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위를 둘러보면 대개 정신이 강건한 자들은 굳이 니체를 안 읽어도 니체 이상으로 잘 살아가는 것 같다. (니체의 표현대로) 나비 같고 비눗방울 같은 그들은 니체 없이도 경쾌하고 단순하고 우아하고 활동적으로 세계를 충분히 향유할 줄 안다. 어쩌면 니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란 니체라도 붙들지 않으면 중력의 영에 짓눌려 곧 가라앉고 말 사람들인지도 모른다. 만성질환 환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내복약을 섭취하듯 밤마다 자기 전에 니체를 한 줄이라도 읽어야지만, 그렇게 가까스로 영혼을 소독해 놓아야지만 다음 날을 근근이 버티고 사는 그런 사람들이나 니체에 열광하는 게 아닐까. 그런 이들에게 니체는 벗이 아니라 하나의 종교로 군림한다. 니체로서는 당혹스럽고 아이러니한 일일 것이다.

 

이왕 함부로 말하게 되었으니 노예적 원한 감정을 좀 더 발휘해서 더욱 나쁘게 말해보자. 솔직히 나는 니체도 의심스럽다. 그는 가면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지만 기실 가면이란, 가면 없이 맨 얼굴로는 도저히 살 수 없는 유약한 자들이나 쓰는 게 아닐까.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진정으로 강한 자들은 가면 같은 건 쓰지도 않는다고. 애당초 강건한 자들의 정신세계에는 ‘가면’이라는 언표가 존재할 만한 인식론적 토대 자체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미루어 짐작컨대 텍스트 상에서의 과격하고 용감무쌍한 니체와 가면을 벗은 실제의 니체는 상당한 괴리가 있었을 것 같고, 정신병이 심해지기 전에도 그는 이미 어느 정도 분열증적이었을 것 같다. 철학적으로 의도된 전략적 분열증이 아니라, 사실은 스스로도 잘 수습하지 못하는 그런 종류의 분열증 말이다.

 

어찌되었든 내 바램은 나 자신이 지금처럼 이렇게 니체 언저리를 맴돌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니체가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해지고 싶다. 니체뿐만 아니라, 활자 따위에(니체도 결국은 활자에 지나지 않으므로) 기대지 않고도, 오직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힘만으로 정신을 지탱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것이 너무나 원대한 소망이라면 다자이 오사무 만큼만이라도 강해지고 싶다. 그는 결코 나약한 인간이 아니었다. 스스로를 용납할 줄 알고 나아가서는 자신을 문학적 소재로서 객관화, 희화화시킬 줄 아는 인간이었다. 설령 자학으로 보일지라도 그것이 다자이 오사무에게는 자신과 화해하는 한 가지 방식이었을 것이다. 딱 그 정도로 나도 강해지고 싶다. 강해져서 나도 나 자신과 화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