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 더 나아가 모든 창작행위는, 그리고 그 결과물은 제일 먼저 창작자를 매료시킨다. 자신의 창작물에 매료되지 않는 사람은 창작행위를 지속할 수 없다. 자신의 창작물에 매료되는 사람에게 창작의 행위란 피와 고름을 찍어 쓰는 것과 같은 고통과는 전혀 관련 없는 것이다. (사실 나는 아리영의 그 유명한 대사 "피와 고름을 찍어 썼다."는 말보다 더 웃긴 창작 관련 말을 들어본 일이 없다.) 진짜 창작자는 창작의 결과물만이 아니라 창작의 과정 그 자체를 즐긴다.
스티븐 킹은 그 창작의 비밀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나는 소설의 창조자일 뿐 아니라 최초의 독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작가인 나조차 앞으로 일어날 사건들을 미리 알면서도 그 소설의 결말을 정확히 짐작할 수 없다면 독자들도 안절부절 못하면서 정신없이 책장을 넘길 거리고 믿어도 좋을 것이다.
p. 201
스티븐 킹의 소설이 재미있는 이유, 그리고 흡인력에서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만큼(아, 이 상투적인 표현이라니) 압도적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스티븐 킹의 소설은 작가 스스로가 정말 재미있어 못견뎌 하며, 그 다음 이야기와 결말을 알고 싶어 몸부림치며, 소설 그 자체에 푹 빠져 쓴 글이기 때문이다.
아마추어의 것이든 프로의 것이든, 하는 동안 즐거워 했는지 아닌지는 그 결과물을 다른 사람이 즐기게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준다. 결국, 쓴 사람이 재미있게 써야 읽는 사람도 재미있게 읽는다. 사람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글을 쓰지만, 적어도 내가 생각할 때 소설이 추구할 수 있는 최대의 가치이자 덕목인 "재미"만을 생각한다면, 결국 그 최고의 가치를 획득하는 글은 글을 쓰는 사람이 재미있어서, 이 글을 쓰지 않고는 도저히 배겨내지 못할 것 같아 쓴 그런 글이다.
물론 소설을 써서 꽤 많은 돈을 모은 것은 사실이지만, 돈을 벌겠다는 생각으로 종이에 옮겨놓은 낱말은 단 한 개도 없었다.
............
내가 글을 쓴 진짜 이유는 나 자신이 원하기 때문이었다. 글을 써서 주택 융자금도 갚고 아이들을 대학까지 보냈지만 그것은 일종의 덤이었다. 나는 쾌감 때문에 썼다. 글쓰기의 순수한 즐거움 때문에 썼다.
p. 308
누군가 이 글이, 그의 소설들 못지 않게 재미있는 글이라고 추천하기에, 사두고 백만년간 책장에 꽂아두기만 했던 책을 꺼내 읽었다. 정확히는, 내가 가지고 있는 책은 이미 콘테이너에 실려 저 푸른 태평양을 넘실넘실 건너가고 있는 중이고, 내가 읽은 책은 친정 동생의 책장에 꽂혀있는, 동생 전 남친이 동생에게 물려준 책이다. (앗, 이건 제부 될 사람이 알면 안된다.) 스티븐 킹의 소설들을 죄다 콜렉션 하고 있으면서(스티븐 킹이 무슨 치토스냐고. 언젠가는 읽고 말거야... 라니)도 막상 읽은 책은 단편집 하나 장편 한권 그리고 이 책이다. 세권의 책을 순위를 매기자면, 글쎄, 어쨌든 중요한 건, 이 책은 소설이 아니면서도 소설들만큼이나 재미있고, 무엇보다 그의 소설들 만큼이나 엄청난 흡인력을 가지고 독자를 끌어당긴다는 사실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흥미진진하게, 그야말로 손에 땀을 쥐고(아, 스티븐 킹이 봤으면 뿡야! 라고 외치며 붉은 줄 쫙, 돼지꼬리 땡땡! 했겠다.) 그의 작가로서의 성공기를 따라 갔다. 그 사이사이 오는 그의 글쓰기 방법과 창작론은 굉장한 덤이었고. 그의 첫 소설 캐리의 보급판 판권이 40만불에 팔리는 장면에서는 나도 덩달아 소리를 질렀다. 너무 기뻐서. 아, 이 남자는 정말이지, 정말이지, 정말이지! 대단한 엄청난 훌륭한 괴물같은 엑설런트하고 스펙타클하고 어메이징하고 언빌리버블하고 초 특급 울트라 마징가 제트 같은! 이야기 꾼이다. 그가 끝도 없이 끝도없이 끝도없이, 말하는,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그 스토리, 그거 우리말로 바꾸면 이야기니까.
스티븐 킹이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졌다.
Ps. '수정본 = 초고 - 10% ' 라는 말, 그래서 적절한 삭제작업의 효과는 즉각적이며 또한 놀라운 문학적 비아그라라고 부를만 하다는 건, 한국의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이윤기 선생도 산문집 <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 에서 이미 말씀하신 바 있다. 이윤기는 숱제 '수정본 = 초고 - 50% ' 이라고 한다. 신문 기고문을 쓸 때는 처음엔 원고지 10매를 써서 그걸 5매로 줄인다나.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의 기본 원칙은 대개 비슷한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