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의 노래 - 칼의 노래 100만부 기념 사은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읽은 날 : 2004. 3. 3
칼의 노래를 처음 읽었던 날을 기억한다.
은빛 장정이 몹시 예뻐 그날 들어왔던 책을 정리하다 말고 책장 사이에 쪼그리고 앉아 읽었던 책. 책을 다 읽고 고개를 들었을 때 산중의 짧은 겨울해는 이미 져 버린 뒤였다. 그 화려할만큼 아름다운 문체, 낯선 이름의 작가 김 훈.
그로부터 꼭 2년, 김훈은 더 이상 나에게 낯선 이름이 아니다.
이 책은 편집 순서상 전작 『칼의 노래』와 유사한 면이 많다.
칼의 노래 속표지 다음 장이 이순신의 한시 《한산도 야음》으로 시작되는 것처럼, 이 책의 속표지 다음 장은 삼국유사 중 우륵의 가야금 곡조에 관련된 기록을 옮겨 놓는 것으로 시작한다. 작가는 『칼의 노래』에서 무인 이순신의 삶을 통한 조선 중기의 세상을 ‘노래’하였듯, 이 책에서는 예인(藝人) 우륵을 통해 진흥왕 무렵의 신라와 가야를 ‘노래’하였다. 김훈에게는 무인도 예인도 같은 사람일 뿐. (“칼을 들여다보는 일과 악기를 들여다보는 일이 나에게는 같았다.” 『현의 노래』, 김 훈, 생각의 나무, 2004, 서문 중에서)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에 보면 독립운동을 하는 사팔뜨기 강쇠의 이종사촌 짝쇠라는 인물이 나온다. 이 인물이 또 걸작인 게
「가령 너 지금 어디 갔다오느냐고 물을라치면,
“그놈의 버르지(벌레)를 씹었더마는,”
하는 식의 대답인데 배밭에 가서 배 한 개를 얻어먹었는데 배벌레 씹은 것이 기억에서 젤 뚜렷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어본 사람 편에서 보면 동문서답인 것이다.
『토지』, 박경리, 나남출판, 2002, 3부1권(9), p.105」
이런 식이다. 앞뒤, 양옆까지 다 잘라먹고 그 순간의 가장 강렬했던 어떤 것을 쑥 꺼내놓는 것이다. 타인에게는 동문서답일지라도 자기자신에게는 아니다. 자신의 머리 속에서는 앞뒤, 양 옆의 이야기가 완벽하게 남아있으므로.
때로, 김훈의 글을 읽다보면 토지의 짝쇠가 생각난다.
「눈이 녹은 뒤 충남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의 사당에 여러 번 갔었다. 거기에, 장군의 큰 칼이 걸려 있었다. 차가운 칼이었다. 혼자서 하루 종일 장군의 칼을 들여다보다가 저물어서 돌아왔다.
-칼의 노래 서문 중에서」
「2003년 1월부터 10월까지 나는 가끔씩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안의 악기박물관을 기웃거리면서 소일하였다. 관람객이 없어 늘 나 혼자였다.
별 할 일도 없는 나는 오랫동안 악기를 들여다보다가 혼자서 밥을 사먹곤 했다.
-현의 노래 서문 중에서」
창작의 모티프가 되어 준 칼과 악기를 하루 종일 혼자서 들여다보는 그의 머릿속에는 분명 앞뒤, 양 옆의 이야기가 모두 들어있는 완벽한 이야기가 하나 완성되었을 것이다. 그는 그 완벽한 이야기를 이리저리 굴리다 “기억에서 젤 뚜렷한” 부분만을 뚝 잘라 소설로 만들어 내었다. 그래서 그의 글은 뜬금없는 동문서답이 되는데, 뜬금없는 동문서답이어서 아름답다.
김훈의 글은 단촐하다.
인물에 대해서도 사건에 대해서도 그는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그 인물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 중에서 “젤 뚜렷한” 부분만 뚝 잘라 역시나 앞뒤, 양 옆이 뚝 잘린 사건 속에 던져 넣는다. 인물의 외면과 과거와 미래와 성격, 모든 것은 뚝 잘려 나가고 없고, 오직 그 상황에서 가장 중요할 고뇌, 감정 그런 것 들 만이 동문서답마냥 파닥파닥 살아 날뛴다. 결코 동문서답이 아닌 상태로.
#쓰다보니 늘, 김훈의 글에 대한 리뷰는 죄 문체론이다. ㅡㅡ;;;
2004. 4. 24 by ashi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