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사람만 끼리끼리 먹는 - 이현수 음식산문
이현수 지음, 이정웅 그림 / 난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은 날 : 2019.7.6.

 

최근 엄마의 레시피 하나를 정복했다. 여름에 먹는 열무 물김치다. 이게 경상도식인지 우리 엄마 식인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기억나지 않는 아주 어릴 때부터 이 물김치를 먹고 자랐고, 우리집이 아닌 그 어디에서도 이와 같은 열무물김치를 먹어 본 적이 없다. 이런 레시피를 본 적도 없다. 경상도는 물론 서울에서도. 그래서 나는 이 열무물김치가 경상도 식이라고 확언할 수가 없다.

 

엄마의 열무물김치는 열무, 양파, 청양고추, 마늘, 생강 만이 들어간다. 여기에 밀가루풀을 푼 국물이 전부다. 젓갈을 쓰지 않고 간은 오직 소금으로만 한다. 일반적인 열무김치는 열무와 얼갈이를 함께 쓰고, 붉은 고추를 갈아서 넣어 국물에 붉은 기가 도는데 엄마의 열무물김치는 오직 초록초록할 뿐이다. 청양고추도 갈지 않고 얇게 썰어서 넣는다. 열무도 잎사귀는 많이 쓰지 않고 줄기를 주로 쓴다. 열무를 다듬어 소금에 절이고, 양파를 얇게 썰고, 청양고추(경상도에서는 이걸 땡초 라고 부른다)를 썰어 두시간 쯤 절이고 헹궈 물기를 뺀 열무에 찧은 마늘과 생강을 양파 땡초와 함께 버무린 뒤 밀가루 풀을 푼 국물을 부어준다. 끝이다. 너무 간단해서 오히려 엄두가 안나는 종류의 레시피였다.

 

첫애는 설날 직전에 자신이 생겼음을 알려왔다. 입덧은 아주 심하지는 않았으나 오래갔고, 첫 아이를 가진 나에 대한 주변의 관심은 따듯하다 못해 뜨거웠다. 모두가 내게 뭔가를 먹이는 것으로 그 애정을 표현하고자 했으나 입맛이 없어도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없었다. 남들은 입덧할 때 한밤중 남편에게 순대를, 바나나를, 딸기를 구해오라고 집 밖으로 내쫓기도 한다는데, 나도 그런 추억 하나쯤 가지고 싶은데 당췌 먹고 싶은 게 정말 단 하나도 없었다. 그 와중에 오직 하나 그 열무물김치가 먹고 싶었다. 우리 엄마가 담는 거 말고는 어디가서도 본 적이 없던 그 물김치가 말이다. 엄마만 볶아댔다. 그때 엄마는 첫 아이 가진 셋째에게 그 물김치를 해 주고 싶었으나 열무 철이 아니었다. 이틀이 멀다고 시장에 나가 봤지만 열무가 나와야 말이지.

 

열무철이 되었을 때는 이미 입덧이 끝난 뒤였다. 그리고 그해 추석 즈음에 첫애를 낳았고, 엄마는 누런 종이에 싼 산모 미역 한 뭇을 머리에 이고(진짜 말 그대로 머리에 이고) 내 산후조리를 해 주러 서울로 상경했다.

 

박완서의 자전적 경험이 담긴 소설 목마른 계절에 이 산후 미역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피란을 떠나지 못하고 서울에 남아 늙은 엄마와 만삭의 올케 혜순을 돌보게 된 진이. 추수는 아직 멀었고, 서울의 식량난은 심각했다. 친구 순덕과 남의 집 울타리에 잡초처럼 피어오른 줄콩의 콩꼬투리를 수확해 먹을 것을 구했다 안도하던 진이의 앞에, 임신 중인 아내가 먹지 못해 각기증을 보인다며 고뇌하는 현민이 나타났다.

 

핏기없이 창백한 얼굴이 발길로 차던지고 싶게 못나 보이며, 다시 한번 흰쌀과 미역조각이 눈 앞에 떠오른다. 그리고 극히 중대하고도 어려운 결단을 즉석에서 강요당했을 때처럼 심한 곤혹을 겪는다. 그러나 선반 위에 꺽지도 않고 얹어놓은 미역과 항아리에 소복한 흰쌀을 반으로 나누는 일의 결단은 좀처럼 내려지지 않는다.

안된다. 안되고말고. 차라리 한 점의 살을 뜯기는 편이 훨씬 나을 것 같다.

 

박완서, 목마른 계절, 세계사, 2009, p. 135

 

주인공 진이는 끌려간 오빠 열 대신 올케 혜순의 해산구완에 골몰한다. ‘마련해 논 흰쌀을 절대로 해산 전에 축내는 일이 없도록 악착같이 하루의 양식을 구하는 일에 부끄러움을 모른다든가, 그녀는 놀랍도록 억척스럽게 집안일을 다스렸다. 문득문득 자신의 끈질긴 생활력에 혐오감 같은 걸 느끼기도’(p.129) 할 정도로. 진이는 자신이 산모용 미역을 이미 구해 놓았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그것은 진이의 자신감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나의 출생에 관한 서사는 아무리 들어도 황당하고 어처구니 없다. 60년만에 최고로 춥다고 뉴스에서 외쳐대던 지독한 계절이었단다. 마당에 내 놓은 간장독이 얼어서 절로 터져나갈만큼 춥던 그 섣달에 엄마는 셋째 딸로 나를 낳았다. 며느리의 산후구완을 해 주러 와 있던 할머니는 셋째도 또 딸이라는 소리에 끓이고 있던 미역국을 수채에 확 쏟아 부어버리고 손녀 딸 얼굴도 보지 않은 채 몸을 갓 푼 며느리에게 푸짐하고도 걸판진 욕을 욕을 하고 가 버리셨단다. 사악하기도 하지. 인간이 어찌 그리 악할 수 있었을까. 왜 그렇게 악하게 굴어야만 했을까. 지옥에 갔을 거야. 그야말로 악마가 사표를 낼만한 악.

 

딸만 내리 넷을 낳은 엄마에게, 산후조리란 없는 얘기였다. 나를 낳고 첫 국밥도 엄마가 끓여먹었고, 내 첫 기저귀를 빤 것도 엄마였단다. 산후조리를 해 주어야 했을 할머니는 내가 태어난 사흘 뒤 엄마의 머리맡에 앉아 세시간 동안 욕설만 하다 가셨단다. 넷째를 낳았을 땐 산후조리를 할 사람이 있었지만 엄마가 염치없어 그 조리를 제대로 받지도 못했단다. 그런 엄마에게 딸의 산후조리는 한풀이의 장이었다. 본인이 못 받은 산후조리를, 본인이 받고 싶었던 그대로 딸에게 하는 것으로 엄마는 그 한을 풀고 싶었던 것 같다.

 

둘째를 해산한 후 미역국을 먹었으나 어머니가 바라던 미역국이 아니었다. 딸만 줄줄이 낳은 터라 쇠고기미역국을 먹을 염치가 없었다. 하여 어머니는 딸을 낳을 때마다 황태와 마른 홍합을 넣거나 통들깨와 불린 쌀을 함께 갈아서 끓인 산후미역국을 먹었다. “고소하고 시원한 게 쇠고기미역국보단 맛나겠네.” 헛말이라도 우리 자매들은 그 말을 하지 못했다. 어머니에게 쇠고기미역국이 어떤 의미인지 충분히 알 나이였으니까.

 

쇠고기미역국 끓여줄까?”

어머니는 박꽃처럼 활짝 웃으며 말했다. 어머니의 이 말은 당신의 가장 귀한 것을 내어주겠다는 의미였다. 사태와 양지머리로 육수를 낼 때, 기장 미역을 물에 불릴 때 어머니의 입가엔 달콤한 미소가 떠나질 않았다. 쇠고기가 많이 들어간 탓에 껄쭉해진 미역국이 달갑지 않으면서도 자매들은 그걸 좋아하는 척 연기하곤 했다. 그것이 우리가 어머니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효도였다.

(p.158-159)

 

엄마는 머리에 꺾지 않은 산모용 미역을 이고 손에는 그 미역국을 끓일 거대한 곰솥을 새로 사서 들고 왔다. 그 거대한 솥의 안에 소고기 뭉치가 들어있었다. 엄마는 딸 집 부엌에 서서 그 미역을 불리고, 불린 미역의 질긴 줄기를 손으로 일일이 갈랐다. 산모용 미역국엔 칼을 쓰지 않는 법이며, 칼질을 할 필요도 없을만큼 미역이 푹 풀어지도록 끓여야 한다는 것이 엄마의 지론이었다. 그리고 나는, 그 미역국을 하루에 냉면 사발로 일곱사발을 들이 마셨다. 끓여댄 엄마도 대단하지만 먹은 나도 대단했다. 남편과 자고 있는 나를 새벽에 살그머니 깨워 새벽참으로 먹이고, 출근하는 남편과 함께 아침으로 먹이고, 10시가 좀 넘으면 중간참으로 먹이고, 점심으로 먹이고, 오후참을 먹이고, 저녁밥을 먹이고, 자기 전에 또 먹이면 일곱끼니를 먹게 된다. 식도부터 직장까지-_-가 미역국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 나 스스로 느껴질 정도였다. 밥 먹다 화장실 갔으니까. 그러나 그것이 내가 엄마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효도였다. 나는 정말 열심히 먹었다.

 

한달간의 산후조리를 마치고 내려가기 전에도 엄마는 미역국을 한솥(그 곰 솥에 한 솥!) 끓여놓고, 다음 미역국을 끓일 수 있도록 미역을 불려 손으로 줄기를 일일이 찢어 갈라 두고, 남편에게 이 미역국까지는 네가 끓여주라 신신 당부를 하고 내려가셨다.

 

남편은 한동안 나와 첫째를 미역종족의 원수;;;;라고 불렀다.

 

다행인 건 난 미역국을 그때도 좋아하고 지금도 좋아한다. 미역종족은 내가 그렇게 먹어댔음에도 다행히(?) 멸종되지 않아 둘째를 낳고도 미역국을 먹을 수 있었다. 그러나 한을 푼 엄마는 둘째 산후조리는 그렇게 강박적으로 해 주지 않더라. 사실 언니가 나보다 10년도 더 전에 조카를 낳았는데, 왜 엄마 산후조리 한풀이를 나한테 했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엄마 말론 언니는 줘도 안먹고, 난 주는 대로 다 먹더란다. 그 덕분인지 난 언니는 하지 못한 완모에 성공하긴 했다.

 

엄마의 열무물김치 레시피를 정복하면서 문득 슬퍼졌다. 우리 엄마는 이제 곧 팔순 고개에 다다를 것이고, 사람같지 않은 짓을 했던 나의 할머니는 지옥에 가신지 이십년이 다 되어간다. 엄마의 한은 이제 풀렸을까. 나의 할머니는 이제 지옥에서 그 죄닦음을 다 하셨으려나.

 

이현수라는 작가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소설을 쓰는 재주는 별로다 싶던 이 작가가 뜻밖에 아주 괜찮은 음식 에세이를 썼다. ‘그동안 눈앞의 산해진미에 홀려 전통음식을 홀대하진 않았는지, 이대로 가다간 그 맥이 끊길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향토음식 조리에 관한 기록을 작정하고 남겼다는 이 글은 조선일보에 2년간 연재한 요리칼럼을 모은 글이란다. 미역국, 올갱잇국, 청양고추 멸치비빔장, 옛날 부추전 같은 우리 전통 음식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구체적인 레시피가 제공되는 음식도 있지만 그보다는 그 음식에 얽힌 자신의 경험담 추억담이 많아 더 잘 읽힌다. 내가 음식 에세이에서 기대하는 기대치를 완벽하게 채운다.

 

2023.9.18. by ashim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