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의승 옮김 / 뜻이있는사람들 / 2003년 3월
평점 :
소설을 읽다보면, 딱히 독후를 어찌 할 바를 모르겠는 소설이 있다. 좌절된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지극히 따분한 소재와 자본의 힘에 기댄 이기적인 인간과 순수한 욕망을 쫓는 사람 간의 갈등 같은 지극히 단조로운 구도인 <위대한 개츠비>는, 읽고 나서 '정말 충격적입니다' '마음이 따뜻해져요' 하는 즉각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이것을 읽는 동안 분명한 것은, 어느 로맨스 소설에서 볼 법한 인물 관계도와 그 안에서 쉽게 예측가능한 사건을 축으로 도는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에는 인간 내면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붙잡아두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솔직히 그것은 스무 살 적에는 약간 지루해서 견딜 수 없는 것이었다. 소설 속 이야기가 결코 내 삶과 결부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였다. 개츠비의 삶은 사치스럽고, 아메리칸 드림이 곳곳에 전염된 당시의 미국은, 쟁취할 꿈이나 대상이 없는 스무살 여자 아이에게 허공에 뜬 세상 같았다. 그러나 시간이 칠, 팔년 쯤 흘러 다시 읽으니 이 소설을 읽는 독자는 결코 개츠비나 데이지의 입장에 있지 않으며, 그나마 소설의 입장이 되어볼 수 있다면 그것은 개츠비가 설정한 화자_어쩌면 자신은 개츠비와 직접적인 상관이 없지만 개츠비에게 일어난 사건에 내적으로 깊이 관여된_ 닉일 것이다.
사실 독자는 개츠비에 대해 노출되어 있지만, 그것은 어느 정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신의 내적 성장을 통해 개츠비에게 갖가지 의미를 부여하는 '닉'이라는 인물을 통해 여과된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가 공감하게 되는 이는 '개츠비'가 아니며, 개츠비에게 뭔가를 기대했다면, 더군다나 제목만 보고 위대한 뭔가를 기대했다면, 그 기대는 여지없이 좌절되고 만다. 읽는 입장에서 지적, 감정적 동의를 구하는 이가 '닉'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면 위대한 개츠비에 대해 '왜 개츠비가 위대한 것인지요?'하는 물음을 그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 경우에는 스무살 적에 '개츠비'에 초점을 두고 있던 시야가 이제는 '닉'쪽으로 확대된 것에 의의를 둘 수도 있다.
예전에 소설가 김영하의 팟캐스트를 들으면서, 정말 잘 써진 소설은 어떤 한 구절이 와 닿는 게 아니라 소설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한 권의 소설을 읽고 났을 때 잔상이 밀려오는 것이란 얘길 들은 적이 있다. 책을 보다가 좋은 구절이 나오면 꼭 메모를 남기는데 위대한 개츠비를 읽을 때는 두 번 다 그런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 그저 소설을 다 읽고, 덮었을 때 희붐하게 눈 앞에 펼쳐지는 에클버그 박사의 눈, 그리고 톰 뷰캐넌과 데이지의 이기심, 인물들 간의 모호한 관계, 그리고 '왜 닉은 그토록 개츠비를 옹호하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남았다. 이러한 잔영과 의구심이 소설을 다시 들춰보게 한다면, 이 소설에 대해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다만 다시 보고 싶게 만들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감동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부시절 서양문학산책이란 교양수업에서 위대한 개츠비를 분석해서 조망한 기억을 어렴풋이 떠올리면, 그때는 아메리칸 드림의 좌절과 이스트에그와 웨스트에그라는 두 개로 분리된 사회의 상징성, 그리고 개츠비가 바라보는 초록불빛이라는 이상향과 개츠비 자신이 만들어낸 환상의 껍데기일 뿐인 데이지라는 당시 일반적 인간군상 같은 것을 배웠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개츠비를 읽고나서 그런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심오하게 따져보기 않기 때문에, 이 소설이 역사의 한 줄기에 있다는 것이 이상하게 여겨진다. 아무리 읽어도 잘 모르겠다. 나에게 이건 소설에 반영된 '시대상'이 아니라 그런 시대상을 창조해낸 소설로 보였으니까. (그리고 이런 소설이 아무래도 시대상을 반영한 소설보다 훨씬 높이 평가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_이미 있는 것을 소설 속에서 보여줄 때도, 여기 없는 것처럼 표현해야지, 그래야 독자는 소설에 속아넘어간다)
<위대한 개츠비>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언급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를 얻은 것 같다. 번역본이 여러가지라 무엇이 좋을지 따져보면 평생 못 볼 경우도 있을 듯하다. 나는 우연히 학교 도서관에서 빌린 책으로 보았고 나쁘지 않았다.(김의승 번역, 뜻이 있는 사람들) 무라카미 하루키가 위대한 개츠비를 세 번 보면 자신과 친구가 될 수 있다고 했다는데, 난 이제 한 번 남았다. 한 번 더 보면 정말 하루키랑 친구가 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