이해져 버려 덜 튀어서 그렇지 가장 좋았던 작품도(물론 나의 기준)
'길들지 않은 땅'이었다. 이 작품을 읽고는 정말 무언가 내 가슴에서 펑 터져 버린 기분이어서 솔직히 나머지 단편들은
다 읽어내겠다는 의지의 일환으로 숙제하듯 읽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무엇보다 공감가는 상황이었고,
결론없이 계속되었던 그렇고 그런 고민들이 들킨 듯이 그녀의 인물들에 의하여 발설되는 느낌은
소설이 어떻게 독자의 삶의 편린들을 그러모아 출구로 밀어낼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것 같아 놀라웠다.
그. 리. 고. 그녀의 삶이 너무 궁금해졌다. 사실 소설이라는 것이 작가들의 삶을 뛰어넘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작품들의 대부분에 그녀의 삶이 투영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뱅골 인 2세로 미국으로 뿌리를 옮겨 심은 부모님과
자식들이 어우러져 때로는 불화하며 그네들의 삶을 미국인들의 언저리에서 빙빙 돌려대는 것 같은, 그러나 그 속에
인도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자의식이 차르르 스며있는 그런 삶. 그리고 사랑. 때로는 이방인들과 때로는 그네들과 같은
혈족과. 
 

'천개의 찬란한 태양'의 호세이니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천연했던 삶과 민족적 색채에 주목한다면,
줌파 라히리는 인도에서의 경험이나 기억은 대체로 지워져 있고 미국에서 그네들이 적응, 부조화하는 이후의 삶에
집중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녀가 미국에서의 삶의 문제들의 답변을 융화 및 화해 모드로 단순하게 결론짓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녀의 등장 인물들은 대체로 실패하고 튕겨져 나간다. 그 튕겨져 나감이 일탈 및 실패라고 판단한다면
더없이 답답한 해석이 되겠지만. 나는 그것이 또다른 출발이라고 여겨진다. 결국 누구나 새로운 곳으로 떠나야 한다.
삶을 살고 싶다면.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에쿠니 가오리와 닮아 있는 부분이 많다고 한다면. 줌파 라히리는 체호프에 비견되는데 
대체로 말랑말랑한 순정만화형 작가라 생각하는 에쿠니 가오리를 빗댄다면 거부감을 보일 사람들도 있을 것 같은데
연작 소설 '헤마와 코쉭'은 사실 '냉정과 열정 사이'와 '좌안, 우안'과 아주 흡사한 대목이 많다. 어린 시절부터 예견되는
냉정한 남자와 따뜻한 여자의 힘겨루기. 그리고 각자 떠남. 새로운 공간에서의 조우. 그러나 다시 헤어짐. 각자의 시점에서의
듣지 못한 얘기들의 고백. 그리고 무언가 그 담담하고자 하는 서술.  

줌파에게 다가가고 싶은 것은 그녀가 엄마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비낭만적인지 안다는 것이다. 
가장 좋았던 작품인 '길들지 않은 땅'에서 루마의 친정엄마는 "아이는 너의 고기와 뼈로 만들어진 거야'라고 하는 대목.
그러나 결국은 전존재로 받아들였던 부모를 떠나고 말 아이들이 남기고 갈 빈자리로 딸이 힘들어할 것을 걱정하는
친정 아버지. 고학력임에도 전업주부로 둘째를 임신하고 있는 딸을 안타까워하며 자꾸 일을 가지라고
넌지시 조언하고 손자를 위해 딸을 위해 예쁜 정원을 만들어 놓고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이제는
피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떠나는 그. 이 담담하고 평범한 풍경 속에는 과장되지 않은 삶의 진실과 그것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있어 숨을 멈추게 된다. 바쁘게 달리다 한번씩 멈추고 싶을 때, 아니 한번씩 멈추어 숨을 고르지 않으면
앞으로 달려나가기 힘들 때 그녀의 '그저 좋은 사람'이라 명명된 일시적인 호칭 아닌 호칭, 어머니의 가슴에
기대어 울 수밖에 없는 우리의 근원적인 고픔을 그녀는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 

그저 좋은 사람은 그 유아기의 전적으로 기대어 나의 생존을 의탁하고,
나의 우울과 나의 환희의 전적인 이유가 되었던 그 찰나의 어머니이다.
그런 관계를 때로는 친구 관계에서
때로는 연인 관계에서 찾으려 하는 데에서 관계의 붕괴는 시작되는 것 같다. 그저 좋은 사람. 그것은 누구나 한번쯤
기억의 창고에서 꺼내 보고 싶은 환타지 같은 몽환적인 완벽한 의존에 대한 하나의 강한 그리움이 아닐런지.
그래서. 나는 그저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는 이 짧은 기간 동안 정말 그저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 욕심일지라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11-22 2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1-23 23:1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