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쏭달쏭 수수께끼

다양한 답을 유도하여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다. 먼저 아이들에게 답이 여러 개가 될 수 있는 수수께끼를 내보자. 생각하기에 따라 정답이 1백 개가 넘기 때문에 아이들은 끝없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똑같은 문제라도 아이의 연령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어야 좋은 수수께끼.

- 1단계
① “따뜻한 것에는 뭐가 있을까?”라고 물으면 아이는 데운 우유, 군고구마, 난로, 국물 등의 대답을 할 수 있다.
☞ 발전된 답 : 스웨터, 방바닥, 온천, 눈물 등.
② “달콤한 것에는 뭐가 있을까?” 과자, 초콜릿, 주스 등.
☞ 발전된 답 : 솜사탕, 사랑, 꿀, 탕수육, 낮잠 등.
③ “그림이 그려져 있는 건 뭐지?” 그림책, 만화책 등.
☞ 발전된 답 : 달력, 옷, 벽지, 과자 봉지, 커튼 등.

- 2단계
① “도로 위에 있는 건 뭐지?”자가용차, 버스, 트럭, 오토바이 등
☞ 발전된 답 : 신호등, 교통표지판, 경찰, 노란 선, 흰 선 등
② “이 세상에서 산보다 더 큰 건 뭐지?” 바다, 하늘 등
☞ 발전된 답 : 엄마,아빠의 사랑, 창문(창문 너머로 산을 볼 수 있으니까) 등.

- 3단계
① “무엇이 있어야 물건을 살 수 있는지?”돈, 수표, 신용카드 등
☞ 발전된 답 : 금을 비롯한 보석, 산삼 같은 귀한 물건(돈으로 바꾸어 산다), 아이디어, 직업 등(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면 맞는 걸로 한다).
② “우리가 앉을 수 있는 것에는 뭐가 있지?”의자, 소파 등
☞ 발전된 답 : 땅바닥, 엄마의 무릎, 신문지, 계단, 쇼핑백 등

아이가 엉뚱한 대답을 하면,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무조건 틀렸다고 해버리면 아이는 크게 실망한다. 아이의 상상력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나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좋다. 아이가‘발전된 답’을 생각하지 못하면 엄마, 아빠가 몇 가지 정도의 답을 말해주고 그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해줘야 한다. 몇 번 반복하면 아이는 다양하게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 사물을 정확하게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준다

엄마, 저기 있는 게 뭐야?”
“응, 꽃이야.”
대다수의 엄마 아빠들이 아이의 물음에 이런 식으로 대답한다. 언뜻 보면 적절한 답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대답을 바꿔보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응, 저건 국화야. 노란 꽃잎이 참 이쁘지?”
“장미꽃이 활짝 피었네. 빨간색이 참 곱다.”
“이건 코스모스야. 꽃잎이 바람에 하늘하늘 움직이네.”
무조건‘꽃’이라고 배운 아이는 다양한 꽃의 종류에 대해 무관심하기 쉽다. 무언가 달라 보여서 물어봐도 여전히 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물의 정확한 이름을 들으면서 자란 아이는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능력이 남다르고 표현력도 풍부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