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이 눕는다 - 김사과 장편소설
김사과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나는 병적으로 '사람'에 대해 생각한다. 나에 대한 생각은 거의 안 하고 나 아닌 사람에 대해서 자주 생각한다. 내 눈에 밟히는 사람. 밟힌다는 표현이 좀 이상하지만 다른 표현이 떠오르지 않는다. 내 눈이 그 사람을 티 나지 않게 밟고 지나가는 거다. 하지만 티 안 나게 밟을 수는 없지. 어떤 식으로든 그 흔적이 남는다. 그 흔적이라는 거, 말하자면 쓸쓸함 같은 거다.
풀이 눕는다를 읽고 내가 왜 여기에 공감하는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나 자신에 대한 의심, 아니 의심이라기보다 난 아직도 이런 사람인가에 대한 실망, 그리고 기쁨이 뒤따랐다. 실망하고 기뻤다는 게 말이 안 될 수 있지만, '내가 아직 이걸 잃지 않았다니'와 '아직 난 이런 사람이구나. 아직도. 아아-이런.'은 동시적으로 아이러니하게 일어나야한다. 그게 더 맞는 것 같다. 사람의 마음이 언제나 명확하게 a 아니면 b여야 한다면 솔직히 말해 책을 읽을 필요도 쓸 필요도 생각할 필요도 뭔가 나눌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까 풀이 눕는다를 읽으면서 책 속으로 쑥 빨려들어가 '난 변치 않는 건가, 씨z' '내 욕이 나랑 어울리지 않는 것도 그런 건가' 했다.
이 소설은 장편치고 이야기가 단순하다. 하지만 흐름이 좋고 욕과 마리화나와 죽음과 짜증의 안배가 적절하다. 참말이지 청춘은 가난해서 슬프고 슬퍼서 가난하다. 나도 그렇지만 대부분 비슷한 것도 아니고 완전 똑같은 미래를 꿈꾸며 살아간다는 게 때론 신기하고 때론 지긋지긋하다. 다른 미래라는 게 있긴 있는 걸까?
풀과 '나'(화자)는 둘이서 행복하지만 둘이서만 살 수는 없으니까, 타협(세상과의?) 혹은 비극 중에 선택해야 했다. 그들은 비극을 선택해서 비극적이 되었고 (아마 타협을 선택했으면 타협적이 되었겠지) 여튼 그랬던 거다. 나는 둘이 헤어졌을 때 풀이 "너도 날 버리는 거잖아. 마찬가지야" 하며 소리칠 때 정말 마음이 아팠다. 그게 '나(화자)'가 스스로도 풀을 버리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풀이 저렇게 다 토해내 말하는데도 거기에 부딪쳐 할 말이 없는 상태가 된 거다. '나'는 아무때나 풀을 두고 도망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맘 편하게 풀하고 지냈던 거니까 '나'는 풀에게 상처 준 '나'가 무서웠을 거다. 그래서 풀을 다시 만나도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었겠지. 그래서 이건 정말 슬픈 소설이다.
책을 읽고 곧바로 리뷰를 써서 그런지 아직도 책 속에 있는 것 같고, 태양 아래 파도에 휩쓸리다가 이제 물가에 쓰러져 닿은 것 같다. 헤엄치지도 않았는데 여기까지 와버려서 좀 당황스럽다고 할까. 미나는 아직 안 읽었는데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