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사카 역에서 교바시 역으로, 교바시 역에서 시기노 역으로, 다시 또 시미즈역으로. 지하철을 세 번이나 갈아타고 찾아간 트럭퍼니처. 어렵게 찾아갔으나 하필이면 휴일이었다. 다행히 1층 작업실 문이 열려 있어 그곳에서 일하던 목수님들께 사정을 얘기해 (난 오래 전부터 너희 가구를 좋아해왔고 너희 가구를 실물로 보고 싶어서 오사카에서 지하철을 몇 번이나 갈아타고 겨우 여길 찾아왔단 말이야 나 오늘 여섯시에 한국 돌아가야 하는데 2층 쇼룸 한번만 보여주면 안될까) 특별히 구경을 허락 받았다.
이슬비가 그치고 커다란 창문으로 아침 햇살이 부드럽게 스며들자 자연 조명을 받은 가구들의 자태가 눈이 부셨다. 사진을 못 찍게 해서 아쉬웠지만 트럭퍼니처에 대한 평소의 내 호감만큼은 제대로 전달하고 돌아온 것 같다. 난 너희들의 가구 철학과 정신을 존경하고 너희가 가구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삶의 가치관과 태도를 사랑한다, 한국에도 나처럼 너희 가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한국에 진출해도 너희 가구는 분명히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등등.
그러나 경쟁력이 있을 거라는 나의 격려는 실상 이들의 삶의 방식을 아직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서 나온 실언이었다. 이들은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는 듯했다. 현재 주문이 꽉 차 있어서 새로 주문을 하면 11개월 뒤에나 받을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있는 일곱 명의 목수로 충분하며 인력을 충원할 계획은 없다고. 왜 오사카에서 여기로 공방을 이전했느냐고 물어보니 오사카는 너무 복잡하고 답답하고 초록식물도 없고 해서 일부러 한적한 오사카 변두리로 이사했단다. 그들다운 대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