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산수화 테마 한국문화사 6
고연희 지음 / 돌베개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업시간에 아이들에게 정선의 <금강전도>를 보여주면 극소수의 특이한 애들을 제외하고는 뭐 시큰둥하다.
그런데 다음편에 바로 금강산의 촬영사진을 보여주고 그림과 비교해주면 바로 탄성이 새어나온다.
즉 <금강전도>의 금강산 그림이 실제 금강산의 산수화 많이 닮았다는걸 인정하는 탄성이다.
그러면 그 그림은 순식간에 잘 그린 훌륭한 그림이 된다.
그런데 이런 기준을 들이대고 우리 산수화를 보면 감탄할만한 산수화는 거의 없어져 버린다.
서양화가 끊임없이 물질세계를  모방하고자했던 것과 달리 동양화는 물질적세계보다는 그 반영으로서의 정신세계에 더 비중을 두고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의 미감은 어느 새엔가 서양 미술의 미감쪽으로 많이 틀어져 있는 듯하다.

이유가 뭐냐고 물으면?
뭐 서양을 베끼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우리의 근대사에 일단 책임의 많은 부분을 돌릴것이며, 또한 우리 미술의 정신을 제대로 보존하고 가르치고 대중화하지 못한 미술계와 교육계에 나머지 책임을 돌릴 것이다.
하지만 책임을 돌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닐터이고...
결국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미감을 되찾는 그래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잡힌 미감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산수화의 미술적 아름다움이나 예술적 성취에 대해서 미적분석을 하는 책은 아니다.
각 시기별로 어떤 산수화가 주로 그려졌으며 그런식의 산수화가 그려진 사회적 지적 배경이 무엇인가 하는 것.
그리고 그것이 표현하는 시대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산수화의 사회사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든다면 위에서 조선초기의 산수화가 청산백운을 주요 소재로 그려졌던 것은 극심한 정치적 혼란기에 개혁을 주도했던 사대부 계층들이 자신의 이상향을 반영한 것으로서 읽어야 한다는 식이다.
조선 중기 산수화는 엄격한 사림학자들에 의해 설정된 산수이미지였다.
현실이 혼란하면 마땅히 돌아가 몸을 깨끗이 보신해야 하는 공간이요, 현시로가 격리된 공간이었다.
그리하여 그곳은 은자가 거할 만한 깊은 산이거나, 은자가 보란 듯이 버티고 앉은 공간 혹은 주자와 제자들이 노니는 무이산이었다.
진출과 후퇴를 거듭했던 사람파들에게는 아마도 딱 맞는 그림의 주제였으리라....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에는 산수화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된다.
그런데 가끔은 정말 그럴까라는 생각이 안드는 것도 아니다.
별로 잘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마음을 설레게 하는 그림들이 있다.
그건 동양화에도 있고 서양화에도 있다.
하지만 그림을 보면 볼수록 드는 생각은 서양화는 뭔가 설명을 듣고 공부해야 맘에 와닿는게 많은 반면,
한국미술의 경우에는 그림이든 다른 미술품이든 아무것도 모름에도 불구하고 맘을 때리는 게 더 많다는 것.
그건 어쩌면 우리가 서양화의 길을 그렇게 걸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속에 어쩔 수 없이 남아있는 미의식의 원형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진리라는 것은 그런 미의식의 원형도 갈고 닦지 않으면 언젠가는 무뎌지고 무뎌져서 결국은 그 잔해조차 찾을 수 없게 되어버린다는 것일게다.
굳이 우리 문화가 다른 문화에 비해서 뛰어나고 어쩌고를 논할 필요는 없다.
문화란게 원래 그런 우월비교의 대상이 될수 없으니 말이다.
다만 우리가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의식이기에 그것은 서양화나 다른 곳에서 온 것보다는  우리 생활과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게 더 쉬울것이다.
우리 문화 우리 예술을 알자고 하는것은 내게는 그정도의 의미다.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풍요롭게 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아무리 뛰어난 미술이라 하더라도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말이다.

서양화에 비해서 너무나도 제대로 알려져있지도 않고 대중화도 안되어있는 한국화 분야에서 소중한 책 한권을 건졌다.
훌륭한 도판들과 저자의 친절한 설명이 조선의 산수화와 선비들의 세계로 나를 인도한다.

덧붙여
돌베개 출판사에서 펴내는 테마 한국미술사 시리즈는 훌륭한 기획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별로 돈도 될것 같지 않은 이 시리즈를 계속 펴내는 무모함에 박수를 보내고,
또한 정말 정성을 다해 만든 것이 명백히 보이는 그 수고로움에 감사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리오 2007-05-07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제가 꼭 보고싶었던 종류의 책이었던 것 같아요. 아이 좋아라... ^^

바람돌이 2007-05-07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사하는 쪽들이 대부분 예술도 사회사로 보는쪽으로 관심이 많죠? ㅎㅎ 저도 그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