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기 시작한 게 2주일 정도 된 것 같은데, 그 사이에 나는 어떤 회사의 2차 전형까지 합격하고, 방금 3차에서 떨어진 상태다. 마치 시기적절하게 이런 책을 읽고 있는 것이 신기하기도 한데, 어쩌면 구직하는 과정에서 나도 모를 불만감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난 6년이나 대학에 다녔는데,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난 여기서 그럭저럭 열등감없이 공부해왔고, 영어도 했고, 신문도 읽고, 손석희의 시선집중도 열심히 들었는데, 왜요, 왜, 내가 제일 답답한 건 여기서 뭘 더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노력하지 않았다, 라고 할 수 없지만, 다들 열심히 하기 때문에 이 정도로는 부족한 것 같다. 이럴 때 방법은 한 가지, 뛰는 놈 위의 나는 놈이 되는 것이겠지. 그런데 다들 이런 생각이니까, 다들 나는 놈이 되어버리니까 갈수록 힘들어진다. 게다가 이번에는 4차 면접까지 치른 후 300명 중에 겨우 1명을 뽑는 것이었으니 달리 할 말이 없긴 없다. 

 현재 이 책을 180여 페이지 읽고 있는데, 책에 의하면, 우리 나라 직업 중에 열정노동에 지배당하지 않는 직업군이 거의 없는 것 같고, 그나마 스스로가 '노동자'가 아니라 '창작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업'도 사실은 가장 열정노동을 강요하는 분야일 수 있다. 물론 본인은 그렇게 느끼지 않고, 만약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말 좋아서'라기보다는 '너희는 좋아하는 일을 하잖아'라는 말로 '좋아서 하는 일'에 대한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적인 의식을 당연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외국의 사례를 비교하면서 우리 나라는 역시 모든 면에서 젊은이들 복지에 취약하는 것을 보여주니까, '한국은 왜 이러나'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영어권에서 태어나지 못해 몇 년이나 영어에'만' 투자해야 하는 이 운명이 야속하기도 하고-영어권에서 태어났으면 그 시간에 다른 것을 할 수 있었을 테니까- 여튼, 여튼, 여러가지 생각을 든다. 특히 요즘 대학생들의 반값 등록금 시위와 맞물려 20대 청춘을 '젊음'이라는 자본을 가진 '강자'로 착각하는 건지, 혹은 청춘에게는 이미 '젊음'이 보장되어 있으므로-돈 주고도 살 수 없는 것이므로- 그들의 희생은 당연한 것인지, 뭐, 나는 내 청춘이 그렇게 청춘답다고 말할 수 없으므로 내가 얼마나 강한지도 알 수 없지만, 어쨌든 반값 등록금 시위 현장을 트윗으로 속달받으면서 느낀는 것은, 20대는 여기까지 왔구나-정말로 와 버렸구나 어쨌든 오긴 왔구나- 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이 현실을 계속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나도 얼마 전까지는 이런 생각 결코 하지 않았는데, 정말 사회순응적인 인간이었는데, 지금도 굉장히 순응적인 편이지만, 돌이켜보니 내 삶이 돌아가는 사이클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고 '취업고민없는 자유로운 젊음'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그냥..세상이 20대에게 공부할 시간을 더 줬으면 좋겠고, 그리고 근무 여건이 괜찮아서 조금 덜 받더라도 일할 맛이 난다는 소문이 도는 취업자리가 좀 더 많았으면 좋겠다(솔직히 공사,공단을 희망하는 것도 그런 것이니까). 유토피아를 바라는 것이 아니고 디스토피아를 바라지 않는 건데, 어쨌든 난 그렇게 힘들어 죽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를 생각하면 조금 막막하다.  

_트윗: 그래서방금내린결론은영어를더하고(말하자면토익이고)신문을미친듯이읽고시사지를읽고매주한편씩논술을쓰고수학문제를더빨리풀수있도록구몬학습을신청하고내가가고싶은기업의홈페이지를이잡듯뒤져야겠다는것그러나문제는여기에어떤비판같은것이없다는것이다그냥그렇게해야겠다고내가생각하고있다는것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토끼 2011-08-14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열정은 노동(강제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모든 부류의 일)에 대한 거부에서부터 시작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