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도살장
커트 보네거트 지음, 박웅희 옮김 / 아이필드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같은 주제에 대한 논문과 소설의 가장 큰 차이는? 논문이 한 명제에 대해 구체화하는 일이라면 소설은 일반화다. 2차 세계대전 중 드레스덴에 참전했던 기억을 논문이었다면 사건을 훨씬 더 구체화 했을 것이다. 그러나 커트 보네거트는 소설가다. 자신이 느꼈던 것을 다른 사람도 느끼게 하는 임무를 맡고있다. 공감..소설가의 의무이면서 특권인데 커트 보네거트는 공감을 끌어낼 줄 안다. 전쟁의 야만성을 표현하는데 읽고 나면 섬뜩하다. 전장에 나와있는 군인들의 지저분한 얼굴을 닦고 면도를 했더니 아이들이 있었다고. 소설이란 장르를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이유다.

프롤로그처럼 시작하는 첫부분을 읽으면서 사뭇 무거웠고 착각했다. 책장을 조금 더 넘기면서 헷갈리기 시작했다. 시간에서 해방되었다는 데 빌리 필그림은 정작 자신을 시간 발작환자로 여긴다. 빌리의 동선을 따라가기가 벅찼다. 몽타주 기법으로 이어지는 시간여행 때문에 나도 시간 발작증 환자가 되게 아닌가! 에라 모르겠다, 하고서 빌리가 이끄는대로 따라가니 느긋해지면서 빌리의 말이 귀에 들어온다. 별날 것 없는 일상어로 커트 보네거트는 관조적 색채를 빚어낸다.

"트랄팔마도어에는 전보가 없어요. 하지만 당신 말은 맞았소. 각각의 기호 모둠은 짧고 급한 전문이오. 상황과 장면을 묘사하고 있지. 우리 트랄파마도어 인들은 그것들을 하나씩 차례대로 읽지 않고 모두 동시에 읽어요. 그 모든 전문들은 아무런 관련이 없소. 저자가 모든 것을 동시에 보면 아름답고 놀랍고 깊은 생의 이미지가 드러나도록 신중하게 선택했다는 것만 빼면 말이오. 거기에는 시작도, 중간도, 끝도, 서스펜스도, 교훈도, 원인도, 결과도 없소. 우리 책에서 우리가 좋아하는 점은 수많은 경이로운 순간들의 깊은 속을 일시에 들여다볼 수 있다는 거지"(108)

이 소설의 구성을 낯설어 하는 사람에게 해 주는 말이다. 짧은 문장들을 들여다보면 삶의 진리와 깊은 진실이 드러나있다. 커트 보네트가 빌리 필그림을 통해 안내하는 길을 걸으며 공감이라는 작은 행복을 찾기만 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