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샹송]-이수익
우체국에 가면 /잃어버린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그 곳에서 발견한 내 사랑의 /풀잎되어 젖어있는/悲哀(비애)를/지금은 昏迷(혼미)하여 내가 찾는다면/사랑은 또 처음의 依裳(의상)으로/돌아올까
우체국에 오는 사람들은 /가슴에 꽃을 달고 오는데/그 꽃들은 바람에/얼굴이 터져 웃고 있는데/어쩌면 나도 웃고 싶은 것일까/얼굴을 다치면서라도 소리내어/나도 웃고 싶은 것일까
사람들은 /그리움을 가득담은 편지 위에/愛情(애정)의 핀을 꽂고 돌아들 간다/그때 그들 머리위에서는 /꽃불처럼 밝은 빛이 잠시/어리는데/그것은 저려오는 내 발등 위에/幸福(행복)에 찬 글씨를 써서 보이는데/나는 자꾸만 어두워져서/읽지 못하고,
우체국에 가면 /잃어버린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그곳에서 발견한 내 사랑의/氣盡(기진)한 발걸음이 다시/도어를 노크/하면,/그때 나는 어떤 微笑(미소)를 띠어/돌아온 사랑을 맞이할까
...........................................................................................................................................
*윤희님의 글을 읽고 따스한 온기를 느꼈답니다.
모처럼 가슴까지 환해지면서 박가분과의 소중한 인연에 기대어
허, 이것 참!
씨이익~웃기도 하였답니다.
어제는 제사 뒤끝에 후배 부부를 초청해 새벽까지 술을 마셨는데
거실에 걸린 추사의 "세한도" 를 얘기했습니다.
추운 연후에야 소나무의 진가를 안다는 구절을 떠올리며, 유배간 스승을 위해 두 번씩이나 역관 자격으로 북경에 가 귀한 책을 구해다 준 이상적이라는 제자를 생각 했습니다.
다시 고려동경 수집 얘기를 하다 쇠 금(金)변에 소 축(丑)자를 쓰는 한자가 생각안 나 서로 12획이다, 13획이다 잠시 골머리를 앓기도 하고...
막바지, 후배는 직접 녹차를 우려내고..
죽로지실(竹爐止室)-추사의 절묘한 구성과 자유자재로운 운필에 잠시 넋을 놓기도 하고, 아니 황상(黃裳)이라는 친구에게 써주었다는 그 우정의 깊이를 부러워하다가...결국 연전에 추사의 예서체 글씨 현판이 팔려나간 어느 골동품가게에서 혼자 보고 혼자 즐기던 오랜 기쁨 하나 송두리 채 무너져...이제는 때로 문득 도록에 인쇄된 '죽로지실'에 담긴 뜻에나 물끄러미 빠져들다가...
집에 간 후배는 새벽 4시가 넘어 전화를 해
형, 손잡이 뉴나 꼭지 뉴가 맞네요.
맞아 맞아...청동기시대 동경중 다뉴세문경이라고 꼭지가 하나가 아닌 두 개라..꼭지가 많아 많을 다(多)를 쓸 때 꼭지 뉴를 쓰는데 왜 그게 생각이 안났을까?
그렇죠.
"죽로지실"-그런 현판은 설혹 없을지라도 ,황상이라는 친구가 없어 예서의 법도에 충실하고 자체의 구성이 절묘했다는 글씨를 써줄 곳이 없을지라도, 때로 가까운 곳 후배와 서로 너나들이로 밤마실 오고가듯 박가분에 들르면 좋겠네요.
밥이 되지는 않지만 좋은 시 한 편 주고 받을 수 있어 감사드리며...
늘 갓맑고 끼끗하게(?) 우려낸 좋은 녹차 한 잔 하는 기쁨 누리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