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오사와 마사치 지음, 송태욱 옮김 / 그린비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원제가 뭔지 모르겠지만 까페에서 꺼내 읽을 때 참 민망한 제목이다. 늙수그레한 얼굴로 가방에서 연애 불가능성..어쩌구 하는 책을 꺼내는 순간 나도 모르게 움찔하며 주변을 한 번 돌아봤다.ㅋㅋ 제목이 삼류스럽지만 글은 논문 모음집이다. 전반적으로 통일감이 없어서 읽다가 이, 뭥미?하고 소제목을 다시 홅게하는 책이다. 책 소개글이 언어..어쩌구하고 나와 있는데 언어, 화폐등으로 가시화된 기호화에 대한 고찰이다. 어떤 기호나 상징이 의미를 갖는 건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서다. 타자의 잠재된 욕망을 전제로 기호는 작동하고..이런 일련의 글들이다. 사랑의 대상 역시 이런 관점에서 바라본다.  

읽은지 시간이 꽤 지나 머리 속에 남아있는 건 별로 없지만 책을 책꽂이로 보내기 위해 오늘 읽은 마지막 챕터-다중화된 미디어-를 두고 좀 끄적거릴거다.   

에바 일루이즈의<감정 자본주의>에 보면 흥미로운 연구가 있다. 페이스북에서 자신의 취향을 분석해서 매칭하는 상대방을 만나는 실험연구가 있다. 온라인상에서 만난 이성은 먼저 글로 상대를 받아들이다. 글이란 수단이 촉각이나 감각적이라기 보다는 이성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상대가 올린 글을 자의적으로 해석한다. 한 개체는 오로지 그 사람이 보여준 글을 통한 정보로만 형상화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글과 정보를 올린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몹시 높고, 그를 이상형이라고 여기며 그 이상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만 어디까지나 온라인에서만이다. 사람을 살과 피로 이루어진 개체로 보게 되는 오프라인에서는 상대의 말보다도 그 사람의 제스처나 반응이 더 무게감있게 작용해서 글에서 완벽했던 사람은 오프라인에서 실망으로 다가올 확률이 컸다. 그러니까 글, 즉 상징은, 컨텍스트 속에서 의미가 있을 수도 있고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또 글이나 상징은 조작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니 글=(매스)커뮤니케이션은 믿을만한가? 

아무도 알 수 없다. 블로거들은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정보로만 자신을 재창조할 수 있다. 아주 매력적이다. 있는 그대로의 '내'가 아닌 나를 파편화해서 취사선택할 수 있는데 신의 영역까지는 아니어도 의식적이든 아니든 무언가를 만들고 있는 게 분명하다. 알라딘 블로거로서 나는 주로 책과 영화만을 본다. 평소에 내가 세바퀴에서 보여주는 슬랩스틱 코미디를 즐겨보며 얼마나 하릴없이 킬킬대는지(-_-) 아무도 모른다. 내가 정보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뉴스 미디어로 확대하면 신문이나 주간지가 주는 정보 속에는 일말의 진실이 있을 거라고 믿으며 개인 블로거들이 더 진실이 담긴 뉴스 뒤 뉴스를 게재하기도 하고 다수는 부화뇌동하기도 한다. 얼마전 타블로 학력사건이나 지금 일어나고 있는 신정환 소재지가 실시간으로 올라온다. 타블로의 심경이나 신정환의 심경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한 철저한 목격이 글로 실린다. 글은 시선이고 시선은 권력이다. 고로 글 혹은 말은 권력의 위치에 오를 수 있다. 물론 글이나 말에 대한 타자의 욕망이 전제될 때. 상징이나 기호는 타자화에 대한 은밀한 동기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09-15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치적인 조작 뿐만이 아니라 요즘은 경제 뉴스에서 조작이 부쩍 심해진 걸 느껴요. 아마 제가 이제는 경제면에도 관심도가 높아져서 주의깊게 보게 되어그럴지도 모르겠지만.. 글이 권력을 생산하기도 파괴하기도 하지요. 그것이 경제건 문화건, 그 어느 분야건 관게 없이요.

p.s 언젠가 제가 읽은 책은 '악의 쾌락, 변태에 대하여' 였어요.. 주변의 눈들.. 아.. ㅎㅎ

넙치 2010-09-17 01:16   좋아요 0 | URL
(ㅋㅋ제목..참 자극적이네요, 내용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전 뉴스를 안 믿게된지 어언 몇 년. 뉴스보다는 차라리 기획물이나 책을 더 믿는 편이에요. 권력의 지배에서 벗어나는 건 다른 정보에 대한 적극적 리서치를 실행하는 행동력을 필요로하니 쉽지 않은 거 같아요.

데미 2010-09-20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호와 상징의 소논문 모음집'이라는 제목이었으면 아무도 안읽었을 거에요. 저도 매번 제목에 속지만, 속고 나서 속상한건 어쩔 수 없네요.

넙치 2010-09-21 11:41   좋아요 0 | URL
제목도 제목이지만 표지 그림이 빨간 입술인게(것도 약간 입술 틈이 벌어진)화가 나더라구요.^^;; 온라인에서 확인하지 않는 게으름 탓에 치뤄야할 대가려니,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