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월,『김소월 시집 진달래꽃』,(나태주 시평), 알에이치코리아(RHK), 2020-03-15.
  • 산유화, ‘소월(素月)에게 정치를 듣다’

1.

소월(素月)은 살아있다. 상상해보라. 어둑해지는 밤길, 맑고 흰 달이 뜨고 지고, 다시 뜨고 다시 진다. 채웠다 비어가고 비었다 채워간다. 비었을 때 채움을 상상하고, 채웠을 때 비움을 상상한다. 그것은 달의 생명이다. 밤길을 걸을 때, 그 언젠가 꼭 한번은 볼 것이다. 나는 기억해두고 있다. 밤하늘 소월은 실현되는 상상, 현실이다.

소월이라는 시인이 있다. 그의 시 한 두 편은 삶 곳곳에 숨처럼 스며있을 것이다. 봄날 산길을 걷는다면, 그의 시들은 더욱 오롯하다. 맑은 달빛 아래라면 밤이 수채화처럼 번지는 길이라도 그의 시는 오히려 선명하다. 소월의 시에서는 밤새 꽃이 지고 핀다. 달이 뜨고 달이 진다. 아침이 되면 꽃은 다시 피고진다. 그 틈에 봄날은 저만치 흘러가다 되돌아온다. 생명이 자유하며 진보한다.


2.

며칠 전 산길을 걸은 적이 있다. 나는 산을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했다. 앞으로 가는지 뒤로 가는지 분간하기도 어려웠다. 이 길과 저 길을 돌고 돌았다. 지친 몸을 다독이며 걸어야 했다. 다행히, 산 길에 지천인 진달래가 나를 위로한다. 새가 있고, 바람이 있다. 위로부터 내리는 선물이다.

그 산 길에 핀 꽃은 진달래만은 아니었다. 산에는 여러 꽃이 있다. 산벚꽃도 무수히 날렸고, 산수유도 옹골찬 노란색으로 당당했으며, 개나리는 천연덕스럽게 온 길을 물들여버렸다. 산유화(山有花)다. 소월이 남긴 시를 기억한다. 어떤 시는 마음과 몸에 각인되어 있다. <진달래>가 그렇고, <산유화>가 그렇다. 시 <산유화>가 바람 따라 자연스럽다.


3.

산유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적은 새요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시집 『진달래꽃』(1925)에 수록-


4.

그 날, 소월은 꽃을 보았던 모양이다. 그의 앞에 꽃피고, 꽃지고, 홀로 있고 함께 있으며, 계절은 이어져가는 꽃세계가 펼쳐진다. 그는 그려본다. 가을은 봄으로 가고, 가을 끝에 겨울은 사라져버린다. 계절의 시작은 봄이 아니다. 오히려 가을이다. 시인에게는 나무가 죽음으로 돌아가는 순간이 계절의 출발선이다. 그렇게 죽음과 삶은 함께 있다. 시인 윤동주가 죽음을 향해 가면서도 ‘죽어가는’ 모든 것들은 ‘사랑’하려는 마음을 간직할 수 있는 힘을 흘깃 엿볼 수 있다. 시인은 죽음으로써 삶을 본다.


소월은 이 시에서 시간을 섞어버렸다. 공간도 해체해버렸다. 그는 대립하는 것들을 동시에 보고 있다. 발표 당시 완벽하게 ‘기적같은 구성’을 보인다는 평은 과찬이 아니다. 비평에 따르면, 4연으로 구성된 짧은 시에서 그는 삶과 죽음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인간의 눈으로 최대한 완벽하게 서술했다고 한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5.

소월은 상상하며 은유한다. 산, 꽃, 적은 새, 갈-봄, 여름, 가을은 시 안에서 자유로운 상상매개체다. 나는 이 매개들을 힘입어 자유로운 은유 속을 유영한다. 그러다 순례하는 생명들과 그들이 어울려 사는 ‘공동체’를 만난다. 이유는 이렇다.


5-1. 시의 공간

공간은 둘이다. 동시에 하나다. 먼저 산이 있다. 산은 물체적이며, 구상적이다. 그는 산 속에 들어와 꽃이 피고 지는 사건을 동시에 보고 있다. 다른 하나가 있다. 꽃과 자신 사이다. 꽃은 ‘저만치’에 피어있다. 그렇게 꽃은 홀로 핀다. 자신은 그 꽃을 본다. 시인은 이 꽃에서 홀로 존재하는 모든 인간을 본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꽃과 시인 사이에 공간이 있다. ‘저만치’는 가리키는 이가 내뻗는 거기까지다. 정해지지 않았으나 정해져있다. 정할 수 없으나 손에 잡힐 듯하다. 특정할 수 없으나 특정할 수 있다. ‘저만치’는 나와 그것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 공간이다. 이 공간은 시선이 만나야 확정되고, 시간이 겹쳐야 비로서 살아나는 공간이다. 경계는 처음부터 중요하지 않다. 마음에 그은 선, 그것이 ‘나-저만치’ 사이를 가를 뿐이다.


나는 소월이 설정한 두 공간이 소월 자신이 직시하는 상상세계이면서 동시에 현실세계라는 생각을 한다. 힘에게 자유가 압제당한 채 살아있는 유약한 자기세계를 보는 것이다. 그는 산을 보고 있으면서 동시에 자신이 그 산 어딘가에 홀로 자리하고 있음을 목격한다. 자신의 자리는 저만치 떨어진 꽃에 의해서 정해진다. 그와 꽃 사이에 거리가 있다. 그 빈 거리에 ‘적은 새’가 날아든다. 새는 이 산을 좋아한다. 떠나지 않는다. 꽃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꽃이 되어 새에게 자기 마음을 건넨다.


5-2. 시의 시간

이 시에서 시간은 하나다. 계절이다. 눈에 띄는 표현이 있다. ‘꽃피고 진다’. 개화(開花)와 낙화(落花)는 구분되지 않는다. 동시성이다. 시인에게 꽃은, 피면서 지고, 지면서 핀다. 그에게서 시간은 ‘나눠지니 않는 영원’이다. 끊어지지 않으면서 순서도 사라진다. 봄-여름-가을일 필요도 없다. 갈-봄-여름이어도 좋다. 가을과 봄 사이에 겨울을 억지로 인식할 필요도 없다. 시인에게는 가을이 지나면 봄이 올 것이다.


그렇게 시간은 한 줄기 강처럼 정해져 흐르지 않는다. 시간은 공간 사이 어딘가에 찍혀있는 좌표다. 흐르는 시간에 막무가내 밀려갈 이유가 없다. 앞으로가다 물러서기도 하고, 물러서다 힘차게 도약하기 때문이다. 시인에게 시간은 경계없는 공간이다. 공간은 자유로운 시간이다. 시간은 해체된 공간이며, 공간은 분산된 시간이다.


5-3. 시의 시공간-그것을 채우는 새-꽃-인간

이제 시인은 시간과 공간을 한데 묶었다. 산은 꽃과 새와 인간에게 생존터전이다. 시간과 공간은 마침내 시공간으로 태어난다. 이 산에서 과거-현재-미래는 과거현재미래다. 과거는 현재이며, 동시에 미래이기도 하다. 현재는 과거이면서도 또한 미래다. 미래는 과거, 현재를 모두 아우른다. ‘동시성’이다. 공간도 그렇다. 여기와 저기를 가르는 경계가 사라졌다. ‘무경계성’이다. 여기는 곧 저기다. 산에는 계절없이 꽃이 있고, 적은 새가 있으며 시인이 있다. 시인에게 이 산은 창발된 시공간이다.


이 산은 함께 사는 터전이 된다. 홀로 핀 꽃들과 그 꽃으로 날아드는 적은 새, 시인 자신이 함께 산다. 꽃은 이 산에서 언제나 핀다. 또한 그 꽃은 ‘저만치 홀로’ 있다. 새가 날아든다. 꽃이 거기 때문이다. 새는 산을 떠날 마음이 없다. 새는 꽃이 좋다. 시인은 꽃과 새에게서 자신을 본다. 시인은 ‘홀로 핀 꽃’이자 ‘적은 새’이기도 하다. 시인도 새처럼 꽃을 좋아한다. 새처럼 꽃을 떠나지 않는다. 산을 떠날 마음도 없다. 분명 어느 날 꽃은 질 것이다. 새는 날아갈 것이다. 인간은 돌아갈 것이다. 꽃이 피어나는 날, 시인은 환호했을 터이고, 지는 날 시인은 회한이 밀려왔을 것이다. 새가 날아들 때 시인은 기뻤을테고, 날아갈 때 아쉬웠을 것이다. 시인이 꽃을 찾아올 때, 꽃은 행복했을 것이며, 돌아갈 때 슬펐을 것이다. 새가 자신 위에 앉았을 때 감격했을 것이며 날아갈 때 애둘러 마음을 다잡았을 것이다. 그들에게 모든 대조는 동시에 일어난다. 그렇게 삶은 죽어가고, 죽음은 살아간다. 그것을 모르지 않는다. 그의 시가 만들어낸 세계가 흥미롭다. 시공간에서 새와꽃과시인은 홀로 있으면서 함께 살고, 진다. ‘거리를 두면서’, ‘거리를 없앤다’.


6.

나는 소월이 그려낸 이 산에서 ‘정치’(政治)를 읽는다. ‘그의 시는 진정 정치인가?’ 이 질문을 위해 나는 다시 시(詩)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


6-1. 시란 언어로 만드는 세계다

시(詩)란 경계없는 집, 우주(宇宙)다. 글자들로 축조하는 끝없는 ‘사상 공간’처럼 보인다. 이 글자와 저 글자가 만난다. 저 단어와 이 단어가 마주친다. 그림이 그려진다. 사물과 사물이 어울린다. 새로운 사물과 사건이 창발한다. 글자와 단어, 문장이 얽히고 설킨다. 마침내 단단한 사상으로 소생한다. 시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손에 잡히듯, 글로 그려내고야 만다. 결국 시는 상상이면서 동시에 살아있는 현실세계다. 우주이면서 자기 사유를 자유롭게 발현하는 개인국가다. 모든 개인은 ‘저만치’ 홀로 핀 우주-세계다.


6-2.시란 언어로 만든 현실이다.

시는 이미지다. 직유가 아닌 은유를 택함으로써 현실은 상상으로 치환된다. 그리고 다시 상상은 현실로 소생한다. 은유로서 시는 시간을 포괄하며, 공간을 아우르고 마침내 시간과 공간을 한데 엮어버린다. 은유로서 시는 서로 떨어져 있어도, 가까이 있다. 거리와 간극이 상쇄된다. ‘거리두기’와 ‘거리없기’를 구분하는 시도가 의미없는 이유다. 시 안에서 거리와 간극은 동시다.


한 가지 더 염두에 둘 것이 있다. 시는 자유하면서 동시에 절제한다. 나는 이 속성이야말로 시가 정치(政治)인 한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이 속성은 시가 정치에 대한 정의에 기여하는 힘이다. 정치가 ‘의도를 가지고 물길을 다스리듯 지혜롭게 헤아려’ 가는 일이라면 ‘시는 당연히 정치다.’ 시인은 당연히 정치인이다. 그는 상상으로써 현실세계를 포착하는데 탁월하기 때문이다.


7.

이제 나는 생각한다. 정치인은 당연히 시인의 길에 들어서야 한다. 시의 길에서 정치인은 시인이 포착한 저 상상세계를 여기 현실에 투영하는 ‘시의 수행자’가 된다. 정치인이 시인의 상상을 현실에 투사할 때, 비로서 정치는 정치답게 실현될 것이라 나는 확신한다.


나는 소월의 <산유화>에서 이런 정치를 상상한다. 나는 이 시에서 세 가지 정치덕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일관성, 고독성, 연대성이다.


첫째, 일관성이다. 꽃은 피고 진다. 지고 핀다. 생명은 이렇게 새롭게 전진하며 순환한다. 한결같다.

둘째, 고독성이다. 꽃은 홀로 핀다. ‘저만치’ 피어있다. 어느 꽃도 뒤섞이지 않는다. 생명은 모두 고독하다. 홀로 있다.

셋째, 연대성이다. 새가 날아든다. 홀로 핀 꽃 위에 내려앉는다. 새는 꽃을 떠나지 않는다. 새는 꽃과 함께 있다.


8.

산은 그렇게 살아있다. 소월은 그 세계를 상상하고, 그려낸다.

그가 노래한 것처럼 꽃-새-인간은 홀로 있으면서 함께 있다. 피었다지고, 날아들다 날아간다. 정치인은 시인이 상상해 낸 세계를 현실 속에서 실현할 용기를 가진 자이다. 그 상상을 함께 기억하도록 돕는 매개시인이라는 말이다. 시가 그려내는 상상을 마음에 담지 못하고, 적절하게 기억해내지 못하는 정치와 정치인은 슬프다. 정치인은 시인이 상상히는 세계를 몸 어딘가에 늘 각인해 둘 필요가 있다. 그는 사람들에게, 이 세계 앞에서 그 상상세계를 쉼없이 기억해내고 현실로 재현할 용기와 지혜를 끄집어 올려야 한다. 정치는 상상을 버리고 현실에 안주하려는 이들에게 기억으로써 일깨워야 한다. 기억저항으로 호소해야 한다.


9

그것을 위해 정치인은 말하지 않아도 저절로 내 몸에서 소생하도록 잊을 수 없는 사건을 시로 간직하고 살아야 한다. 기억이란 자주 듣고, 떠올리면서 강화된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기억되는 일은 드물다. 만약 그런 경우가 있다면, 그것은 기억이 아니라 충격과 트라우마에 가깝다. 기억이 뇌가 아니라 몸에 장착될 때, 비로소 기억은 망각에 저항하며 살아있는 실체가 된다.


나는 바른 정치를 꿈꾸는 세계를 살고 있다. 나는 시인이어야 한다. 정치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시이면서 정치는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세계에서 기억해야 할 것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위로하고, 버려야 할 것을 망각하도록 도움으로써 격려할 것이다. 이것이 이 시대, 새로운 정치인의 책임이며, 의무이자, 권리다. 정치인은 시인일 때 빛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