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바도르 달리 - 어느 괴짜 천재의 기발하고도 상상력 넘치는 인생 이야기, human RED 001
살바도르 달리 지음, 이은진 옮김 / 이마고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달리 전이 예술의 전당에서 있었다. 소품들이 공수돼서 침침한 전시장에 앉아 있었다. 네모 반듯한 전시장에서 달리의 작품들은 왜소해보였고, 때깔도 제 빛을 찾지 못했다. 그 전시회로 달리를 처음 접했다면, 달리를 좋아한다고 말하기 힘들게다. 그런 전시장에서 달리의 정신세계를 찾아보는 건 물론 불가능했다. 입술 소파 모작에서 사진을 찍어대고는 나란히 홈피에 올리는 걸 달리가 봤더라면 소파를 당장 부숴버리지 않았을까.
극도로 내성적이고 분열적이며 편집증이 그의 상상력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들여다 볼 수 있다. 인생을 다 살고난 후 쓴 자서전이 아니라 36세에 자서전을 쓰고 자서전 대로 사는 게 더 지성적이라는 그는, 분명히 사차원에 살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사차원이라는 걸 알았고, 사차원에서 끌어낼 수 있는 걸 마음껏 끌어내는 능력이 있다. 게다가 질투나게 글도 잘 쓴다. 자서전이지만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재치와 유머를 뿌리면서 생각을 전개한다. 고통으로 얼룩질 수 있는 상황도 유머러스하게 묘사한다. 민족성 때문일까?
어쨌거나 난 그동안 달리에 대해 많은 오해를 하고 있었다. 아는 게 없으니 오해라는 말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그의 오묘한 작품들이 달리의 독특한 정신세계의 일부다. 책 표지에 있는 길게 난 수염이 그렇듯이 말이다. 그가 말하듯이, 고독의 세계든 또는 광인의 세계든 현실과는 다른 세계를 넘나는 드는 그의 행동과 사고가 그림이란 도구를 만났다. 도구란 필연일까, 우연일까. 달리가 그림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글을 선택했을지도.
다음은 1차 세계대전 후 그가 추구하는 대로 개인만 남은 상황을 쓴 글이다.
"딩동, 딩동.
누구시죠?
예, 역사의 시곕니다.
갈라, 이 시계라는 사람, 지금 뭐라는 거지?
온갖 '주의(主義)'들이 15분간 떠들고 간 다음, 개인들의 시계가 문을 두드렸다. 살바도르, 이젠 당신 시간이오."
그는 글로도 충분히 그림이 몰고 왔던 반향을 일으켰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