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는 철저히 박완서씨에게 중독되어 그녀의 작품을 섭렵하고 있는 중이다. 근 몇년간 수필집이라는 수필집은 다 찾아 읽은 후 슬슬 그녀의 소설을 찾아 읽게 되었고, 그 단편 소설 하나에 인생 하나를 멋지게 축약하여 넣는 그녀만의 연륜과, 유려한 문체에 편편이 적잖은 감동을 느껴가는 도중,

  '신간 출간'이라는 기가 막힌 낭보를 듣고 제깍 예약구입하여 도착하자 마자 아껴가며 야금야금 읽어 갔다, '그래도 해피앤드'라는 마지막 편에 이르러서는 아쉬움에 해설까지 읽어 마무리했다.

   일단 전체적으로 소설 속의 주인공, 화자는 거의가 장.노년 층들이다. 또한 중산층이상으로서 과거 삶의 질곡을 겪었긴 하나 이 사회의 중산층 이상으로서 경제적 곤궁함을 겪는 상황들은 아니다. 또한 대체로 내면에 선과 악이 공존하는 평범한 인간 군상들로서 끝없는 공감을 자아낸다.

    '그리움을 위하여'와 '그 남자네 집'은 사실 이미 읽은 소설들이다. 그럼에도 다시 읽어보니 아련한 감동이 물밀듯 밀려온다. '나'에게 있는 환갑넘은 사촌여동생이 '내'가 드리워준 안온한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물리치고 칠십대의 어부와의 제 2의 삶을 펼치는 것에 대한 얘기와, 후배 집구경을 갔다 우연히 떠올리게 된 젊은 시절 '그 남자'에 대한 추억과 그 추억이 서린 집터를 더듬어 가는 얘기들은 박완서의 유려한 문체와 어울려 한편의 서정시를 읽은 듯한 청량감을 느끼게 한다. 소설이 아름다운 운문이 주는 감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작가는 직관적으로 포착한 것 같다.

    나머지 소설들 중에는 이 작품의 제목이 된, '친절한 복희씨'와 '촛불 밝힌 식탁'과 '그래도 해피 엔드'가 주목되었다. '친절한 복희씨'는 기실 남들에게는 친절하다고 칭송받으나 친절하지 않은 여주인공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듯 싶다. 아닌게 아니라 전처의 아들이 딸린 띠동갑의 남편에게 시집와 중풍 수발을 하면서 그녀의 내면에 또아리고 있는 이중성은 시집올 때 몰래 가지고 나온 말라붙은 아편덩어리에 투영되면서 극에 치닫는다. '촛불 밝힌 식탁'은 노년의 자식에 대한 응답없는 외사랑과 내외간의 담담한 애정이 교차하면서 서글픈 오늘날의 노년의 자화상을 여실히 묘사하고 있다. '그래도 해피 엔드'는 의도적으로 마지막에 편성한 듯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콩트 같은 작품이다.

     박완서의 소설은 축복이다. 적어도 나의 지극히 개인적이고도 주관적인 의견으로는 말이다. 마지막 장을 덮고 다면 항상 알 수 없는 뿌듯함의 축복이 몸을 감싼다. 항상 그녀의 소설은 '그래도 해피 엔드'라는 삶에 대한 따듯한 시선으로 마감하고 있어 즐겁다. 인간의 이중성과 삶의 지난함이 여과없이 묘사되지만 그 마무리는 따뜻한 인간애로 찍는 마침표, 그녀만이 할 수 있는 일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