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은 온통 역설로 가득하다. 정의는 정의롭지 못하며, 정의롭지 못한 것이 곧 정의다. 2000년 가을에 언론인 김훈은 정의로운 자들의 세상과 작별하고 초야로 내려가 이 글을 썼다. 연필과 지우개를 들고 원고지에 성실하게 채워나간 이 글에 세상은 동인문학상이라는 큰 상을 안겼다. 이 책이 2001년 동인문학상의 수상작품이라는 것은 나에게 있어 동인문학상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앞으로 나는 이상문학상을 믿듯 동인문학상도 믿기로 한다.
이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하는 것은 이 글의 문체다. 김훈만의 아름다운 문체미학. 대학에서 학보사 주간을 했던 동생은 김훈이 시사저널의 편집장으로 칼럼을 써낼때부터 그를 좋아했다 한다. 그의 문체를 좋아했다 한다. 맞다. 그의 문장에는 맛이 있다. 멋이 있다.
그의 문장은 늘 이야기하듯 '지독한 단문'이다. 화려한 수식어를 모두다 배제하고 -김훈의 말에 의하면- "뼈다귀만으로" 쓴 글인데도 그 어떤 화려체 문장보다 화려하고 수식적이다. 이 역설은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수식 없는 문장이 수식적이고 꾸밈 없는 문장이 화려한 이 역설은 김훈의 문장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설의 힘에서 나온다.
김훈의 문장은 거의 역설로 일관하고 있다. 매치 될 수 없는 두 가지를 매치 시키는 것으로 그는 역설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이 역설이 또 재미있다. 우리의 눈으로는 매치 될 수 없는 것이라도 김훈의 눈으로는 완벽한 짝이다. 그러니까, 김훈은 역설이 되라고 쓴 글이 아닌데, 독자는 그 문장을 역설로 읽는다. 이런 역설이라니.
시대도 역설이고 인물도 역설이다. 간신이 충신을 고문하고 파직시키는 세상, 함대가 없는데 함장이 되는 세상, 적은 있으되 맞설 아군이 없는 장군, 이순신은 이러한 시대의 역설에 또한 역설로 당당히 맞서고, 우리의 김훈도 또한 역설로 세상에 맞선다. "권력은 무력하기 때문에 사악할 수 있다."는 역설을 통렬하게 터트리며.
그의 역설은 하나의 문장안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문장과 문장 사이, 김훈의 표현에 의하면 "블랙홀"의 설치를 통해 두 개의 문장이 결합되면서 역설이 된다.
"가마니 위에 엎드려 나는 겨우 숨죽여 울었다. 적들은 오지 않았다."(p. 128)
이 두 문장 사이의 블랙홀. 이 블랙홀로 두 개의 문장은 역설이 되고, 그래서 그 어떤 수사법을 쓴 글보다 화려해진다. 김훈은 소설의 대부분에서 거의 이런 서술로 일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술의 특징은 김훈의 에세이집 『자전거 여행』(생각의 나무, 2001)에 실려 있는 이순신에 대한 서술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이순신의 서술법이었던 듯 하다.
「"저녁 무렵에 동풍이 잠들고 날이 흐렸다. 부하 아무개가 거듭 군율을 범하기로 베었다." 같은 식의 놀라운 문장들을 쓰게 한다. 바람이 잠든 것과 부하를 죽인 일이 동등한 자격의 사실일 뿐이다.」
김훈, 『자전거 여행』, 생각의 나무, 2001, p. 225
그러니까, 이순신에게는 그 문장과 문장사이의 블랙홀이 역설이 아니었던 셈이다. 그에게는 '동등한 자격'의 사건일 뿐이니까. 단지, 그것을 동등한 사건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독자에게만 그것은 놀라운 역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놀라운 역설은 참으로 놀라운 힘을 발휘한다. 칼의 노래는 역설을 통해 아름다워진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만 블랙홀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건과 사건 사이에도 워프는 계속된다. 1인칭 서술이라는 특성상 서술은 이순신 개인의 생각의 흐름에 따라 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생각의 흐름이라는 것이 사건과 사건 사이에 블랙홀을 만든다.
블랙홀 속으로 사라진 서술을 통한 긴장감, 사라진 생각을 통한 긴장감, 긴장, 긴장. 이 팽팽하고 칼날같은 긴장으로 소설은 내내 노래를 한다. 칼의 노래를.
깊디깊은 사유와 오래 갈고 닦은 고아한 문체들. 이 책은 고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