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는 어떻게 신이 되었나
바트 어만 지음, 강창헌 옮김, 오강남 해제 / 갈라파고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같은 저자의 <예수 왜곡의 역사>에 이어 읽었다. 전작이 성경의 권위와 그 신뢰성에 대해 도발적으로 논쟁의 포문을 연다면, 이 책은 보다 본격적으로 역사적 예수를 추적해 나간다. 예수가 활동했던 시대 전반의 문화적 사상적 배경을 짚어내고, 후대의 왜곡과 미화를 최대한 배제했을 때 때 예수 본인의 자기이해는 어떠했고 설파했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사후에 무엇을 계기로 신격화가 시작되었는지, 다양한 종파의 경합 속에서 어떻게 최종적으로 하느님과 동일한 지위에 오르게 되었는지.

고대 세계에서는 예수와 유사한 인생사를 보여주는 신성한 인간들이 의외로 많았다는 것, 이 시대에는 신과 인간의 관계가 현대와 같이 도저한 심연으로 분리되어 있었던 게 아니라 피라미드식의 그라데이션으로 이어져 있었기 때문에 뛰어난 업적으로 사회적 영예를 얻은 인간이 (단지 은유나 아첨으로서가 아니라 다수의 인식론적 확신 가운데서) 신으로 승격되거나 ‘구원자’로서 숭배 받는 일이 잦았다는 것, 유럽 사회에서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론적 변화는 4세기 전후를 기점으로 일어났다는 것 등등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다.

예수가 살았던 시대의 문화와 세계관을 고려할 때 예수를 성경 문헌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일인지 모른다. 하지만 시대적 배경을 감안하더라도 예수님의 행적이 당대의 적지 않은 사람들의 마음에 어떤 파문을 불러일으켰다는 사실, 그리고 설령 우리가 알고 있는 예수가 여러 추종자들의 해석과 윤색을 거친 ‘만들어진 인물’일지라도 그 만들어진 예수님의 윤리적 가르침과 실천이 후대 인류에게 상당한 호소력과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예수를 믿는가? 아니, 예수는 누구인가? 나로서는 제 삶을 바쳐 예수의 말씀을 실천하고자 했던 사람들, 예수를 닮고자 했던 그 모든 사람들이 이미 예수라고 생각된다. 역사에 빛나는 수많은 위대한 성인들이 예수님과 다를 바 없다고 여겨진다. 비기독교인인 나로서는: 인격신에 대한 믿음은 없다. 인간 인식 너머의 자연 섭리의 존재에 대한 믿음은 있다. ‘이 땅에 온 하느님’으로서의 예수와 그 행적에 대한 믿음은 없다. 인간의 고결성에 대한 믿음, ‘드물고 고귀한’ 인간 가능성에 대한 믿음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린 북 - 아웃케이스 없음
피터 패럴리 감독, 마허샬라 알리 외 출연 / 노바미디어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각의 쓴소리를 감안하더라도- 누가 이 영화를 좋은 영화가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영화가 보여주는 안일함과 둔감함에 너무 날세우지 말자. 자기가 자기 얘기를 직접 하지 않고 남이 대신 해주면 미진한 부분이 생기게 마련이겠지. 자기 얘기를 어떻게 남이 입안의 혀처럼 해주길 바라겠는가. 이것이 그 '남'의 최선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겟아웃>과도 인상적인 대비를 이룬다) 인종분리 정책이 엄존했던 시대에 재능을 꽃피워야 했던 20세기 미국의 흑인 음악가들에 대해 관심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슈베르트 : 피아노 삼중주 [2CD]
Decca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정적 고전 읽기 - 역사.사회
조중걸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여러 유명 고전 극히 일부를 발췌해 놓은 것들이지만 대부분 저자 사상의 핵심을 드러내는 한 편의 완결된 에세이이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논지와 주제가 분명한 글조각들이라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읽어볼 가치가 있다. 원문 전후 해설도 읽는 데 도움이 된다. 아니, 도움이 되는 정도가 아니라,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에드워드 기번의 너무나도 장식적이고 장황한 18세기 귀족 풍의 문체라든가 <자유론>에서 존 스튜어트 밀의 현학적인 문장은 그 번역과 해설이 없었으면 도저히 읽어볼 엄두조차 못 내었을 듯. 좋은 고전들을 많이 소개받았다. 번역본으로 찾아 읽어보고 싶은 것들도 많다. 존 베리의 <사상의 자유의 역사>,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등등. 언제가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짚고 넘어갈 곳이 몇 군데 있다. (1) 248쪽 첫 번째 줄 ‘to make your first and chief concern’ 이후부터 한 구절이 통째로 누락되었다. 문장 사이에 ‘not for your bodies nor for your possessions, but for the highest welfare of your souls’이 들어가야 한다. (2) 412쪽 13번째 줄과 14번째 줄 사이에도 한 문단이 누락되었다. “역사에 대한 공산주의자의 호소를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그것을 서양문명의 중요한 종교적 이념을 다르게 각색한 것, 즉 세속화된 ‘타락과 구원’으로 보는 것이다. 이 세속화는 19세기 낭만주의에서 이미 상당히 발전해 있었다. 나의 견해로는, 공산주의와 파시즘은 양자 공히 낭만주의 운동의 상속자로 간주될 수 있다.” 이 대목이 영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3) 485쪽 11번째 줄: 마음이 아니라 육체에서 --> 육체가 아니라 마음에서 (4) 502쪽 16번째 줄: it will be had for --> it will be bad fo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