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동 1985
정지영 감독, 이경영 외 출연 / 루커스엔터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영화를 보고나서 난데없이 소설 <칼의 노래>의 이순신이 떠올랐다. <남영동 1985>의 이근안과 <칼의 노래>의 이순신은 숭고미마저 느껴지는 극단적인 충직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놀랍게도 겹쳐진다. 그들(무인들이라고 해야 할까)은 근본적으로 세계를 부정하지 않는다. 데카르트처럼 회의하지도, 사르트르처럼 구토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세계 자체에 대해서 무심하다. 그것이 뼛속 깊은 무력감과 냉소를 동반하는 무심함이든, 순수한 무지에서 비롯한 무심함이든. 내가 왜 <칼의 노래>에 완전히 빠져들 수는 없었는지, 무사가 칼을 휘두르듯 쳐내려가는 그 짧은 호흡의 문장들이 왜 끝내 껄끄러웠는지, 오늘 이 영화를 보고 나서야 확실히 알았다. 그들에게는 신경증자의 불안 같은 게 없다. 설령 있더라도 그것은 자기로부터 소외되고 억압된다. 아, 그러고 보면 불안이란 얼마나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2 고문을 비롯한 신체형이 퇴조하고 그를 대신하여 감금형 및 노동형이 등장했던 게 근대 이후 유럽의 새로운 처벌 문화였음을 떠올려보면, 한국은 80년대에도 여전히 근대 세계에 진입하지 못한, 무늬만 근대인 나라였던 셈이다. 영화가 이를 너무나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개의 선
지민 감독, 지민 외 출연 / 이오스엔터 / 2013년 3월
평점 :
일시품절


EBS를 쳐도 네이버 연관검색이 되질 않는 비운의 EBS국제다큐영화제가 오늘 조용히 막을 내렸다. 몇 편 못 봤지만 그 중에서도 인상 깊은 작품은 지민 감독의 <두개의 선>. 영화는 동거 중인 커플 사이에 갑자기 아기가 들어서면서 벌어지는 삶의 새로운 국면들을 경쾌하게 그러면서도 문제적으로 보여준다. 결혼 제도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다큐이면서 동시에 감독 자신의 소중한 출산 기록이기도 한 이 작품을 본 소감이 마냥 개운치만은 않다. 자유롭게 상상력을 펼쳐볼 수 있을 것만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일수록 오히려 제도가 요구하는 표준적 삶의 형태로부터 벗어나기가 쉽지 않음을, '다큐'라는 매체가 '리얼'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케빈에 대하여
린 램지 감독, 틸다 스윈튼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영화가 주는 여운에 비해 줄거리는 단순하다. 에바라는 여자에게 케빈이라는 아들이 있는데, 어렸을 때부터 성질이 괴팍하기 이를 데 없던 이 아들이 결국 사이코패스로 자라나 가족과 이웃까지 살해한다는 내용. 자식을 사이코패스라는 극단적 인격으로 설정함으로써 모성이데올로기의 자명성을 비틀어보고 있는 거라는 영화평이 대부분이지만 이 영화가 야릇하게 느껴지는 까닭은 뭔가 그 지점을 넘어서 있는 것 같다. 케빈은 에바 자신의 몸속에서 나온 끔찍한 타자다. 자기가 만들어낸, 자기나 다름없는, 자기로부터 세포 분열되어 나온, 괴물 같고 악마 같고 미치광이 같은 타자.

 

영화는 케빈과 에바가 교도소 면회실에서 서로를 얼싸안으며 끝이 나는데 이 장면은 갈등의 해소라기에는 석연치 않고 오히려 뭔가 기묘한 공모관계 같은 인상을 준다. 케빈은 감금되었고 에바는 드디어 케빈으로부터 해방되었으나 이 둘은 앞으로도 이렇게 주기적으로 밀실에서 부둥켜안게 될 것이다. 케빈은 사회적으로 금기/감금시킨 채 평생을 은밀하게 돌보아야 할 에바 자신의 끔찍한 타자성의 상징이 아닐까. 케빈이 무슨 생각으로 그토록 잔학무도한 살인을 저질렀는지 영화는 끝내 알려주지 않는다. 케빈은 감당할 수 없는 영원한 수수께끼, 완벽한 타자일 뿐이다. 영화가 에바의 시점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영화의 원제는 We Need to Talk About Kevin이라고. 우리는 확실히 우리들의 케빈에 대해 말해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과 여 (2disc)
이윤기 감독, 전도연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115분은 너무 짧다. 이런 건 좀 tvn에서 16부작 드라마로 다시 만들어주면 안 되나. 전편 사수할 용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개의 문
김일란 외 감독, 권영국 외 출연 / 이오스엔터 / 2013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영화가 '사람에 대한 마음 없음'의 극단을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에, 극장을 나오면서 처음에 들었던 생각은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것이었다. 그것이 설령 도덕적 허위의 요소를 포함한 알량한 결심일지라도. 그러나 일시적인 고양심이 잦아들고 영화를 곱씹어 볼수록 도대체 21세기 자유민주주의국가의 수도 한복판에서 왜 아직도 이토록 무식하고 야만적인 80년대식 해법이 존속할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겨나지 않을 수 없었는데, 하여 철거 문제에 대해 추적(?)을 해나가던 중에 이 문제를 명쾌하게 정리해 놓은 포스팅을 발견하게 되었다. 철거민, 건물주, 건설사, 국가, 용역, 전철연이라는 여섯 개 집단이 난마처럼 얽혀있는 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사실상 정책 입안에 달려있었다. 결국 정치의 문제였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