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 두 개의 삶>
각본,감독: 연상호 (2006년작)


<지옥, 두 개의 삶> 1편과 2편 중 2편에 무게를 둔 가볍고 긴 리뷰.


'지옥1'. 어느 날 주인공에게 친절하거나 사려 깊음과는 거리가 먼, 용역회사 직원 같은 태도의 천사가 나타나 죽을 날과 시간을 알려주며 지옥행을 통보해준다. 등급과 함께. 거기에는 어떤 설명도 없다. 오로지 결과에 대한 통보만 있을 뿐이다. 지옥1에서의 주인공은 아무런 이유도 듣지 못한 채 지옥에 간다는 이야기를 듣고 서서히 미쳐가기 시작한다. 당연한 일. 죽을 때를 알게 된 것도 미칠 노릇인데 죽고 나서 갈 곳이 생생한 고통을 영원히 느끼게 될 지옥이라니. 결국 주인공은 천사의 배려 혹은 잔머리 덕분에 지옥행을 면하였으나 도망자의 삶을 살면서 지쳐간다. 불안에 떨며 지옥의 사자들을 피해 다닌다. 지옥의 고통이나 늘 도망 다니는 고통이나 근본은 같지 않을까.




'지옥2'에서의 주인공은 천국에 간다는 판정을 받는다. 역시 설명은 없다. 주인공은 자신이 갈 곳이 지옥이 아닌 천국이라는 것에 별로 기뻐하지 않는다. 현재의 삶에 행복을 느끼고 있기에 왜 이렇게 갑자기, 빨리 죽어야 하는가에 대해 억울해 하기 시작한다. 아울러 자신이 착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왜 천국에 가게 되었는지도 알 수가 없다. 또한 천국에서의 삶이 지금의 삶보다 더 행복할거라 생각하지도 않는다. 무료한 생활의 변화 없는 반복의 연속일거라 여긴다.


우리는 회사에서 해마다 반복되는 인사고과 조차도 수긍하기 힘들다. 자기와 친한 자기 사람들에게는 높은 점수를 매기고 뻔뻔하게 앉아서 히죽거리는 한심한 상사를 향해 가위를 높이 치켜들고 싶었던 적이 있지 않았나? 누구를 평가한다는 것은 평가자가 사람이건 신이건 평가 당하는 사람으로서는 좀처럼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다. 지옥은 지옥이라서, 천국은 천국이라도.  

주인공은 도망치기로 결심한다. 그 와중에 엄마는 자살하고 동네 사람들은 집값 떨어질까 걱정이나 하고 있다. 믿었던 남자친구는 다른 여자와 침대에서 뒹군다. 여자친구의 죽음에 오버해서 난리 부르스를 떠는 남자친구가 처음부터 의심스러웠다. 자고로 빈 수레가 요란하다고 하지 않던가. 군대 갈 때 울며불며 요란한 여자친구가 제일먼저 고무신 거꾸로 신고, 사귈 때 동네방네 소문내며 질척대는 애정행각을 드러내는 커플치고 오래 가는 경우 별로 못 봤다. 결국 오버하던 남자친구는 여자친구가 죽음을 맞이할 무렵 다른 여자와 함께 쾌락의 절정으로 마구 달려가고 있었던 것이다.



느닷없이 들이닥친 주인공을 보며, 너 아직 안 죽었어? 라고 물어보는 이런노무시키. 어쩌면 이게 정말 현실 아니었을까. 주인공이 느꼈던 행복은 착각이었을까. 이런노무시키랑 지옥행의 두려움을 무릎 쓰고 도망치려고 했던 걸까. 그렇다. 안타깝게도 그렇다. 

 

 
이에 여주인공의 분노는 극에 달해 가위를 들고 남자친구와 그 옆의 여자를 난도질한다. 나는 여자가 남자를 흉기로 난도질해 죽인 장면이 인상적이었다(나 공포영화나 고어 영화 마니아 아닌데). 이 장면을 보며 나는 영화 <우나기>에서 남편이 아내를 칼로 난도질해서 죽이는 장면이 머릿속에 오버랩 되었다. 그건 여자가 남자의 소유물로 인식되어 남자들이 행해온 바람피우는 여자에 대한 처단을 너무 신물 나게 봐왔기 때문일 거다. 이로써 주인공은 천국행에서 지옥행으로 진로가 바뀐다.


내가 '지옥2'를 더 좋아하는 이유는 1편보다 오히려 더 현실적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지옥가기 무서워 도망치는 것은 어찌 보면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러나 2편의 주인공은 천국행이 보장되었다면 죽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는 전제를 뒤엎고 지옥에 갈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도망치려고 한다. 살기 위해서.

주인공에게 현재는 행복이다. 그래서 그 행복을 조금 더 누리고 싶은 것이다. 죽은 뒤 천국에서의 삶에 대해서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문제는 인간이 죽음의 순간을 알게 되는 순간 느끼게 되는 공포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죽을 날과 시간을 받아놓는 순간 이미 삶은 지옥으로 변해간다. 이후의 행선지가 천국이라도 이건 예외가 아닌 것이다. 
   

죽음이 다가오는 것을 느끼는 순간의 공포, 그것이 바로 지옥이다. 자기 존재가 소멸될 것을 예감하는 순간의 공포. 세상에서 나라는 존재가 증발해버릴 것이라는 불안감에 어떻게든 지난날들을 기억해내기 위해 사소한 에피소드를 잊지 않으려 애쓰던 주인공의 마지막 날들이 내 속을 울렸다.

 


덧1) 내가 지옥2의 주인공이었더라도 마찬가지로 잡히면 지옥행을 감수하고 도망치려 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현재가 너무 행복해서만은 아니다. 주인공과 비슷하기도 하다. 아직 하고 싶은 게 참 많다. 단순하게 본능에 따라서도 살고 싶다는 욕망은 강렬하다.

 

덧2) 위의 내용과 상관없이 내가 생각하는 천국과 지옥은 인간의 언어로 설명이 불가능한 다른 차원의 곳이다. 그래서 고통이나 반복이라는 표현으로는 그곳을 묘사할 수 없다.

 

덧3) ‘지옥 연상호’로 불리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할 감독. 뛰어넘어야 할 것은 언제나 자기 자신인 예술가들의 숙명이라 여기고 다음 작품, 또 다음 작품에서 다시 만나길.

 

DVD 구매는 아래 링크에서..
<씨지랜드> 홈페이지
<지옥,두개의 삶> 홈페이지
<지옥,두개의 삶> DVD 구매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색깔 심리테스트

 

나도 해봤다, 요거.. http://cgi.chol.com/~ksb/colormind-index.htm

결과는..

 


색깔선택 순서로 마음을 읽어내는 테스트 / 체크결과입니다







▷ 첫번째 선택한 색은 당신의 color=blue>▷ 첫번째 선택한 색은 당신의 본질적인 성격, 당신 자신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잠재적인 당신의 모습을 나타낸다. (당신은 [자주색]을 선택했습니다.)
개성적인 매력의 소유자. 상당히 개성적인 매력의 소유자다. 밝고 활발한 면과 쉽게 빠질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조금 변덕스러운 성향도 있으므로 기분에 따라 제멋대로 행동할 때도 있다.

▷ 두번째 선택한 색은 당신의 과거를 나타낸다. 이제까지 당신의 장애 요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당신은 [오렌지색]을 선택했습니다.)
지나치게 강한 의타심이 성장의 방해 요소. 과거 장애 요인으로는 남에게 지나치게 의지한 점을 들 수 있다. 판단이나 아이디어는 훌륭했지만 자신을 갖지 못하고 남에게 의존하거나 또는 상대의 반응에만 지나치게 신경을 쓰다가 실패했을 가능성이 있다.

▷ 세번째 선택한 색은 당신의 현재모습을 나타낸다. 현재의 당신의 희망이나 꿈을 나타낸다. (당신은 [흰색]을 선택했습니다.)
과거의 실패가 콤플렉스로 작용. 과거의 실패를 마음 한구석에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콤플렉스로 작용,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인데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 네번째 선택한 색은 당신의 미래를 나타낸다. 앞으로의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가르쳐 준다. (당신은 [파랑색]을 선택했습니다.)
마침 사람이 변한 것처럼 새로운 모습이다. 지금까지 자신을 모두 잊고 전혀 다른 모습의 자신을 발견하고자 노력하게 될 것이다. 주위 사람에게 사람이 변했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다. 종교에 마음을 빼앗기거나 또는 그림이나 음악 등 예술에 몰두하게 되는 사람도 있을 듯.

 

호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SHIN 2008-07-29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그래서 어느 쪽인가요? 음악? 예술?

이리스 2008-07-30 01:16   좋아요 0 | URL
쿨럭.. 그.. 그게;;
 

 

남자는 자신의 로망을 실현시켜준 여자를 위해 목숨을 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08-07-29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목숨이 걸린 일인데..로망이 절대로 "소박"해서는 안되겠군요..으흠..

이리스 2008-07-29 12:18   좋아요 0 | URL
목숨과 견줄만한 슈퍼울트라급 로망으루다가요;;; ㅋㅋ

프레이야 2008-07-30 0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자의 로망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얘기가 달라지겠군요. ㅎㅎ
낡은구두님 대문 사진 속 타자기 멋져요.

이리스 2008-07-30 16:19   좋아요 0 | URL
근사하고도 가치있는 로망이면 좋겠죠.^^
신촌 어느 북카페에서 찍었어요.
 

* 월드비전과 더불어 세이브 더 칠드런에도 기부를 하고 있다. 너무 작은 금액이라 기부라고 하기도 참 부끄럽지만.. 그곳 소식지를 읽다가 공유하고 싶어서 여기 올린다. 콩고 이야기.

 

ABC TV의 벤 에플렉의 일기를 읽어보세요. <here> 

 아카데미상 수상 배우 겸 감독인 벤 에플렉(Ben Affleck)이 지난 5월 콩고 공화국의 동쪽 도시 고마(Goma)에서 세이브더칠드런 프로그램에 속해있는 소년병들을 만났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15년 간 콩고에서 가장 심각한 전투가 있었던 곳으로, 이번 방문은 벤 에플렉이 콩고의 인도주의 위기에 가진 관심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린이들은 분쟁 시 가장 취약한 존재이며, 콩고 아이들에게 미치는 전쟁의 영향은 매우 심각합니다. 많은 아이들이 무장 단체에 모집되었고, 전쟁에 참가하는 중에 그들의 가족과 헤어져야만 했습니다. 많은 소녀들이 강간당하고 불구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분쟁 중에 있는 단체들이 고의적인 전술로서 저지른 것이었습니다.

올해 1월에 맺은 휴전 협정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여전히 모병되고 있고, 성적 강간을 당하며,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잡혀 있습니다. 3백만 명 이상의 6~11세 어린이와 12~17세 청소년들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의 25%만이 모든 교육을 마칩니다.

콩고의 난민은 12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며, 올해에만 50만에 이르고 있습니다. 또한 3천 명의 어린이가 분쟁 속에서 가족들과 떨어졌는데, 세이브더칠드런은 이 어린이들이 가족들을 만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약 3만 명의 어린이들이 콩고 분쟁의 모든 기간에 걸쳐 직접적으로 무장세력들과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3천~5천여 명의 아이들은 여전히 무장 단체에 남아있습니다.

작년 세이브더칠드런은 1,200명 이상의 소년병들이 무장단체를 나올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정신적, 신체적인 상처를 입었기 때문에 세이브더칠드런은 이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아이들에게 음식과 피난처, 교육, 생계 유지를 위한 훈련 등을 제공하는 한편, 그들의 가족들을 수소문하고 이전에 속했던 사회로 다시 되돌리는 작업을 행하고 있습니다. 

벤 에플렉이 만난 두 명의 십대 아동들은 기관에서 가족을 찾아 재결합시켜주려는 노력을 하는 동안 세이브더칠드런 프로그램의 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입니다.

글로벌 캠페인, Rewrite the Future의 일환으로서 세이브더칠드런은 콩고와 같은 분쟁지역 국가들에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학교 교육을 향상시키는 일을 돕고 있습니다. 콩고에서 세이브더칠드런은 학교뿐 아니라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정부를 도와 일하고 있습니다. 기관에서는 교사를 양성하고 칠판, 책, 분필과 같이 교실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며 각 지역사회에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 머무르게 하도록 장려합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이 콩고에서 처음 일을 시작한 것은 1994년으로, 이웃나라인 르완다(Rwanda)의 대량학살로부터 도망쳐 나온 아이들을 돕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후 콩고의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프로그램을 확장시킨 것입니다.

오늘날 세이브더칠드런은 카사이 오리엔탈(Kasai Oriental), 북 키부(North Kivu), 남 키부(South Kivu), 이투리(Ituri), 킨샤사(Kinshasa)를 포함한 5개국 16지역에서 교육, 건강, 어린이 보호 프로그램을 시행 중입니다.

1996년 전쟁이 발발한 이후 세이브더칠드런은 수많은 어린이들이 가족들과 다시 만나서 지역사회 내에서의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이브 더 칠드런 http://sc.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만

내가

미치겠다

진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08-07-28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보고 하는 얘긴줄 알았다는,,,ㅡㅡb

이리스 2008-07-28 23:47   좋아요 0 | URL
헉, 아니 왜요!! 자책의 글이었습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