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 입문 - 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개정 증보판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들러는 딱히 체계적인 이론을 세우거나 하진 않았다지만 그가 인간 심리 깊은 곳을 정확히 꿰뚫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어 보인다. 이런 구절을 보면. “위험으로부터 몸을 사리는 행동 중에서 가장 철저한 표현은 자살이다. 자살하는 사람은 자신이 직면한 인생의 모든 문제를 포기하고, 자기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떠한 행동도 할 수 없다는 확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사람이 흔히 자살로써 우월감을 얻으려 한다는 말은 자살에 항상 비난이나 복수의 감정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자살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자신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누군가에게 전가시키려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한편으로, 우리가 삶의 목표에 부합하는 기억과 감정을 소환, 편집, 조장해낸다는 아들러의 목적론적 관점은, 도덕적 가치 판단에 있어서 직관이 먼저이고 이성적 추론은 이를 합리화하는데 동원된다는 진화심리학적 견해(조너선 하이트, <바른 마음>)와도 상당히 공명하는 듯하다. 즉 사회 정의에 대한 가치 판단이 되었든 개인적 삶의 목표가 되었든 일단 개인의 내면에 어떤 확고한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우선이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정답을 정당화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자기 자신에게나 타인에게 납득시키기 위해, 떠오르는 기억이든 치솟는 감정이든 지난 밤 꾸었던 꿈이든 꿈의 해석이든 논리적 정교화든 온갖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수단들이 사후 도용되는 것이다.

그가 너무나 날카롭게 인간 심리의 심연을 짚어내고 있기 때문에 부득이 자기 추궁의 시간을 갖지 않을 수가 없다. 특히 아들러가 창안한 개인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고 일컬어지는 열등감에 대해 다룬 부분에서는 여러 번 멈추어 서게 된다. 우월성 추구는 권력에의 의지로서 그 자체가 부당한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 나는 그동안 ‘하찮은 트릭’을 사용해왔던 것은 아닐까? 즉 나는 나 자신의 우월성을 입증하기 위해 부적절한 방법(나 자신에게나 주변 사회에 있어서나 그다지 유익하지도 발전적이지도 않은 심지어 때로는 파괴적인 방법)을 취해오고 있었던 게 아닐까? 그 모든 부적절한 방법의 유치함과 가소로움, 나아가서는 자기기만적이고 도피적인 성격과 그 무용함에 대해 직시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