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봄학기에 문지문화원 "사이"에서 스피노자 강좌를 하나 하기로 했습니다.
올해와 내년에 각각 스피노자에 관한 책을 한 권씩 내고 싶어서
그동안 쓴 원고를 수정, 보완하고 새로 필요한 원고를 쓰고 있는데,
이번에 강의할 내용은 올해 낼 책의 원고를 바탕으로 한 강좌입니다.
스피노자, 특히 그의 {윤리학}에 관심 있는 분들은 한번 들어보셔도 좋을 듯.^^
사실 기회가 된다면 무료 강좌도 한번 하고 싶은데,
아마 그건 조금 더 있다가 해야 할 듯. ^^;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문지문화원 "사이" 사이트에 실린 더 상세한 강좌 소개가 나옵니다.
http://www.saii.or.kr/academy/read.php?type=&flag=353
|
 |
진태원 |
 |
매주 화요일 19:30~21:30 |
|
 |
09년 3월 24일부터 12회 |
 |
일반 |
|
 |
|
|
|
|
강좌 소개 |
 |
이 강좌에서는 스피노자의 대표작인 『윤리학Ethica』의 주요 주제들을 다뤄볼 것이다. 스피노자는 서양 근대 철학의 대표자 중 한 사람이고 알튀세르, 들뢰즈, 네그리, 발리바르 같은 현대 주요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철학자다. 하지만 그의 대표작인 『윤리학』은 난해함 때문에 전공자가 아닌 독자들이 접근하기 매우 어려운 책이다. 이번 강좌에서는 『윤리학』의 핵심 주제를 다룸으로써 일반 독자들이 스피노자 철학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해보려고 한다.
○ 참고
이번 강좌에서는 한글로 번역된 『에티카』(강영계 옮김, 서광사)를 기본 교재로 삼을 예정이니, 외국어를 잘 모르는 분들도 많이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윤리학』의 좋은 외국어 판본에 대해서는 강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강의 계획 |
 |
|
|
|
1주 |
|
스피노자의 생애와 사상
첫 강좌에서는 스피노자의 생애와 사상을 간략하게 다룰 것이다. 스피노자는 매우 극적인 삶을 살았던 철학자이며, 그의 생애는 그의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이 강좌에서는 당대 네덜란드의 정치적, 사상적 배경 및 스피노자가 속해 있던 급진적인 사상의 흐름을 함께 다뤄볼 것이다. |
|
|
|
2주 |
|
스피노자 철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두 번째 강좌에서는 본격적으로 『윤리학』 읽기를 시작한다. 『윤리학』이 상당히 낯설고 어려운 책이고, 스피노자 철학이 이데올로기적 편견과 덧칠로 뒤범벅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강좌에서는 우선 스피노자 철학을 읽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 것이다. |
|
|
|
3주 |
|
스피노자의 신은 누구인가?
『윤리학』 전체, 특히 1부와 2부에서는 계속해서 신이 등장한다. “자기원인” 개념을 중심으로 스피노자의 신은 초월적인 인격신인지 아니면 모든 신학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내재적 인과관계의 구조인지 살펴본다. |
|
|
|
4주 |
|
실체, 속성, 양태
『윤리학』을 읽는 독자들이 1부 첫머리에서부터 부딪히는 어려움은 실체, 속성, 양태, 변용 같은 낯선 개념들의 낯선 용법이다. 네 번째 강의에서는 실체, 속성, 양태 같은 주요 개념들을 통해 스피노자 존재론의 특성을 알아본다. |
|
|
|
5주 |
|
스피노자 철학과 과학혁명
스피노자 당대는 유례가 없는 거대한 과학혁명의 시대였으며, 스피노자는 자신의 철학에 과학혁명의 주요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철학자 중 한 사람이다. 이 강좌에서는 스피노자 의 독특한 인과이론을 중심으로 스피노자 철학과 과학혁명의 관계를 살펴본다. |
|
|
|
6주 |
|
개체란 무엇인가?
스피노자 철학에는 개체성이나 주체성의 자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헤겔은 비판했다. 과연 헤겔의 비판이 적절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노자 철학은 개체성 및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마련해주는지 검토해본다. |
|
|
|
7주 |
|
코나투스와 스피노자의 인간학
코나투스(conatus)는 스피노자 철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개념 중 하나지만 그리 정확히 이해되지는 못하고 있다. 7번째 강좌에서는 당대의 이론적 맥락에서 코나투스 개념이 어떻게 쓰였으며 스피노자는 이 개념에 어떤 독자적인 의미를 부여했는지 다뤄본다. |
|
|
|
8주 |
|
상상의 철학자 스피노자
보통 생각되는 것과는 달리 스피노자 철학, 특히 스피노자의 인간학을 이해하는 데 상상이라는 개념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8번째 강좌에서는 스피노자 상상 개념의 특징과 중요성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
|
|
|
9주 |
|
변용과 정서
변용(affectio)과 정서(affectus)는 스피노자 철학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핵심 개념쌍이며, 또한 현대 철학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개념들이기도 하다. 이 강좌에서는 왜 이 개념쌍이 중요한지 이야기해본다. |
|
|
|
10주 |
|
모방의 심리학, 모방의 인간학
스피노자는 어떤 고전 철학자보다 정신분석과 가까운 철학자이며, 이는 그의 모방의 심리학에서 잘 드러난다. 10번째 강좌에서는 “정서들의 모방” 개념을 중심으로 스피노자 사회심리학의 매력을 엿보기로 한다. |
|
|
|
11주 |
|
자유의 철학자 스피노자
스피노자 철학에 대해 지겹도록 되풀이되는 비판은 스피노자는 결정론자이며, 따라서 자유의 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11번째 강좌에서 우리는 반대로 스피노자야말로 진정한 자유의 철학자 중 한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
|
|
|
12주 |
|
스피노자 철학의 현재성
스피노자는 현대 사상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이다. 마지막 강좌에서는 알튀세르, 들뢰즈, 네그리, 발리바르, 에스포지토 같은 사상가들의 철학에서 스피노자는 어떻게 재창조되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