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위를 둘러보면 대개 정신이 강건한 자들은 굳이 니체를 안 읽어도 니체 이상으로 잘 살아가는 것 같다. (니체의 표현대로) 나비 같고 비눗방울 같은 그들은 니체 없이도 경쾌하고 단순하고 우아하고 활동적으로 세계를 충분히 향유할 줄 안다. 어쩌면 니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란 니체라도 붙들지 않으면 중력의 영에 짓눌려 곧 가라앉고 말 사람들인지도 모른다. 만성질환 환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내복약을 섭취하듯 밤마다 자기 전에 니체를 한 줄이라도 읽어야지만, 그렇게 가까스로 영혼을 소독해 놓아야지만 다음 날을 근근이 버티고 사는 그런 사람들이나 니체에 열광하는 게 아닐까. 그런 이들에게 니체는 벗이 아니라 하나의 종교로 군림한다. 니체로서는 당혹스럽고 아이러니한 일일 것이다.

 

이왕 함부로 말하게 되었으니 노예적 원한 감정을 좀 더 발휘해서 더욱 나쁘게 말해보자. 솔직히 나는 니체도 의심스럽다. 그는 가면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지만 기실 가면이란, 가면 없이 맨 얼굴로는 도저히 살 수 없는 유약한 자들이나 쓰는 게 아닐까.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진정으로 강한 자들은 가면 같은 건 쓰지도 않는다고. 애당초 강건한 자들의 정신세계에는 ‘가면’이라는 언표가 존재할 만한 인식론적 토대 자체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미루어 짐작컨대 텍스트 상에서의 과격하고 용감무쌍한 니체와 가면을 벗은 실제의 니체는 상당한 괴리가 있었을 것 같고, 정신병이 심해지기 전에도 그는 이미 어느 정도 분열증적이었을 것 같다. 철학적으로 의도된 전략적 분열증이 아니라, 사실은 스스로도 잘 수습하지 못하는 그런 종류의 분열증 말이다.

 

어찌되었든 내 바램은 나 자신이 지금처럼 이렇게 니체 언저리를 맴돌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니체가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해지고 싶다. 니체뿐만 아니라, 활자 따위에(니체도 결국은 활자에 지나지 않으므로) 기대지 않고도, 오직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힘만으로 정신을 지탱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것이 너무나 원대한 소망이라면 다자이 오사무 만큼만이라도 강해지고 싶다. 그는 결코 나약한 인간이 아니었다. 스스로를 용납할 줄 알고 나아가서는 자신을 문학적 소재로서 객관화, 희화화시킬 줄 아는 인간이었다. 설령 자학으로 보일지라도 그것이 다자이 오사무에게는 자신과 화해하는 한 가지 방식이었을 것이다. 딱 그 정도로 나도 강해지고 싶다. 강해져서 나도 나 자신과 화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의 밤문화 - 낮과 다른 새로운 밤 서울로의 산책 서울문화예술총서 1
김중식.김명환 지음 / 생각의나무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서울의 밤문화라니! 게다가 저자가 김중식 시인이라니! 김중식 시인이 어떤 시인인가. '단 한 번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두 번 다시 궤도에 진입하지 못할 지라도 캄캄한 하늘에 획을 긋는' 별똥별을 찬미하며 '포기한 자 그래서 이탈한 자가 문득 자유롭다'고 노래했던 시인이 아닌가. 그러나 아쉽게도 이 책은 이탈한 자의 밤문화 회고록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구석구석 킬킬댈 만한 잔재미가 쏠쏠하다. 구한말 기생문화에서부터 시작해 최근에 복원된 청계천의 밤풍경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융성했던 온갖 밤문화를 망라하고 있는 이 책은 비록 서울문화재단에서 발간된 것이기는 하지만 나름 서울시 문화정책에 대한 비판도 과감하게 실려 있는 등 어용서적(?)의 느끼함이 그다지 과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래도 어쩐지 책에서는 차마 부끄러워 다 밝히지 못했지만 알고나면 놀라 까무러칠,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서울의 밤문화가 분명 어딘가에 존재할 것만 같고, 김중식 시인은 야밤에 대밭에 달려가 소리를 지를지언정 공적인 임무의 완수를 포기할 수 없어 일부러 안 쓴 것 같다. 왜냐하면 인간적으로 서울의 밤문화가 이렇게 무난하고 건전할 순 없기 때문이다. 믿을 수 없이 무시무시하고 오금이 저리는 서울의 밤문화 개정증보판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테판 츠바이크의 메리 스튜어트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 / 이마고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츠바이크의 문장들은 세월이 흘러도 구식으로 느껴지지 않고 변함없이 아름답다. 문장마다 스며있는 인간과 역사에 대한 통찰 때문일 것이다. 깊이 있는 미문의 울림이 시공을 초월함을 가령 이런 구절이 증명한다. 지금 읽어도 무릎을 치게 된다.  
 
"(...) 그러므로 메리 스튜어트와 엘리자베스 사이의 싸움이 미래와 세계의 편[엘리자베스]으로 결정되고, 과거와 낭만을 추구하는 여왕[메리 스튜어트]의 승리로 끝나지 않은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엘리자베스와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역사의 의지가 승리한 것이다. 이미 끝나버린 형식들을 공허한 껍질처럼 뒤에 버리고, 언제나 새로운 것에서 자기 힘을 시험해 보는 것이 역사의 의지인 것이다. / 엘리자베스의 삶에는 세계에서 자기의 위치를 확보하려는 한 국민의 에너지가 구현되어 나타나있다. 반면에 메리 스튜어트의 파국에는 화려하고 영웅적으로 죽어가는 기사도가 있을 뿐이다. 그렇지만 그들은 이 싸움에서 각자 자신의 의미를 완성했다. 현실주의자인 엘리자베스는 역사에서 승리했고, 낭만주의자인 메리 스튜어트는 문학과 전설로 승리했다."

 

츠바이크가 애정을 가지고 복원해낸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스튜어트는, 낭만적 열정과 용기있는 결단력을 지녔으되 감정적 충동으로 경솔한 판단을 내려 비극을 자초하는 인간이며, 재주 많고 총명하며 인문주의적 교양을 두루 갖추었으나 시야가 좁고 욕망에 눈멀어 슬기롭지 못한 인간이다. 그러나 그녀는 또한 진탕에 굴러도 꼿꼿한 자존심을 버리지 않는, 고귀하고 강인한 인간이기도 했다. 랭보가 말했듯 흠 없는 영혼이 어디 있을까.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 같은 이 어리석은 영웅을 츠바이크는 분신처럼 쓰다듬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호선 버터플라이 - Nine Days or a Million
3호선 버터플라이 노래 / Beatball(비트볼뮤직)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의미와 무의미의 중간지대에서 건져올린 듯한 구절들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가사가 마치 멜로디 위에 찍힌 기하학적 문양의 패턴 같다. 나른하고 아름답고 신비롭다. 이들의 에고이즘은 내부로부터 견고하고, 그래서 불안하지 않고, 그러면서도 따듯하고 자애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네 그림에서 찾은 13개 퍼즐조각
박정자 지음 / 기파랑(기파랑에크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훗날 인상파의 선구로 등극하게 되는 영광과는 상관없이 정작 마네 자신은 끝내 살롱전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모양이다. 무려 <풀밭에서의 점심>을 그려놓고 감히 그것을 살롱전에 출품했던 마네의 행동에서 짐작되는 것은 문턱을 밟고 선 인간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망설임이다. 그리고 그 망설임의 시간들을 먼 발치서 곰곰이 헤아리다 보면, 전형성의 경계를 뛰어넘어 자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예술 본연의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사이에서 괴로워하던 한 평범한 인간의 초상이 뭉근한 아픔으로 전해져 온다. 마네는 자신이 혁명의 깃발을 치켜들고 있는 줄도 모른 채 고독하게 혁명의 길을 걷고 있었던 것이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무어라 자세히 설명할 수도 없지만, 그럼에도 이렇게 그리는 것이 옳다고 믿었을 마네. ‘확신할 수 없음’ 속에서도 감각이 끊임없이 환기시키는 윤리를 결코 포기하지 않았던 마네. 마네의 진정한 위대성은 거기에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