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떤 날들
앤드루 포터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1.
최근에 읽은 책 중 가장 감명깊은 책을 꼽으라면 앤드루 포터의 단편집 <물질과 빛에 관한>이론이다. 담담한 문체지만 행간에 많은 섬세한 감정들을 찾을 수 있다. 단편마다 눈에 띄는 사건이 없이 일상의 미세한 균열을 담아낸다. 사람은 사랑하는 이(가족이든 애인든)와 헤어졌어도 일상은 똑같이 살아지고 살아간다. 밥을 먹고 일을 하고 개인적 활동동을 하고. 행위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가만이 들여다보면 행위를 하는 주체의 마음은 변한다. 사건(?)이 있기 전에 못 느꼈던 부재감, 상실감, 혹은 기득감을 인지한다. 원래 그 자리에 있었지만 인식하지 못했던 미세한 떨림의 결을 포착하는 일이 일상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파장이다.
2.
앤드루 포터의 영문판 소설을 검색하다가 <어떤 날들>이 번역된 걸 발견했다. 단편에 감동을 주는 작가의 장편은 힘이 좀 딸릴 때가 많아서 기대치를 좀 낮췄는데도 역시나 장편보다는 단편이 훨씬 좋다. <어떤 날들>도 장편이 아니라 중편쯤이었으면 아주 좋았을 거 같다. 플롯은 스릴러처럼 구성된다. 대학에 다니는 딸이 학우의 폭력 사건에 연류되면서 도망자 신세가 되고 그 딸의 행방불명으로 이혼한 부부, 그리고 게이인 아들이 각각 가족 구성원의 개체로서 어떤 입장으로 가족이란 테두리, 가족 내에서 역할을 더듬는다.
"엘슨은 이 모든 것이 현대인의 삶, 이 시대 가족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기묘한 증거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비극적인 사건으로 갈가리 찢어진 가족이 있고 아버지를 경멸하는 아들이 있고 욕실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는 전처가 있으며 딸은 감옥에 갈 가능성이 아주 큰 상황인데, 그런데도 자신이 더 큰 무언가의 일부라는 사실에,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본인들은 깨닫지 못해도 그들이 자신을 의지한다는 사실에 단순한 기쁨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445)
소설을 읽으면서 가족이란 행복한 때를 위해서 존재하는 게 아니라 불행을 마주할 때 그 존재감을 발휘하는 게 아닌가, 싶다. 행복의 영역은 각자의 영역이다. 사랑해서 결혼하고 아이들을 키운 부부의 관계가 이혼이란 결말을 맞지만 개인의 행복추구권은 일정 부분 존재한다. 각자 다른 파트너, 혹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정서적 유대를 이루지만 과거의 가족은 흩어졌어도 위기는 다시 모이게 하는 구심점이다. 딸 클로이의 행방불명으로 부부, 아버지와 사이가 안 좋은 아들은 클로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모인다. 아내 케이든스는 "평생 남편의 뒤를 따르느라 스스로를 잃어버린 사람들" 속에 속했다. 아들은 성인이 되었고, 다른 사람이 되었다.
"예전에 누렸던 아들과의 친밀함이, 긴 대화가 그리웠다. 엄마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던 아들, 고등학교 때 함께 갔던 수영경기들, 경기 직전 항상 엄마에게 손을 흔들던 아들의 모습, 그리고 경기 후엔 항상 단둘이 저녁식사를 하러 가서 몇 시간이고 이야기를 나누곤 하던 그 시절이 그리웠다."(395)
아내와 남편과의 관계도 빛이 바랬다. 한때는 좋은 동반자였고 친구며 동료였던 사이이다. 딸 클로이의 행방불명으로 잊고 있던 사실을 상기하면서 오랜 기간 의지했던 사이라는 걸 알게 되고 여전히 그렇다는 걸 깨닫는다. 하지만 상황은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한번 균열된 마음은 다시 이어붙이기 어렵고 딸 클로이는 부모의 곁을 떠나 사랑하는 이의 곁에 남기로 결심한다. 딸은 자신만의 가족을 꾸릴 것이다. 여전히 이들은 가족이지만 현재 또 다른 가족을 가진 과거의 가족이다. 가족이란 단위는 피보나치 수열처럼 확장되면서 정서적 교집합을 만들어 이따금씩 모여 과거 유대를 환기할 것이다.
3.
2주 전 토요일에 이종 사촌 동생 결혼식에 다녀왔다. 코 찔찔 흘리던(?) 동생이 서른 중반이 되어 결혼식장에 서 있었다. 가족이란 이름으로 가족 사진을 찍고 피로연장에서 친척들과 자리를 잡았다. 어릴 적에 보고 왕래가 없었던 손위 사촌들, 그리고 삼촌. 삼촌, 숙모의 주름에서 나이를 실감하고 사촌들이 다 큰 아이의 엄마, 아빠란 사실에 놀라고. 같이 사는 우리 부모님한테도 내가 무슨 생각하며 지내는지 말 안 하는데 가족이란 이름으로 한 자리에 앉고 보니 가족이란 또 다른 가족을 만들거나 잃으면 이렇게라도 한번씩 모이는구나...
4.
만추다. 아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