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제주도 여행을 떠올려 보면 비행기 타본 일이 제일 기억에 남는다. 난생처음 비행기를 타본 나로서는 창밖으로 펼쳐지는 까마득한 풍경이 실로 오금이 저리는 비현실이었다. 비행기가 이륙할 때부터 착륙하는 순간까지 창유리에 매미처럼 달라붙어 도저히 떨어질 수가 없었다. 신문물에 전율하던 구한말 개화파들의 심정도 이보다 더 강렬하지는 못했으리라.
기내에서 이토록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승객은 (내가 봐도) 나밖에 없었다. 비행기가 추락하지 않을까 손에 땀을 쥐며 노심초사하는 동안 주위 사람들은 대부분 신문을 보거나 심지어는 아예 창을 닫아놓고 잠을 자고 있더라. 우주의 신비가 목전에서 펼쳐지는데 저토록 태연하다니 저들은 대체 비행기를 얼마나 밥 먹듯이 탄 사람들이란 말인가. 알 수는 없었지만
그 순간에도 비행기는 창공을 우아하게 날고 있었다. 아니, 우아하다 못해 그것은 심지어 약간은 게으른 편이었다. 창밖으로는 그 어떤 물체도 휙휙 지나가지 않았다. 몽글몽글한 구름 덩어리들과 장난감 같은 도시들, 주름진 산맥까지도 비행기 못지않게 우아해서 그저 서서히 자리를 이동하고 있을 뿐이었다. 기내도 별 움직임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몇 천 미터 상공에서 시속 몇 백 킬로로 날고 있는 물체 안에 앉아있는 사람들 치고는 다들 너무나 태평했다. 놀랍게도 이 모든 정체된 상황 속에서 비행기는 한 시간 만에 벌써 제주도였다.
믿거나 말거나, 비행기를 타는 동안 나는 잠시 인간 아닌 다른 생명체가 되어 있는 기분이었다. 그러니까 인간보다 더 장수하는 것들, 이를테면 나무나 암석의 시간을 일시적으로나마 간접 체험한 기분이었달까. 허풍이라 해도 어쩔 수 없지만, 간접 체험을 통해 나는 작게는 하루살이의 시간과 크게는 성운의 시간까지도 상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흔히 신이라고 말하는 무시간성의 존재를 떠올려보지 않을 수가 없었는데, 도무지 비행기 따위에는 견줄 수도 없이, 지극히 빠르고 또한 지극히 느릴 그 존재에게는 시공을 초월한 만물의 부단한 생멸이 어떻게 그려질까? 이런 생각들을 하느라 나는 기내에서 그 누구보다도 과도하게 흥분한 승객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나는 얼마나 정적인 상태로 있었는지. 얼마나 느리고 고요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 머물러 있었는지. 아, 이 글을 쓰고 있으려니 또 다시 비행기를 타고 싶다. 돌 속에서 흐르는 것만 같던 그 오묘한 시간을 또 다시 느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