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가결 기념으로, 백만년 만에 극장에 갔다. 켄 로치 감독의 영화다. 벨기에에 다르덴 형제가 있다면 영국에는 켄 로치가 있다. 한국에는? 우린 미국식 영화를 만드는 거 같기도 하고. 리얼리즘에 기반한 영화를 주류 감독은 거의 안 만드는 거 같다. 젊은 독립영화 감독들이 주로 다루는 주제인데 독립영화로 넘어가면 어두운 톤으로 전달되는  경향이 있는 거 같기도. 아무튼.

켄 로치 감독의 초기작들은 지독한 사실적 묘사로 서늘하고 영국의 차가운 공기(실은 잘 모르지만)를 화면 속에서 그대로 전달되는 느낌이다. <빵과 장미>같은 판타지 보다는 이런 서늘한 시선이 켄 로치 감독의 장기이다. 남의 나라나 우리나라나 암울하기는 마찬가지-.-;

영화는 꽤 긴 암전으로 시작한다. 두 사람의 대화 소리만 들린다. 여자가 묻는다. 두 팔이 상의 주머니까지 올라가느냐. 짜증난 한 노인의 목소리가 들린다. 난 심장에 문제가 있지 다른데는 문제가 없다고. 뭐지...하는데 영국의 각종 보조금을 지불하는 관료주의적 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선으로 시작한다. 명목상 직장을 구할 동안 주는 구직보조금, 아파서 일을 할 수 없을 때질병보조금 등등의 제도를 가지고 있는 사회. 그 사회에서 보조금 수혜자에 대한 원칙만을 고수하는 기관 직원과 정말 보조금이 절실한 한 개인의 시선이 충돌한다. 제도는 허울 뿐이고 가스비와 전기료를 낼 돈이 없을 정도로 절박한 한 성실한 노인이 겪어야하는 웃지 못할 에피소드들이 등장한다.

1시간 가량의 자동연결음을 듣다 어렵게 통화가 된 직원은 절차대로 해야한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약속 없이 왔으니 돌아라가...인터넷에 나와있다. 돋보기를 끼고 마우스 사용법과 인터넷 신청서를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배우는데 몇 일. 결국 옆집 청년의 도움으로 간신히 질병보조금 수당 탈락에 대한 항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블레이크가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도 한정되어 있고 무엇보다도 기계의 편리함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행정절차의 편리함을 내세워 절실한 사람들을 차단시키려는 목적은 아닌지. 이건 영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들 경험한 바가 있을 것이다.

블레이크는 보조금 신청 기관에 가서 무작정 기다리다 런던에서 두 아이를 데리고 이사 온 싱글맘을 만나게 된다. 블레이크보다도 보조금이 더 절실해보이는 가족. 쉼터에 좁은 방에서 어린 아들이 산만한 행동을 보여 큰 공간을 위해 월세가 싼 지방으로 이사했지만 당장 저녁거리도 없을 정도로 가난하다. 아날로그 세대인 블레이크는 어린 아이들을 손주처럼 대하고 독거 노인과 한부모 가정은 정서적 유대와 안정감을 주고 받는다. 하지만 아이들한테는 또래들한테 놀림받지 않으려면 밑창이 제대로 달린 신발도 필요하고 성장을 위해 신선한 과일도 필요하다. 전기도 연결 못하고 인스턴트 스파게티 소스도 아껴야하고 생리대 살 돈도 없는 싱글맘은 겉으로는 의연한 거 같지만 매일 반복되는 허기에 지쳐있다. 일자리 찾기도 쉽지 않은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원시 시대 정글같은 곳에 두 사람은 떨어진 거 같다.

블레이크는 공공기관과 씨름하느라 매일 초긴장상태로 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는 인생을 좀 살아본 사람이다. 최소한의 인간의 존엄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는 영혼의 급이 있는 사람이다. 평생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았는데 기관 직원들은 원칙을 들먹이며 증빙 지료가 불충분해서 제제를 받을 수 있고, 제제시 보조금이 없는 상황으로 협박을 한다. 블레이크의 인격은 심사대상이 아니라 블레이크가 낯선 디지털 시대의 자료를 보충할 것을 종용한다. 어찌어찌해서 블레이크는 결국 항고에서 승리할 직전에 왔다. 하지만 그 승리를 확보하기 위해 블레이크가 뛰어다닌 시간은 극도의 긴장 상태였다. 보조금 수령을 앞두고 그는 심장은 다시 한번 폭발한다. 영원히.

남의 일 같지도 않고 영화같지도 않다. 내 일이고 현실일 수 있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