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의 신규 세미나 안내
“새움”은 대중들 스스로가 진보적 지식을 공유하는 장입니다. 참가하시는데 어떤 제한도 없습니다.
1. 맑스주의의 역사
담당 : 한형식 (연세대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소개 : 공상적 사회주의에서 20세기 후반까지 맑스주의의 다양한 흐름들을 개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매주 1회씩 25회 정도의 일정으로 진행되고 일시는 참가자들이 의논하여 결정할 예정입니다. 아래의 자료는 현재 진행 중인2년 과정의 맑스주의 세미나 읽을거리입니다. 본 세미나에서는 이중 일부와 새로운 자료들을 볼 것입니다. 맑스주의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혀 없는 분들도 참가 가능한 입문 수준으로 진행할 생각입니다. 전체과정 중 관심 있는 일부과정에만 참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읽을 거리
(1) 개괄
-『열린사회주의, 닫힌 사회주의』, 역사비평
(2) 공상적 사회주의에서 제 1인터내셔널까지의 운동
-『세계사회주의 운동사 1』, 동녘
(3) 공상적 사회주의에서 제 1인터내셔널까지의 이론
- ‘맑스 이전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사상사』, 한울
- ‘맑스, 엥겔스와 맑스 이전의 사회주의’, 『역사적 맑스주의』, 새길
- ‘맑스와 맑시즘’, 『역사적 맑스주의』, 새길
(4) 맑스, 엥겔스의 정치적 저작들
-『경제학, 철학 수고』, 『공산당 선언』, 『프랑스 내전』, 『고타강령 비판』
- ‘Engels and the History of Marxism’ in The History of Marxism.
-『공상적 사회주의에서 과학적 사회주의로』
-『반뒤링론』 포이에르바하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
(5) 제 2인터내셔널 시기의 운동
- ‘The Second International’ in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Vol.1 : 1864-1914.
(6) 제 2인터내셔널 시기의 이론
- ‘제 1,2 인터내셔널 시기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중원문화.
- 사회민주주의의 기초 / 칼 카우츠키 지음 ; 이상돈 옮김, 백의
- 프롤레타리아 독재 /카를 카우츠키 저/강신준 역 | 한길사
-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민당의 과제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지음 ; 강신준 옮김.
- 자본주의의 구조적 위기와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이론’,『자본주의의 위기와 역사적 마르크스주의』공감
- 자본주의 붕괴논쟁 / F. R. 한센 지음 ; 임덕순 옮김.
-『룩셈부르크주의』, 풀무질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평의회 마르크스주의』, 공감
(7) 레닌
- ‘레닌’,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중원문화
-『무엇을 할 것인가』, 『4월 테제』, 『국가와 혁명』
(8) 제 3 인터내셔널과 소련 마르크스주의
-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Vol.2, 1914~1943
- 코민테른과 세계혁명, 거름
- “소련에서의 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주의의 역사』, 중원문화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소련사회주의』, 공감
- “소련 마르크스주의의 자본주의 위기 논쟁”,『자본주의 위기와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 레닌주의의 기초 ; 레닌주의의 제문제 /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스탈린
(9) 서구 마르크스주의
- “서구마르크스주의”,『역사적 마르크스주의: 이념과 운동』, 공감
-『서구마르크스주의 읽기』, 이매진
- “The Marxism of the early Lukacs" in Western Marxism: A Critical Reader
- “Interview with E. Balibar”, in Lukacs After Communism
- “Theory and Practice in Gramci's Marxism", in Western Marxism
- “The Frankfurt School”, in Western Marxism
- Origin and significance of the Frankfurt School : a Marxist perspective / Phil Slater
-『1968년의 목소리』, 박종철출판사
-『유로코뮤니즘과 사회주의』, 새길
(10)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중국 혁명사』, 세계
-『中共』, 까치
- China since Mao by Charles Bettelheim
<참고자료>
- A History of Socialist Thought: by G. D. H. Cole
- Forging Democracy: The History of the Left in Europe, 1850-2000, Geoff Eley
- One Hundred Years of Socialism: The West European Left in the Twentieth Century
- Socialism and the Great War : the collapse of the Second International / by Georges Haupt.
- Political thought in France : from the revolution to the fourth republic / by J. P. Mayer.
- The Frankfurt School : its history, theories, and political significance / Rolf Wiggershaus ; translated by Michael Robertson.
- 변증법적 상상력, 돌베개
- 유로공산주의, 일월서각
예비모임 : 2월 3일(토요일) 오후 6시 30분
장소 : 신촌로터리 “새움”세미나실 (http://club.cyworld.com/seumnet 이나
011-821-5371로 문의해 주세요)
2. 해방신학과 엠마누엘 레비나스
담당 : 김성호 (성공회대 신학박사과정수료)
목표
이론과 실천은 두 개의 영적 과정이다(레비나스). 해방신학은 이론신학도 실천신학도 아니다. 해방신학은 이론신학이자 실천신학으로서의 영성신학이다. 해방신학은 가난한 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그들의 권리를 회복하고자 노력한다. 따라서 해방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참 제자가 되려면 반드시 해야하는 신학이다. 가난의 대물림이 확대되는 사회와 세계에서 가난한 자를 위한 투쟁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른 모든 사람도 구원의 대상이지만(구원의 보편성) 가난한 자의 생명을 더 우선적으로 돌봐야 하는(구원의 특수성) 것이 그리스도인의 책무이다.
레비나스의 타자의 철학 역시 가난한 자만를 위한 철학은 아니지만 그들을 더 우선하여 돌봐야하는 윤리철학이다. 지식인은 그늘에 있는 민중의 위기를 재빨리 감지하여 그들의 생명이 꺼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배려해야 한다.
이번 강좌는 해방신학의 고전인 구티에레즈의 <해방신학>을 정독하여 해방신학에 대한 오해를 거둬내 이해를 심화하고, 레비나스에 관한 이차문헌인 <The Cambridge Companion to Levinas>를 번역하여 출판하고자 한다.(책은 상의 후 바꿀 수 있음)
진행방식
서로 상의한 뒤 진행한다. 부담없고 편안한 세미나를 지향한다. 만약 발제로 할 경우 <해방신학>을 11장으로 나눠 발제하고 토론한다. 두번째 방법은 독서후 토론만 할 수 있다. 레비나스 관련 번역은 논문 1편 혹은 2편을 한 사람씩 책임있게 정성껏 번역하고 발표한다. 몇 차례의 수정 과정을 거치고 출판사와 상의한 뒤 출판한다.
참고문헌
- 해방신학의 최근 경향에 대한 몇 편의 논문(추후 제공함)
-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해방신학-역사와 정치와 구원>, 분도출판사, 2000
- 도로테 죌레, <고난>
- <말해진 것보다 더 많이 말해져야 한다>
- 레비나스, <전체성과 무한>, 불어판과 영어판
- 레비나스, <존재와 다르게 또는 본질을 넘어>(김연숙 옮김, 근간), 불어판과 영어판
- 레비나스, <존재한다는 것은 옳은가>(김성호 옮김, 근간), 영어판
* 이 외에도 현대 프랑스철학에 관한 모든 책
해방신학 및 레비나스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분도 참가할 수 있습니다. 번역은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영어에 대해 부담가질 필요 없습니다. 번역된 발표문으로 공부하실 수도 있습니다. 해방신학과 레비나스를 연결해서 생각해볼 좋은 기회이니 많은 참석 바랍니다.
일정은 예비모임에서 참가자들이 의논해서 결정할 것입니다.
예비모임 : 1월 29일(월요일) 오후 6시 30분
장소: 신촌로타리 “새움”세미나실
(http://club.cyworld.com/seumnet이나 011-821-5371로 문의해 주세요)
II. "새움"의 진행 중인 세미나들 안내
진행 중인 세미나에 참가하시는 것도 가능 합니다
1. 생명의 사회사
담당 : 김동광 (국민대 사회과학 연구소)
시간/장소: 매주 화요일 오후 6:30-9시:30/ 연세대학교 백양관 508호
2. 인권의 역사
담당 : 류은숙 (인권연구소 “창” 활동가)
시간/장소 : 매주 목요일 오후 7:00-9:30 / “새움”세미나실
3. 자본론 2권 읽기 1
담당 : 김동수 (활동가, ‘자본의 두 얼굴’의 저자)
시간/장소 : 매주 화요일 오후 6:30-9시:30/ 연세대학교 백양관 507호
4. 자본론 2권 읽기 2
담당 : 류승민 (연세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시간/장소 : 매주 화요일 오후 7:00-10:00 / “새움”세미나실
5. 현대 정치철학 세미나-레닌을 중심으로
담당 : 한형식 (연세대 철학과 박사과정수료)
내용 : 레닌의 저작 (‘국가와 혁명’ ‘무엇을 할 것인가?’ ‘민주주의 혁명에서 사회민주주의의 두가지 전술’)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사상을 살펴본다.
시간/장소 : 매주 금요일 오후 6:30-9시:30 / 연세대학교 백양관 508호
6. 정치철학 세미나
목표 : 정치사상의 형성을 중심으로 근대철학 읽기
시간/장소 : 매주 수요일 오후 6시 30분 / “새움”세미나실
연락처 : 김지홍 (연세대 철학과 석사과정) 011-9890-1592 / for7594@nate.com
7. 페미니즘 세미나
목표 :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바라보는 여성 문제 / 대안 / 현재적 의미 모색
시간/장소 : 매주 수요일 오후 6시 30분 / “새움”세미나실
연락처 : 장희은(연세대 경제학과) 010-7141-0665 / greenstar623@gmail.com
8. 자본론 1권 읽기
목표 : 자본론의 꼼꼼한 독해를 통해 맑스의 경제사상 읽기
시간/장소 : 매주 월요일 오후 2시 / “새움”세미나실
연락처 : 유승민(연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011-9975-1392/ rufrl@hanmail.net
9. 역사적 자본주의론 (1): 브로델을 읽는다
목표 : 역사적 자본주의론에 이론적 자원을 제공한 브로델의 저작읽기
시간/장소 :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30분 / “새움”세미나실
연락처 : 정웅기 (연대 사학전공 4학년), 011-9631-8357
10. 헤겔 세미나 : 대논리학 읽기
목표 : 헤겔에 대한 맑스주의적 독해
시간/ 장소 :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 연세대학교 백양관 507호
연락처 : 정재화 (연세대 철학과 박사과정) greenview@nate.com
* 이 세미나들은 아무런 참가제한이 없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 모두 오시면 됩니다.
* 회비는 참가하는 세미나 수에 무관하게 학생은 매달 1만원, 직장인은 2만원씩입니다.
(수입이 없으신 분은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문의: 011-9975-1392 류승민 또는 http://club.cyworld.com/se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