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그인 2008-01-25  

balmas님, 아래 사진의 도자기들이 바로 이탈리아 도공들이 제작한 백자들이에요. 2001년 이탈리아 세라믹 비엔날레에서 히트쳤던*^^*

이수경씨는 조선 백자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이탈리아의 도공들에게 몇년 전 작고하신 김상옥 선생님의  <백자부(白磁賦)>라는 시와 도자기 사진들을 보여주었대요.(제 사촌동생 말로는 이 시는 고등학교 모의고사에서도 곧잘 나온대요-_-;; 머..백자는 선비의 순수한 절개를 암시한다..머 이런게 아닐까요??) 이탈리아 도공들은 이를 토대로 자기네들이 상상한 위의 백자를 만들게 되었던 거죠. 그런데 잼나는 사실은 이탈리아 도공들이 읽었던 김승옥 선생님의 시는 컴퓨터 자동 번역 프로그램을 이용해 한글을 영어로 번역한 다음, 이것을 다시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것이라는 점이죠. 2000년도 즈음에 컴퓨터 번역프로그램이란 아마도 신뢰할만한 수준은 아니었을 거에요. "Time flies like an arrow"가 "시간 파리들은 화살을 좋아한다"고 번역된다는 우스개 소리가 나돌 정도였으니까요^^; 하지만 이탈리아 도공들은 번역 프로그램의 질과는 상관없이 조선백자를 정성스레 빚었겠죠. 이수경씨는 이렇게 하이브리드한 도자기가 탄생하는 과정을 일부러 비디오로 담았는데, 당시 한 평론가가 이를 보고 위트가 넘치는 최고의 탈식민지주의적인 작업이라고 평했어요. 이 작업이 이탈리아에서 소개된 후 한국에 들어와서 제작한 작품이 바로 balmas님이 서재에 올린 임항택 선생님이 깨트린 도편을 붙여 만든 번역된 도자기들이랍니다.

이수경씨가 <번역된 도자기들>로 미술계를 놀라게 하기 전에, 제가 찍은(?) 작품이 있었는데요 한 번 올려볼게요. <순간이동 연습용 그림(Painting for out of body travel)>이란 제목의 캔버스에 아크릴로 그린 그림입니다.


오른편에 헬멧과 구명조끼, 팔꿈치 보호대를 천장에 매달아 놓은게 보이시죠.

저걸 착용하고 밑의 깔판 속으로 순간이동하나봐요^^;; <이상한 나라의 폴>이란 만화가 생각나네요.




이 그림은 80년대 강남에 우후죽순으로 생긴 아파트 실내에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 바로 입주자의 교양 수준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키치적인 그림에서 착안했다고 작가가 얘기하더군요. 일단 그런 그림을 입수한 후 반으로 뚝 자릅니다. 그러면 가운데 부분의 공백이 생기게 되는 그 부분을 작가가 아크릴 물감으로 색칠하는 거죠. 그림 오른쪽 밑부분에 손잡이가 보이세요? 이 손잡이로 그림 길이를 맘대로 조정할 수 있어요. 아파트라는 서양식(?) 공간 예절에는 반드시 쇼파가 있어야 하잖아요. 80년대 초반에 강남에 아파트가 생기면서 싸모님들은 한결같이 쇼파 위 벽이 허전하다는데 공감하고 그림을 사서 걸었었죠. 그런데 당시 동양화들은 대부분 세로로 길쭉한 액자에 표구되어 있었기 때문에 쇼파 위 벽에 걸기에는 무리가 있었어요. 그래서 싸모님들은 과감히 화가들에게 가로로 그려달라고 부탁했다죠. ㅎㅎ 그래야 쇼파 위 벽에 떡 하니 보기 좋게 걸어놓을 수 있으니까요. 사실 요즘도 심심찮게 재력있는 싸모님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그림 크기를 작가에게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수경씨의 풍자가 예사롭지 않죠?


 
 
balmas 2008-01-26 0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쫄바지님, 고맙습니다. "번역된 도자기" 연작 시리즈가 그렇게 시작된 거군요. 나머지 작품들도 정말 흥미롭네요. 이 사진들과 쫄바지님 설명은 여기 두기는 아까우니까 제가 페이퍼로 옮겨놓을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