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콘 먹는 페미니즘 - 스크린 속 여성 캐릭터 다시 읽기
윤정선 지음 / 들녘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윤정선님을 페북에서 알게 되어서만이 아니고, 페미니즘과 영화는 나의 관심사이기 때문에 예전부터 읽고 싶었던 책이다.

봤던 기억이 있는 영화편부터 읽다가, 그나마 최근에 본 <내사랑>편을 읽었다. 기억이 가물가물해 내친김에 넷플릭스에 있던 영화를 한 번 더 봤다.
사실 영화관에서 혼자 처음 볼때도 모드가 그림 그리기 전까지는 불안불안 했다. 장애인 여성을 저 남자가 죽이거나 성폭력을 하지 않을까... 저 여자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입주 가정부에 같은 침대에서 자네... 설마 제목이 <내사랑>이니 그러진 않겠지...

사실 영화 마지막 즈음이 되어서야 남자사람 좀 변했네 하면서도, 돈때문인가 의심의 마음이 가득했었다. 도무지 예술이, 여성이, 사랑이 변화를 주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책의 텍스트를 읽고 다시 본 두번째도 남성의 모진 표현과 잠자리를 어떻게 참아내고 있는지 속상하기만 했다. 물론 모드에게는 그림이라는 자신만의 행복한 세계가 있다는게 위로가 되었으나, 저 남자 변해서 다행이지 죽을때까지 모르는 남자 수두룩빽빽 할 것만 같다.

암튼 영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는 이 가볍디 가벼운 <페미니즘> 책은, 매우 의뭉하다. 모양새는 가볍지만 정확하고 쉽게 페미니즘을 접하게 한다. 무서운 여자들이 과격하게 잘났다고 주장하는 나쁜 사상이 아니고, ‘인간존중, 존재자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힘을 주는 가치‘가 페미니즘이라고.

* 그나저나 에단 호크는 어쩜저리 변했노. 완벽한 연기때문이라 믿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 뒤에서 울고 있는 나에게 아주 보통의 글쓰기 1
김미희 지음 / 글항아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미희 씨가 강창래 선생의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의 삽화가라서 알게 되었다. 페이스북 친구가 되고 보니, 그녀도 남편을 신장암으로 먼저 보내고 아들을 홀로 키우고 있었다. 올리는 글들이 굉장히 차분하고 솔직해서 빠짐없이 읽게 되는 친구이다.

그녀의 글이 책으로 묶여 나왔다. 힘든 육아의 시기와 남편의 투병시기가 겹쳐있었다. 갓난쟁이 키울 땐 같이 사는 누군가의 한 손이 매우 절실한데, 남편이 아프면 얼마나 막막하고 힘들었을까 싶었다. 본인의 어린 시절, 결혼 생활, 남편의 마지막을 담담하게 풀어내는데 읽는 나도 울컥울컥.

그런데 미희씨, 아들이랑 살아서 그런지 엄마답다. 긍정적이다. 꿈을 꾸고 꿈대로 살아나가고 있다. 덜컥(!) 생긴 아들이 없었으면 혼자 남아 못이겨냈을 것 같다. 자식이 살게 하는 힘이다.

아주 오래전에 읽었었던 김소진 작가의 아내 함정임의 <행복>(1998)이라는 글이 생각났다. 김미희씨랑 비슷한 케이스였다. 그녀가 얼마나 김소진을 사랑했는지 눈물나게 쓴 글이었다. 오래도록 그를 품고 살았다. 세월이 흐른 후 그녀는 새로운 가족을 이루어 잘 지내고 있다. 그럴 수 있다. 무척 조심스러운 말이지만, 그것도 떠나간 그를 사랑하는 방법일 수 있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행복‘을 거부하거나 도망가지 말고 적극적으로 살아내기를... 당신은 충분히 사랑스러운 사람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과거
은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년대 여대생이 설사 이렇게 살았다 하더라도, 이렇게 묘사되는건 별로다. 슬프다.
남자의 등장으로 꼬이는 인생과 세월이라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0-23 19: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물선 2019-10-23 19:22   좋아요 1 | URL
친구 두 명이 좋다해서 넘 기대했나봐....
 
바닥을 칠 때 건네는 농담 - 갑작스러운 인생 시련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
손창우 지음 / 이야기나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아픈 이야기를 읽거나 보고 있으면, 눈물나고 함께 슬펐지만 한편으로는 괜히 미안해졌었다. 남의 불행에 위로받고 있는 것 같아서... 근데 이 글은 그렇지 않았다. 농담을 할 수 있는 여력이 남아 있다는 게 이런거구나 싶게 시종일관 경쾌하다. 그렇다고 아픈 자신을 숨기거나 미화하지 않는다. 끈끈하게 작가를 지원해 주는 가족이 있기에 이런 투병생활과 위트가 가능한 것 같다. 나도 누군가에겐 이런 가족이, 친구가 되어줘야겠다는 야무진 생각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790년 베이징 - 박제가의 그림에 숨겨진 비밀
신상웅 지음 / 마음산책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제가의 <모자도>라는 그림을 쫒아가는 여정.
18세기 한.중.일의 융합된 문화교류의 방대한 스케일을 느껴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