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은 것은 아니고 영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단언컨대 이 영화는 내 선호쟝르는 아니다. 사전 아무 정보도 없는 상황에서 극장에서 예고편을 보았을 때, 디카프리오와 톰 하디 출연에도 불구하고 그리 흥미롭진 않았다.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 작품이라 했을 땐, 응? 그럼 한번 볼까? 했다. 그의 전작들이 모두 쉽진 않았지만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일단 우리의 주인공 디카프리오로 말할 것 같으면...
그는 연기의 신처럼 맡은 배역마다 훌륭하게 연기를 해내었지만 오스카와는 악연이었다.
심지어 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에서의 그의 연기는 내겐 ˝오스카를 꼭 거머쥐겠어!!!˝ 하는 것으로 보였다. 분명 그의 미모가 연기를 깎아먹고 있는 점도 있지만 연기에 대한 그의 과도한 열정이 거부감으로 다가오는 면도 분명 있었다. 그는 항상 너무 열심히 함으로써 너무 과한 느낌을 준다.
그런 그가 이냐리투 감독과 손잡았다. 이냐리투는 자신이 만든 영화의 주인공에게 오스카 상을 쥐어줄 수 있는 능력자다.
우리의 디카프리오에게 오스카의 영예가 주어질 것인가?
내가 영화를 보러 간 건 그 이유가 가장 컸다!

이 영화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숨소리의 영화`다. 디카프리오는 대사의 거의 팔할 이상을 숨소리로 연기한다. 영화의 초반부터 그는 이야기 한다.
˝포기하면 안돼. 숨이 붙어 있는 한 싸워야 해.˝
사력을 다해 숨쉬려는 자. 그는 1800년대의 사람이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사력을 다해 숨쉬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그의 숨소리는 끝내 살아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고 절대 죽을 수 없다는 분노의 목소리다.

디카프리오가 연기한 휴 글래스라는 인물은 모피 회사에서 운영하는 사냥꾼 집단의 리더인데 인디언 포니족 여인과의 결혼에서 낳은 아들이 호크가 있다. 휴 글래스의 동료 사냥꾼인 존 피츠제럴드(톰 하디)는 이들 부자, 특히 호크에 대한 혐오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이 시기는 야만 대 문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로 백인 우월주의가 싹트던 시절이었다. 마침 진 리스의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를 읽은 터라 존 피츠제럴드로 대변되는 순혈주의 백인 마초 집단에 대한 묘사가 흥미로웠다. 그들은 인종적으로 우월하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인디언들을 인간 이하로 생각한다. 사냥을 위해 사람들을 죽이고 여자들을 강간하고 원주민들을 두려워하면서도 야만인으로 몰아간다. 원주민의 피가 섞인 혼혈은 당연히 사회로부터 거부당한다.
다시 말하면 휴 글래스는 혼혈의 아들을 두었다는 이유만으로도 미국인도 인디언도 아닌 경계 밖의 인물이었고, 양쪽 모두에게 받아들여질 수 없었던 인물이다. 그러나 진 리스의 소설에서 앙투아네트가 그들의 문명에 끼지 못하고 좌절해야 하는 운명이었다면, 휴 글래스는 끝까지 쫓아가서 복수하는 인물이다. 그의 숨소리가 거칠어질수록, 그의 고난이 힘겨워질수록 그의 고통이 이제 그만 끝나기를 기원하게 되지만 그는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복수에 대한 염원이 그를 다시 살려놓는다. 그의 싸움은 대자연과의 싸움이며 동시에 편견과의 싸움이었다.

˝숨이 붙어 있는 한 싸우라. 그러니 숨을 쉬라.˝
영화의 마지막에 그가 관객을 똑바로 응시하는 장면은 그가 숨쉬는 것을 똑똑히 보라는 의미로 들린다.
그리고 백인우월주의에 대항하는 그에게 숨을 쉬는 것 자체가 얼마나 힘든 일이었는가를 깨닫게 한다. 우연히도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와 이 작품의 시대가 비슷하다. 순혈주의, 백인 우월주의, 제국주의에 맞선 앙투아네트는 비록 날개가 꺾였지만 그는 거친 숨을 몰아쉬며 살아남았다. 복수는 신의 영역으로 넘겼다. 그렇지만 그는 살아남음으로써 그의 할 일을 다한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나니 과연 오스카는 이번에 그에게 영광을 선물할 것인지 더 궁금해졌다.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댓글을 보았는데, 오스카는 이제 그만 그에게 상을 쥐어주고 그의 고통을 끝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만큼 영화를 보면 그의 연기에, 그것도 거의 대역없이 모든 부분을 연기해 낸 그에게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내 생각도 그렇다. 수상을 위해 연기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오스카는 이제 그에게 남우주연상의 영광을 쥐어줘야 한다.
충분히 그럴만하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1-17 01:4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차별에 대해 끝없이 저항해야합니다. 순치되면 노예의 굴욕이 고통스러우니까요.

살리미 2016-01-17 01:43   좋아요 5 | URL
그 숨소리가 너무 간절해서 소름이 돋았어요. 아무 생각없이 숨쉬고 사는 나를 채찍질하는 느낌처럼요...

서니데이 2016-01-17 01:5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로라님, 영화리뷰 잘 읽었습니다.
디카프리오 있는 것보다 이 이미지가 더 나은 것 같아요. ^^ 영화에 맞추어 책도 포스터와 같으 표지로 나왔나봐요. ^^

살리미 2016-01-17 01:55   좋아요 4 | URL
디카프리오에겐 미안하지만 저도 이게 더 낫다고 봅니다 ㅎㅎ
디카프리오는 자신의 미모를 너무 학대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해요 ㅎㅎ 의도적인것 같긴 하지만...

Blue 2016-01-17 02: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이 영화를 보았는데 곰과 싸우는 장면 이후부터는 끝나지 않는 숨소리를 들으며 제발 디카프리오에게 상을 줘!! 라고 바라며 보게 되더라구요. 오스카와 디카프리오의 관계나 과하다 싶게 표현된 긴 과정들이 오히려 영화에 몰입을 방해하더라구요. 열연은 인정되나 저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은 과함...

살리미 2016-01-17 09:53   좋아요 2 | URL
과하죠... 지루할만큼 끝까지 가고요. 끔찍한 장면도 많아서 눈도 찌푸렸어요. 그래서 사람들이 이제 그만 상을 주고 디카프리오의 고통을 끝내주라 한 댓글이 너무 이해됐어요. 그런데 집에 와서 가만히 생각해보니 그렇게 끝끝내 몰아쉬는 숨이 많은 걸 상징하는 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마션을 보면서도 든 생각이었지만 저같음 벌써 삶을 놓아버렸을거예요 ㅎㅎ
그에게 끝내 숨을 쉬게 한 게 무엇이었나, 감독도 그걸 말하고 싶은거구나 싶더라고요.

오거서 2016-01-17 09: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 보러 가기로 했어요. 오랜 만에 디카프리오가 거지꼴로 개고생(?)한다니 한 번 봐둬야한다는 기대감이 생겨요~ ^^

살리미 2016-01-17 09:55   좋아요 2 | URL
이 영화는 꼭 극장에서 그 화면과 사운드를 즐겨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디카프리오는 왠 개고생인지... 그 잘생김을 다 내려놓고 말입니다. 골든 글로브 챙겼지만 오스카상도 좀 줘야해요 ㅋㅋ
그리고 거지꼴을 해도 잘생겼다는 ㅋㅋㅋ

서니데이 2016-01-17 1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을 읽으니, 영화가 어려워보이기도 하고, 심각해 보이기도 합니다. 원작소설은 어떨지 궁금해지기도 하고요.
오로라님, 일요일 저녁 편안하게 보내세요.^^

살리미 2016-01-17 19:43   좋아요 3 | URL
영화의 서사는 의외로 단순하답니다. 끝까지 쫓아가서 복수하는 내용이죠. 그 과정을 쫓아가는게 힘들긴 합니다만^^ 저도 원작소설은 어떤지 궁금해요.
서니데이님도 주말 마무리 잘 하세요^^

고양이라디오 2016-01-17 2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로라^^님의 리뷰를 보니 영화를 보며 미처 생각치못했던 부분들도 다시 생각하게 되네요^^

전 감독이나 배우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나 기대보단 못했어요. 하지만 영상미나 영화의 사실감은 좋더라고요.

살리미 2016-01-17 21:04   좋아요 1 | URL
고양이라디오님 리뷰도 나중에 꼭 들려주세요^^

고양이라디오 2016-01-17 23:15   좋아요 1 | URL
오로라^^님 벌써 리뷰 올렸습니다ㅎ
좋은 밤 되세요^^

서니데이 2016-01-18 18: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로라님, 오늘도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오늘보다 내일이 더 춥다는데, 이러다 우리나라에서 오로라현상 보는 건 아닐지 모르겠습니다.^^

살리미 2016-01-18 23:24   좋아요 3 | URL
ㅎㅎ 저는 요즘 일생에 한번 오로라는 봐야지않겠나 싶어서 아이슬란드라도 가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우리나라에서 보게 된다면 너무 영광이지요.
서니데이님~ 오늘 너무 추워요 ㅎㅎ

오거서 2016-01-23 11:27   좋아요 0 | URL
오로라를 본다는 상상만으로도 끌려서 댓글을 남기게되네요 ^^
서니데이 님의 위트에 놀라고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