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ilure to mention remainder in debates in applied ethics is, I think, usually a deplorable oversight, the results of the writers’ having committed at least one of several fallacies.

 

            응용 윤리학 분야의 논의에서 잔여에 관한 언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내가 생각하건대, 개탄스러운 부주의이며, 그것은 윤리학 이론가들이 범해 여러 개의 오류 적어도 하나가 빚은 결과다.    

           

            Sometimes it results from simply committing the fallacy of the false dilemma. The writers (frequently unconsciously) take the dilemma to be ‘either x is the morally right act to do here (without qualification) and y is the one that’s morally wrong or y is the morally right act (without qualification), etc.’ They simply overlook the third possibility of, for example, ‘Well, they are both pretty awful, but (supposing the dilemma is resolvable) x isn’t quite as bad as y.’  

 

                때때로, 그것은 단순히 그릇된 딜레마의 오류를 범함으로써 초래된다. 저자들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딜레마를 ‘x (무조건) 여기서 해야 하는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이며 y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 이거나 y (무조건)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 기타 등등이라고 받아 들인다. 그들은 3 가능성, 예를 들어 글쎄, 아주 몹시 잘못이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해결할 있는 딜레마라면) x y 만큼 나쁘지는 않다.’ 가능성을 간단히 무시해 버린다.

 

The unconscious assumption that, in any case of moral dilemma or conflict, one side must be unqualifiedly morally right and the other plain wrong runs very deep in everyday thought, extending even to the cases in which the moral conflict is between two different agents. I find it noteworthy (and deplorable) that, in some theatres where David Mamet’s Oleanna was performed, a notice board in the foyer invited those who had seen the play to answer the question, ‘Who is right? Her or Him?’, and thousands of people signed up saying ‘Her’ or ‘Him’. How could they have failed to see that the alternatives presented—she is right/morally justified or he is right/morally justified—so signally fail to exhaust the possibilities? Rejecting the forced choice offered by the notice boards, I wanted to say that neither was right, nor morally justified; I thought that they both behaved badly (though, marginally, he as even worse than her).

 

            그런 무의식적인 전제, 도덕적 딜레마나 갈등의 어떤 경우에서건, 한쪽은 반드시 다른 한쪽 보다 무조건적으로 도덕적으로 옳고 다른 쪽은 지극히 잘못이라는 가정은 일상적 사고방식에 아주 깊이 스며들어 있고, 행위자 사이에 발생하는 도덕적 갈등 상황으로까지 확장된다. 나는 다음의 경우가 언급해 볼만 하다고 (그리고 매우 유감이라고) 생각한다. 데이비드 마멧의 올레나 상연 중인 몇몇 극장 휴게실에, 관객들에게 누가 옳습니까? 그입니까 아니면 그녀입니까?’ 라는 질문과 함께 답을 적어 달라는 알림판이 있었다. 그리고 천명의 사람들이 그녀아니면 라는 대답과 함께 사인을 했다. 어째서 사람들은 그녀가 옳다/도덕적으로 정당화 된다 혹은 그가 옳다/도덕적으로 정당화 된다- 표현된 것의 대안을 보지 못하고, 그래서 놀랍게도, 가능성 전체를 뽑아 생각을 하지 못할 있었을까? 게시판이 놓은, 강요된 선택을 거부하면서, 나는 누구도 옳지 않고, 누구도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없다고 말하고 싶었다. 나는 사람 잘못된 행동을 했다 (근소하게, 그가 그녀보다 나쁘기조차 했지만) 생각한다.  

 

 

 

 

Now it may be easier to see the fallacy in the Oleanna case because the forced choice (Which is morally right one?) is between two people, not two courses of action. My bet is that, if the noticeboards had asked ‘Who would you like as a friend, Her or Him?’, many more people would have slipped between the horns of the dilemma and roundly said ‘neither’. (Moreover, my guess, borne out by conversations I have had with people about my rejection of the forced choice, is that those who signed up implicitly took themselves to be answering a question about a course of action: ‘If you had to back one of them, whom would you back, Her or Him?)

 

                한데, 오류는 올린나의 사례에서 확인이 쉬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강요된 선택 (어떤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인가?) 갈래의 행동이 아니라 사람 사이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장담하건대, 만일 게시판이 친구로서 누가 좋은가, 아니면 그녀?’ 라고 물었다면 훨씬 많은 사람들이 무심결에 딜레마의 문제에 빠지게 되었을 것이고, 우회적으로 아니다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게다가, 내가 강요된 선택을 거부한다는 것과 관련해서 사람들과 나눈 대화에서 나온, 추측으로는, 질문에 대답한 사람들은 암묵적으로 스스로를 지금 행동의 방향을 묻는 질문, 당신이 만약 사람들 사람을 지지해야 한다면, 누구를 지지하겠는가, 아니면 그녀?’,   대해 답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여긴 같다.

 

            Why is the fallacy harder to see when the choice is between two courses of action? At least in part because it is very easy to confound two different senses of the phrases ‘morally right decision’, or ‘right moral decision’.  Suppose we have a moral dilemma which is resolvable—x is worse than y. Then the decision to do y rather than x is, in the circumstances, the right decision. Moreover (supposing the decision to have been made on the moral grounds that x is worse than y), it is a moral decision, or one that has been made morally. So it is the ‘morally right decision’ or the ‘right moral decision’, and this is one way in which we use those phrases.

 

                선택이 행동의 다른 방향 사이에 있을 때에는 오류를 발견하기가 어려운가? 적어도 부분적인 이유는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또는 옳은 도덕적 결정이라는 구절이 갖는 상이한 의미를 혼동하기 매우 쉽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해결할 있는 딜레마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x y 보다 나쁘다. 그렇다면, x 하느니 y 하겠다는 결정은, 상황에서 옳은 결정이다. 더욱이 (만약 결정이 x y 보다 나쁘다는 도덕적 근거 위에 내려진 것이라면) 그것은 도덕적 결정 또는 도덕적으로 내려진 결정이다. 그래서, 그것은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또는 옳은 도덕적 결정이며, 이것이 우리가 어구들을 사용하는 가지 방식이다.   

 

            Now suppose we have a morally right act—a good deed. As such, it is an act that merits praise rather than blame, and act that an agent can take pride in doing rather feeling unhappy about, the sort of act that decent, virtuous agents do and seek out occasions for doing (given the truism that ‘the virtuous agent does what is right’). They are the sorts of decision that decent virtuous agents make—and are praised for thus deciding, whether or not the act comes off. Suppose it does not come off, well, that is a pity but still, we say, they made the ‘morally right decision’, the ‘right moral decision’; good for them. And here, we use those phrases in a second, different ways.

 

                이제는 우리가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 좋은 행위를 한다고 가정하자. 자체로, 그것은 비난 보다는 칭찬을 받아 마땅한 행위고, 행위자가 행동으로 인해 불행을 느끼기 보다는 자부심을 가질 있는 행동이고, 훌륭하고 덕이 있는 행위자가 행하고, 행동의 근거로 삼고자 하는 종류의 행위이다 (덕이 있는 행위자는 옳은 것을 행한다 자명한 이치의 전제하에). 그것은 훌륭하고 덕이 있는 행위자가 내리는 종류의 결정이다그리고 그들은 행동이 실제로 실현되건 아니건 상관없이, 그렇게 결정했기 때문에 칭송을 받는다. 만일 그런 결정이 성공적이지 못했다면 애석한 일이지만, 우리는 여전히 사람들은 여전히 도덕적으로 올바른 결정’ ‘옳은 도덕적 결정 내렸다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구절들을 번째의,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Resolvable Dilemmas

 

(1) 해결 가능한 딜레마 // 해결할 수 있는 딜레마 둘 중에 무엇으로 할까 생각하다가 다음 장이 irresolvable dilemma 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해결 가능한 해결 불가능한 보다는 해결할 수 있는 해결할 수 없는 이 자연스러운 것 같아서 그 짝으로 정했다.

 

이번 기회에 resolvable 이란 말의 뜻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되어 있는지를 확인했다. 지난 번에 나온 말, a course of action처럼 이 경우도 결단의 (정작 부족한 내 어휘력 때문에 잘 옮기지는 못했지만) “무엇을 할 것인지를 확고하게 의사 결정하다의 의미로 나와 있었고, 그것이 내가 확인하고 싶었던 부분이라서 도움이 되었다. Resolve: (1) settle or find a solution (2) decide firmly on a course of action she resolved to call Dana as soon as she got home. N: Firm determination to do something

 

 

Still considering the reason people have for finding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unsatisfactory, that it somehow fails to provide us with action guidance, we come to the (2) ‘conflict problem’.

 

(2) 는 서문을 옮기던 당시 머리를 뜯게 만든 구절이었는데 그래도 그 때로부터 시간이 좀 흘렀다고 그만큼 골치 아프지는 않았다. 갈등 문제라고 옮겼다고 기억하는데, 틀린 번역은 아니지만 어색하고 감이 잘 오지 않는 모자란 번역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서로 상충하는 요구 라는 의미로 상반됨 아니면 상충함 이 정도가 맞겠다.     

 

So virtue ethics lets us down just at the point (3)where we need it most, (3) where we are faced with the really difficult moral quandaries and do not know what to do.’

 

(3) where 이지만 when 으로 받아도 무리가 없는 관계사라고 판단하고, 용례 확인 후 그렇게 받았다.

 

 

(4) In the mouth of a hard-line act utilitarian, this is a (5)comprehensible criticism, for, as is well known, almost the only conflict that classical utilitarianism’s one rule can generate is the (6) tiresome logical one between the two occurrences of ‘greatest’ in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4) (5) 는 시간이 살려 준 경우겠다. 너무 당연한 말인지도 모르지만 시간과 여유가 큰 변수다. 시간을 정해 놓고 하는 편이기는 하지만, 누가 기다리는 사람이 있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쫓긴다 싶게 되면 꼭 하나씩 그 말 하나하나는 틀리지 않아도 결과적으로 뜻이 잘 통하지 않는 번역문이 되기도 하니까.

 

저 문장의 경우 맨 처음엔 강경 노선의 행위 공리주의자의 말을 빌면 이것은 이해가 가는 비판이다라고 옮겼다. 틀린 번역은 아니었다. 그런데 무슨 말인지가 분명치가 않았다. 그래서 강경노선을 취하는 행위 공리주의자의 논거에 따르면 이는 납득할만한 비판이다로 바꾸어 봤다. 조금 나은 것 같아서 넘어 갔다. 그런데, 조금 전 올리려고 다시 보니 아무래도 어색한데다 뭉퉁했다. 그 아래의 문장들을 다시 보다가 저기서 저자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나더러 그게 그게 아니라고 공리주의자가 걸고 넘어지면 내 그럴 수 있다고 하겠지만, 의무론자들이 그러고 나선다면 참으로 황당하다이 소리잖아?! 혼자 중얼거려 보았고 그래서 그렇게 받았다. “그래서 이것이 강경 노선을 취하는 행위 공리주의자에게서 나온 비판이라면, 그것은 납득할만하다.” 정도로.  

 

마지막 것이 제일 낫다는 스스로의 평가에 근거해서, 이 경우를 통해 직역이나 의역이냐를 칼같이 가를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해 봤다. 직역(역자가 자기 임의로 원문 텍스트를 건드리지 않고 따라가며 하는 번역-내가 쉽게 정의한 것) 도 필요하다면 펼쳐야 하고 의역(역자가 자기 임의로 원문 텍스트에 첨삭을 발휘하면서 하는 번역)도 필요하면 원문에 국한해서 옮겨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내 번역은 결국 내 이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휘력이나 문장력이 그런 내 이해의 표현과 전달을 돕거나 방해할 수는 있겠으나, 내가 이해한 것과 동떨어진 번역은 없겠다는 생각도. 번역이 반역인지 거역인지는 나로서는 좀 큰 주제인 것 같고, 번역이 내 이해의 깊이와 범위를 비추는 거울, 값비싼 거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6) 이 말은 쉬운 듯 하면서 끝에서 헛갈렸다. Tiresome 이야 boring 인데, 막상 저 자리에 흥미로울 것이 없는이렇게 옮겼더니 좀 튀고, 그렇다고 곧이 곧대로 지루한으로 넣었더니 그게 왜 지루한 논리문제인지를 내가 알지 못해서 이상하게 느껴졌다. 사전에 나온 뜻대로 옮기고 만 방어적인 번역이었다.  

 

But it is strange to find the very same criticism coming from deontologists, since they are, (7)notoriously, faced with the same problem.

 

(7) notoriously 는 늘 악명 높다 의 의미만 떠오르는데 이번에도 그랬다. 앞으로는 동시에 둘 다 떠오르라고 외워 보려고 했다. “–이 주지의 사실이다.” (부정적 의미에서)

 

So is it being assumed that deontology can solve the conflict problem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Or does the objection reveal (8) (rather early in the day!) that it is only utilitarianism that gives us adequate action guidance and that the other two should be abandoned forthwith?

 

(8) 은 반반이다. 처음엔 다소 이른 감이 있으나로 했는데 괄호 앞과 뒤가 무슨 점강법처럼 논조의 약강으로 느껴져서,  아예 초장부터이런 뜻이 아닌가 싶어서 그것으로 했다. 둘 중에 하나일 것 같기는 한데 맞았으리라는 확신은 없다.

 

(9) Before tackling these questions I must spend some time discussing the topic of dilemmas itself, for this turns out to be surprisingly complicated. I (10) shall also find it necessary to say some more about the phrase ‘right action’.

 

(9) 번역문이 길고 어색하다는 걸 알면서도, 두 문장으로 쪼갠다고 해서 별로 달라지지 않아서 그대로 했다. 조금 더 자연스럽게 말을 만들 수 있었으면 좋았겠다. (10) 은 미래가 아니라 할 생각이다의 의미로, 확인 뒤에, 받았다.

 

 

DILEMMAS AND (11) REMAINDER

 

(11) 잔여로 받았다. 나머지로 할까 하다가 residue가 또 나오므로 그냥 잔여로 했다.

 

(12) Embedded in this literature is the important idea of ‘remainder’ or ‘residue’. Suppose there are irresolvable dilemmas and someone is faced with one. Then, whatever they do, they violate a moral requirement, and we expect them (especially when we think in terms of real examples) to register this in some way—by feeling distress or (13)regret or remorse or guilt, or, in some cases, by recognizing that some apology or restitution or compensation is called for. This—the remorse or regret, or the new requirement to apologize or whatever—is called the (moral) ‘remainder’ or ‘residue’. Even when a dilemma is resolvable, one moral requirement  clearly overriding the other, many writers want to insist that it is resolvable only ‘with remainder’; (14)the overridden requirement retains its force in some way, so regret, or perhaps the recognition of a new requirement, are still appropriate.

 

(12) 전에 이 embedded 를 우리 말로 적절히 받아 놓은 것을 본 기억이 나는데 (아마도 강유원님 사이트였지 싶은데) 어디서 봤는지는 알겠는데 정작 그게 어떤 말이었는지가 기억이 나지 않았다. 그래서 그냥 심화되어서 내재되어 있다로 생각했고, 막상 그렇게 옮기니 무겁다 싶어서 심화라고만 했다. ‘파묻혀 있다그대로 하자니 좀 튀고.

 

(13) 이 둘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막 보고서 그런 의문이 들었었다. 이번 기회에 정리해 두자는 생각에서 이것저것 찾아 보았다. 영한사전을 보면 후회의 범주에 든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유감, 후회 그리고 후회와 죄책감. 영어사전을 보았더니:

 

[regret] feeling sad, repentant, [remorse] deep regret or guilt for a wrong committed. 이렇게 되어 있다. 이걸 놓고 보면, remorse regret 보다 강도가 더한 말이고, 잘못을 했음을 알고 그에 대해 죄를 지은 것에 대한 후회와 책임감을 느낀다 이고 regret 은 그 일을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었는데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고 안타까워 하는 감정 정도로 정리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조금 더 구체적인 느낌을 받고 싶어서 두 말을 열쇳말로 넣고 용례 검색을 했다. 맨 위에 올린 그림과 글은 거기서 본 것인데 키에르케고르가 저런 말을 했는 줄이야 전혀 몰랐으므로 덕분에 하나 건졌다고 좋아했다. 어디서 똑 따온 저 말을 제대로 이해하는가가 문제이긴 하겠다. 아무튼 유감은 전향성을 죄책감과 자책은 성찰과 과거를..정도로 선을 그어 봤다.    

 

(14) 이 문장이 이번 분량에서 옮기기가 가장 골치 아팠다. 대략 나는 이 문장을 예컨대 정의와 연민이 상충할 때, 그러나 후자가 약하고 전자가 분명히 강력한 상황일 때, 나는 우선되는 정의에 따라 행동을 할 수는 있었으나, 나를 그렇게 행동하게 만든 바로 그 결정력이 나로 하여금 연민을 저버렸다는 사실을 주지시키고 후회하게 만든다. 그래서 (도덕적으로) 새롭게 요구되는 것이 있음을 인정하고, 연민을 따르지 못한 것을 유감으로 생각하는 것 등은 비록 우선되는 원칙에 따라 행동이 종결된 뒤라도 여전히 적절한 경우라 할 수 있다정도로 읽었다. 그런데 내가 이해한 것과 막상 번역해서 옮긴 문장 사이에 틈이 있어 보인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ven larger body of literature in applied ethics on ‘hard cases’ (which are also called ‘dilemmas’) such as (15)infanticide in the case of handicap, or abortion in the case of rape, or lying to the person in intensive care about the fact that she is the only member of her family to have survived the car accident, and so on. And a remarkable fact about this second body of literature is that it rarely, if ever, takes any notice of the first.

 

(15)는 내가 그것이 다른 것들과 같은 예로 취급될 수 있는지에 관해 의문이 들었다. 

 

Those who contribute to it (a) rarely even entertain the possibility that the dilemma they are discussing is irresolvable; on the contrary, they assume that there must be one, correct, decision to be made about it which it is the business of their moral theory—usually utilitarianism or deontology—to reveal or discover. And (b),(16) concentrating exclusively on the question ‘Which is the right act in this case, x or y?’, they fail to say anything about ‘remainder’ or ‘residue’. Both (a) and (b) require discussion, and I shall begin with (b), leaving (a) until the next chapter.

 

(16) 도 늘 배타적의 의미만 떴는데 이번 기회에 오로지 만 한다도 하나 추가해서 외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기록.  

 

 

얼마나 되었다고, 어느 틈에 읽었다는 기억도 희미하지만, 이번과 다음 챕터는 생각할 것들이 참 많았던 것 같다. 잠시 생각에 잠기기도 했다. 주어진 같은 시간에서 무엇에 더 열심이어야 좋을지. 옮기는 일인지 아니면 그 생각할 것들인지. 어느 쪽이든 그건 같다. 나는 아마 지금 이 책이 아니었다면 (반드시 on virtue ethics란 제목의 책 하나를 의미하려는 건 아닌 것 같다) 나의 현재를 이렇게 할애하지는 않았으리라는 것. 위 그림에 담은 몇 구절을 보면서 다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시간도 나도 충분하지는 못하지만, 거스르지 않고 무리 없게 좀 더 해 가다 보면결론은 늘 이런 식이다. 모르니 조금 더 가고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

 

Resolvable Dilemmas

해결할 있는 딜레마

 

            Still considering the reason people have for finding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unsatisfactory, that it somehow fails to provide us with action guidance, we come to the ‘conflict problem’. ‘The requirements of different virtues,’ it is said, ‘can point us in conflicting directions. Charity prompts me to kill the person who would (truly) be better off dead, but justice forbids it; so virtue ethics fails to give me any guidance over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euthanasia. Honesty points to telling the hurtful, even devastating, truth, kindness and compassion to remaining silent or even lying; so virtue ethics fails to give any guidance to, for example, doctors, over whether they should or should not sometimes lie to their patients. And so on. So virtue ethics lets us down just at the point where we need it most, where we are faced with the really difficult moral quandaries and do not know what to do.’

 

                사람들이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의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근거로 드는 이유들, 윤리학은 아무래도 행동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근거들을 계속해서 검토해 가다 보면, ‘상충의 문제 도달한다. ‘서로 다른 덕의 요건들 우리를 서로 상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있다고 주장된다. 자비는 우리로 하여금 (정말로) 죽는 편이 나은 사람을 죽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하지만, 정의는 그를 금지한다. 그래서 윤리학은 안락사의 옳고 그름에 관해서 나에게 아무런 지도도 주지 못한다.  정직은 고통스럽고 충격적이기조차 진실을 알리라고 지시하지만, 친절과 연민은 침묵을 지키라고 아니면 심지어 거짓말을 하라는 지침을 준다. 그래서 윤리학은, 예컨대, 환자들 앞에서 거짓말을 해야 하는가 아닌가를 고려하는 의사에게 어떠한 도움도 주지 못한다. 기타 등등. 이와 같이, 윤리학은 우리가 그것을 가장 많이 필요로 , 우리가 정말 어려운 도덕적 궁지에 직면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없을 , 우리를 실망시킨다.

 

            In the mouth of a hard-line act utilitarian, this is a comprehensible criticism, for, as is well known, almost the only conflict that classical utilitarianism’s one rule can generate is the tiresome logical one between the two occurrences of ‘greatest’ in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But it is strange to find the very same criticism coming from deontologists, since they are, notoriously, faced with the same problem. Indeed, moral quandaries or dilemmas are usually defined in deontological terms, as created by conflicting moral principles or rules that generate conflicting requirements in the situation at issue. So is it being assumed that deontology can solve the conflict problem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Or does the objection reveal (rather early in the day!) that it is only utilitarianism that gives us adequate action guidance and that the other two should be abandoned forthwith? Before tackling these questions I must spend some time discussing the topic of dilemmas itself, for this turns out to be surprisingly complicated. I shall also find it necessary to say some more about the phrase ‘right action’.

 

                그것이 강경 노선을 취하는 행위 공리주의자에게서 나온 비판이라면, 이러한 비판은 납득될만하다. 왜냐하면, 알려져 있다시피, 고전 공리주의의 유일 규칙이 낳을 있는 거의 유일한 충돌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최대 발생할 사이에 놓인 지루한 논리적 상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와 완전히 똑같은 비판이 의무론자들로부터 제기된다는 점은 의아스럽다. 왜냐하면 의무론이 이와 똑같은 문제에 처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덕적 곤경 또는 딜레마는 의무론의 용어로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덕적 딜레마는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서로 상반되는 요구조건을 가진 도덕 원칙이나 규칙들이 맞부딪히면서 발생한다. 그래서, 의무론의 경우는 윤리학에서는 불가능한 어떤 방식으로 상반됨의 문제를 해결할 있다고 가정된다는 것인가? 아니면, 그런 반론이 드러내고 있는 것은 (일찌감치!), 우리에게 적절한 행위 규범을 제시할 있는 것은 공리주의뿐이며 나머지 이론은 당장 버려야 마땅하다는 것인가? 이런 문제들을 다루기 전에 나는 일정 정도의 시간을, 놀라우리만치 복잡한 문제임이 밝혀질, 딜레마라는 주제 자체의 논의에 써야겠다. 나는 또한 옳은 행위라는 구절에 관해서도 조금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DILEMMAS AND REMAINDER

딜레마와 잔여

 

In current philosophical literature on the topic of dilemmas we find an odd split. There is, on the one hand, a large body of literature disputing the theoretical question of whether there are, or even could be, ‘irresolvable’ moral dilemmas. (An irresolvable moral dilemma is usually specified as a situation where doing x and doing y are equally wrong, but one has to do x or y, or one in which two moral requirements conflict but neither overrides the other (roughly).) Contained within the literature are related disputes about what the existence of irresolvable dilemmas does, or would entail, such as the falsity of moral realism or cognitivism (or, alternatively, their truth!), the failure of moral absolutism, the impossibility of a moral theory’s providing a decision procedure, and so on.

 

                딜레마의 주제를 다루는 현재의 철학 문헌에서 우리는 이상한 분열을 발견하게 된다. 한쪽 편에는 해결이 불가능한 도덕적 딜레마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혹은 있을 수가 있는가, 라는 이론적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이는 많은 문헌들이 있다. (해결 불가능한 도덕적 딜레마란, 일반적으로, 행위 x 행위 y 모두 똑같이 잘못된 행위이나 반드시 x y 하나를 해야만 하는 상황, 또는 (거칠게 말해서) 도덕적 요구조건들이 서로 상충하고 있으나 어느 쪽도 다른 하나를 우선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상술된다.) 문헌들이 담고 있는 내용은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의 존재가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 또는 수반될 것이 예정되는 , 예컨대 도덕적 리얼리즘이나 인지주의의 오류 (아니면 역으로 그것의 옳음!), 도덕적 절대주의의 실패, 도덕이론에 근거한 의사결정과정 제시의 불가능성 기타 등등, 관한 논쟁과 연관이 있다.

 

            Embedded in this literature is the important idea of ‘remainder’ or ‘residue’. Suppose there are irresolvable dilemmas and someone is faced with one. Then, whatever they do, they violate a moral requirement, and we expect them (especially when we think in terms of real examples) to register this in some way—by feeling distress or regret or remorse or guilt, or, in some cases, by recognizing that some apology or restitution or compensation is called for. This—the remorse or regret, or the new requirement to apologize or whatever—is called the (moral) ‘remainder’ or ‘residue’. Even when a dilemma is resolvable, one moral requirement  clearly overriding the other, many writers want to insist that it is resolvable only ‘with remainder’; the overridden requirement retains its force in some way, so regret, or perhaps the recognition of a new requirement, are still appropriate.

 

                이들 문헌에는 잔여혹은 나머지라는 중요한 개념이 심화되어 있다. 해결이 불가능한 도덕적 딜레마들이 있고, 누군가 하나에 직면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어떤 행동을 하건 간에 사람들은 하나의 도덕적 요건을 위배하게 된다. 그러면 우리는 그들이 (특히 실제의 사례를 떠올려 본다면) 이를 어떤 식으로 고통스러움이나 후회, 양심의 가책, 죄의식, 또는 죄책감을 느낌으로써, 또는, 어떤 경우 사죄나 배상 혹은 보상금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남기게 되리라고 예상한다.  이런 -후회나 양심의 가책 또는 사죄해야 한다는 새로운 요구조건 아니면 무엇이라도- (도덕적) ‘잔여또는 나머지이다. 어떤 딜레마가 해결될 있는 때조차, 하나의 도덕적 요구조건이 다른 하나에 명백히 우선될 때조차, 많은 필자들은 딜레마는 오로지 잔여 함께 해결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어한다. 우선된 요구조건은 어떤 것을 통해 우선된 힘을 남긴다. 그래서, 후회나 아마도 새로운 요건을 인정하는 등은 여전히 상황에 맞는 것들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ven larger body of literature in applied ethics on ‘hard cases’ (which are also called ‘dilemmas’) such as infanticide in the case of handicap, or abortion in the case of rape, or lying to the person in intensive care about the fact that she is the only member of her family to have survived the car accident, and so on. And a remarkable fact about this second body of literature is that it rarely, if ever, takes any notice of the first. Those who contribute to it (a) rarely even entertain the possibility that the dilemma they are discussing is irresolvable; on the contrary, they assume that there must be one, correct, decision to be made about it which it is the business of their moral theory—usually utilitarianism or deontology—to reveal or discover. And (b), concentrating exclusively on the question ‘Which is the right act in this case, x or y?’, they fail to say anything about ‘remainder’ or ‘residue’. Both (a) and (b) require discussion, and I shall begin with (b), leaving (a) until the next chapter.  

                다른 편에는, (‘딜레마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다루기 힘든 문제, 예를 들면, 장애를 발견한 경우에 유아 살해, 강간을 당한 경우에는 낙태, 중환자실에 있는 사람에게 그가 자동차 사고로 살아 남은 유일한 가족이라는 사실을 속이는 기타 등등, 관한 번째 보다 많은 응용 윤리학 문헌들이 있다. 가지 놀라운 사실은, 번째 문헌들이 번째 문헌에 대해, 만일 그랬던 적이 있기나 했다면, 거의 주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에 일조한 사람들은 (a) 자신들이 논하고 있는 딜레마가 해결될 없다는 가능성에 관해 거의 고려조차 하지 않는다. 그렇기는 커녕, 그들은 자신들의 도덕 이론,--주로 공리주의나 의무론 밝혀 내거나 찾아 옳은, 하나의 결정이 반드시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서 오로지 (b) ‘어떤 것이 올바른 행동인가, x 인가 y 인가?’ 질문에만 집중한다. 그들은 잔여 나머지 관해서는 아무 것도 주장하지 않는다. (a) (b) 모두 논의가 필요하므로, 나는 a 다음 장에서 다루기로 하고 b 에서부터 시작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 should we say that those who have given up the original idea ‘reject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1) as, it is said, virtue ethicists do? Clearly, they share with virtue ethicists the view that ethics is not as codifiable as used to be commonly supposed, but there is still, I think, (2) a lingering view that it is, or ought to be, more codifiable than virtue ethics makes it out to be.  

(1) 은 as 이고, 나는 as 의 경우는 나올 때 마다 그냥 넘기지 못하게 된다. 크게 보면 많은 차이를 낳지는 않지만, 미묘한 뉘앙스가 많이 달라지니까. 이번 경우에서는 in the way of 의 의미라고 보았고, 그렇게 옮겼다. (2) 는 lingering view 를 the view is lingering 으로 풀어서 받았다.

 (3)Principles                                          (4)Corresponding Virtues

            Respect for autonomy                 Respectfulness

            Nonmaleficence                                     Nonmalevolence

            Beneficence                                           Benevolence

            Justice                                                  Justice or fairness

Rules   

            Veracity                                                 Truthfulness

            Etc.[1]

 (3) 여기서 일단 내 어휘력 닿는 대로 옮겨 놓고서, 올리기 직전에 혹시나 하고 확인검색을 해 봤다. 확인 검색은 찜찜하거나 어쩐지 싶은 것들의 경우는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하고, 맞기는 맞을 줄 아는데 싶은 것들은 시간이 되면 한다. 이 경우는 두 번째였는데 내가 몰라서 그렇지, 저 네 원칙이 윤리학의 기본원칙이거나 그 정도로 당연시되는 네 개의 원칙이었던가 보다. 아래에 링크에서 위 내용 모두를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이번에도 느끼지만, 온라인 검색이 잘 되지 못했을 때는 번역을 어떻게 했을까 싶다. 그래서 현재의 실수를 그때랑 똑같이 평가해도 될까 하는 의문도 든다. 지금은 정말 많은 실수를 걸러낼 수 있다. 그래서 번역자에게 그럴 수 있는 시간이 보장되도록 배려가 필요한 것 같고, 동시에 번역자가 독자들 무서운 줄도 알아야겠고 그런 것 같다.

링크 누름

  (4) 의 경우는 일치하는 덕으로 할까 상응하는 덕으로 할까 하다가, 후자로 했다.

Much invaluable action guidance comes from avoiding(5) courses of action that are irresponsible, feckless, lazy, inconsiderate, uncooperative, harsh, intolerant, indiscreet, incautious, unenterprising, pusillanimous, feeble, hypocritical, self-indulgent, materialistic, grasping, short-sighted, … and on and on.)[2]

이 부분의 형용사들을 잘 보고 있으면, 그 말이 맞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열거된 이런 행동을 피할 수 있다면, 그 행동은 좋은 행동일 수밖에 없다. 문제는 , 항상, 한결같이 이런 행동들을 피할 수 있으려면 저자가 설명한 것처럼 비단 어떤 성향만으로는 아니 되는 줄 알겠다.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까지는 규칙을 정해서 그에 따르게 하는 것 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줄도 알겠다. 문제는 여기서 나는 다시, 이 모든 것으로부터의 기피를 확실히 가능케 하고 이런 행동들을 욕구하거나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어떤 것, 아마도 즉 덕, 그게 무엇인가? 라는 기본 질문으로 되돌아가는 것 같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다려 보기로 했다. 저자를 잘 따라 가다 보면 어딘가 어느 쯤에서 합쳐져서 묶이는 내 답이란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생각의 불은 켜 두되 우선은 잘 뒤따라 가 보기로 했다.

단순한 호기심에서가 아니라, 무언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저 위 형용사들을 모두 붙여서 확인검색을 했다. 그랬더니, 성격심리학 혹은 인성심리학에서 이러저러한 연구를 하고 있다는 정보를 접할 수 있었다.

 링크누름


 (5) 내가 알기로, a course of action 은 아주 여러 가지로 해석이 된다. 그런데 우리 말로는 영어에서 받는 그 느낌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것 같다. 아래에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담은 영문을 옮겼는데, 나는 말로써 전달해야 할 이 구절의 중요한 지점이, “누군가가 여러 대안 중에서 어떤 행동(들)을 “판단/선택/실행” 해 가는, 일종의 의사결정의 과정”, 이라고 생각한다. A means available to the decision maker by which the objectives may be attained. A systems analysis usually considers several possible courses of action, which are then referred to as alternatives or as the decision maker's OPTIONS. 우리말로 옮겨진 용례를 보면, 행동과정, 행동노선, 행동방침, 행동계획 등등인데 어떤 것으로도 그 느낌을 잘 못 받겠고, 나라고 해서 뾰죽한 대안도 없다. 행동결정의 과정? 그 정도면 될까..

What else might still be at issue? A prevailing criticism of virtue ethics, related to the idea that it gives up on codifiability too soon, that it does not codify enough, is that it fails to provide action guidance when we come to (6) hard cases or dilemmas. So it is to a consideration of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hard cases—a surprisingly (7) large topic—that we now turn.

(6) 단순히 난제라고 해 버리기 전에 윤리학 분야에서 통용되는 어떤 말이 있지 않나 확인을 해 봤는데, 없었다. 그래서 그냥 썼고 (7) 은 dense 하다의 의미 deep 의 의미 extensive  또는 broad의 의미가 다 잇을텐데 그 중에 뭘로 할 지, 문장의 정보만으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어서, 큰으로 두루뭉수리하게 받았다.

(8)[1] Some virtue ethicists might want to insist on a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rtues and the vices; not only that to each virtue there corresponds at least one particular vice but also that every vice is opposed to some particular virtue. Of course one can, formally, insist that to laziness there corresponds the virtue of being the opposite of lazy, which happens to lack a word in English (‘industriousness’ doesn’t really work); more plausibly one could claim that describing someone as ‘responsible’ in a (8)character reference describes them as having a particular virtue for which we have the adjective but not the noun. But I do not myself believe that things are that tidy.

(8) 이 각주 내용은 흥미로웠다. Character reference 를 나는 어떤 공식적인 (예를 들면 reference letter 가 필요한 맥락의 reference of character 로 보고서 취직하는데 왜 성격평가추천서 그런게 필요하나 의문이 들었다. 다시 읽어 보니, 그냥 일반적인 의미에서 in everyday talk,  누군가의 성품을 놓고 말한다 그때 누구를 어떻다고 묘사하면..이런 의미인 것 같아서 그렇게 옮겼다. 

 * * * * * *

이렇게 해서 1 장이 끝났다. 다음으로는 “해결이 가능한 딜레마” 가 이어진다. 서론을 옮겨 가던 때에 비하면 속도도 붙고 걱정이나 어려움도 덜한 걸 느낀다. 그렇지만 그것은 나의 혼자 느낌일 뿐이고 혼잣말이라서, 그냥, 앞으로도 계속 해 보겠다는 말 말고는 딱히 적을 말이 없는 것 같다.

전에, 격려차, 로쟈님께서 번역서 나오냐고 물어 주셨다. 그때 ‘곧’ 은 아니에요 라고 대답했는데, 나한테는 아무런 다른 생각이 없다. 딱 한 가지 말고는. 책을 다 읽고 나면, 그게 언제가 되건, 책을 쓴 저자와 대화를 한 번 해 봤음 하는 생각이 있다. 전에 발견한 (내가 생각할 때 분명한) 타이프 오류 같은 것들을 모아서 보내는 알림일 수도 있겠고, 아니면 그저 책 잘 읽었습니다 정도의 감상도 가능하겠다. 하지만 나는 내심, 그 보다는 어떤, 뭐랄까 당신의 책을 읽고 난 나의 생각은..이러고저러고 후기를 하나 써서 보내 봤으면 하는 상상이고 바람인, 그런 게 있다. 그런데 그러려면 옮기기도 하되, 더불어 생각이란 걸 하고, 따지기도 하고, 무엇보다 나만의 의문이란 것이 들어 차야 하고, 책을 읽어 갈수록 다듬고 그래얄텐데…를 생각하면 다 관 둬. 고개를 숙여..그런 생각만 난다.

사진은 저자의 이름으로 이미지 검색을 해서 찾은 것인데, 2005년도에 철학자들이 학회를 (Curio Bay 라는 곳에서) 했는가 보다. 즐거운 시간들을 가지신 듯, 모두들 한 사진 하는데 거기서 가져 왔다. 펭귄 사진은 소제목이 Bay 의 철학자들 이라고 되어 있길래 재밌어서 가져 왔고 저자는 예전 사진에 비하면 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f course, I am not claiming that this is now universally recognized, only that it is much more common than it used to be, particularly in books of applied ethics as opposed to books about what normative ethics is or should be. So should we say that those who have given up the original idea ‘reject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as, it is said, virtue ethicists do? Clearly, they share with virtue ethicists the view that ethics is not as codifiable as used to be commonly supposed, but there is still, I think, a lingering view that it is, or ought to be, more codifiable than virtue ethics makes it out to be.

 

물론, 나는 이것이 이제는 보편적인 인식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다만 그것이 과거에 흔히 그랬던 것에 비해 훨씬 일반적이며, 규범 윤리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다룬 책에 반대하는 응용 윤리학 서적에서 특히 그렇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러한 원래의 견해를 포기해 사람들이 윤리학자들이 하고 있는 식대로 윤리학 이론이 체계적으로 성문화 있다는 생각을 받아 들이지 않는다 주장 해야 하는가? 그들은 분명히 윤리학자들과 다음의 견해, 윤리학은 과거에 흔히 그럴 것이라고 가정되었던 것만큼 체계화가 가능하지 않다는 견해, 공유한다. 그러나, 생각으로는, 여전히, 윤리학은 윤리학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보다 많이 체계화될 있거나 그래야만 한다는 견해가 잔존하고 있는 같다.  

 

 Sometimes this amounts to no more than the mistake I noted earlier, namely the view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any rules or principles, combined, I suspect, with a gut unwillingness to join the virtue ethics camp. Beauchamp and Childress, whose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from being initially dismissive, has become increasingly friendly to virtue ethics in its successive editions, are still to be found insisting that virtue ethics needs to be supplemented by a list of principles, which they give. They do not say, but they might well, that it doesn’t codify enough. But the list looks like this: 

 

때때로 덕 윤리학이 어떤 규칙이나 원칙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견해는 내가 이미 언급한 잘못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내가 의심하고 있기로는 거기에는 덕 윤리학 진영에 동참하는 것이 내키지 않는다는, 어떤 직감적인 마지못함이 결부되어 있다. 뷰챔프(Beaucamp) 와 차일드리스(Childress) 의료 윤리학의 원리들 의 경우, 초기에는 무시하는 듯한 태도였으나 책이 판을 거듭할수록 점차 덕 윤리학에 우호적인 태도로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저자들은 여전히 덕 윤리학이 자신들이 제시하는 일련의 원칙들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고집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덕 윤리학이 충분히 체계적으로 성문화 되어 있지 않음을 직접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다고 당연시 해 버린다. 그러나, 그 목록은 이와 같다.     

 

 

 

 

Principles                                             Corresponding Virtues

            Respect for autonomy                        Respectfulness

            Nonmaleficence                                 Nonmalevolence

            Beneficence                                         Benevolence

            Justice                                                             Justice or fairness

Rules   

            Veracity                                              Truthfulness

            Etc.[1]

 

원칙들                                                                   상응하는 덕들

 

                자율성 존중의 원칙                                                     존중

                악행금지의 원칙                                                          악의 없음

                선행의 원칙                                                                   박애(어진 마음)

                정의의 원칙                                                                   정의로움 또는 공명정대함

 

규칙들

                정직                                                                                       진실됨

                기타 등등

 

            Now if this is all that is at issue, let us by all means sa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reject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t does not need to be supplemented by such principles; it embodies them already—and many many more besides. (It is a noteworthy feature of our virtue and vice vocabulary that, although our list of generally recognized virtue terms is, I think, quite short, our list of vice terms is remarkably—and usefully—long, far exceeding anything that anyone who thinks in terms of standard deontological rules has ever come up with. Much invaluable action guidance comes from avoiding courses of action that are irresponsible, feckless, lazy, inconsiderate, uncooperative, harsh, intolerant, indiscreet, incautious, unenterprising, pusillanimous, feeble, hypocritical, self-indulgent, materialistic, grasping, short-sighted, … and on and on.)[2]

 

, 만일 것이 문제가 되는 전부라면, 윤리학은 윤리가 체계적으로 성문화될 있다는 생각을 결코 거부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하도록 하자. 윤리학은 그런 원칙들로 보충되어야 필요가 없다. 이미 그것은 그러한 원칙들을 구체화 시켜 놓고 있다. 그리고 밖에도 아주 많은 원칙들이 있다 (주로 덕의 용어로 인정되는 윤리학의 목록이, 내가 생각할 , 짧기는 하나, 악덕을 설명하는 용어들은 놀라우리만치그러나 충분히 유익하게길고, 의무론의 표준 규칙으로 구성된 지금까지의 어떤 목록도 훌쩍 넘어설 만큼 길다. 점은 윤리학의 주목할만한 특징이다. 많은 귀중한  행위 지침이 무책임하고, 경솔하고, 나태하고, 남에 대한 배려가 없고, 비협조적이고, 가혹하고, 편협하고, 경솔하고, 무모하고, 진취적이지 못하고, 나약하고, 의지박약하고, 위선적이고, 제멋대로고, 물질 만능주의적이고, 욕심이 지나치고, 근시안적이고……그밖에 기타 등등인 행동을 하지 않으려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What else might still be at issue? A prevailing criticism of virtue ethics, related to the idea that it gives up on codifiability too soon, that it does not codify enough, is that it fails to provide action guidance when we come to hard cases or dilemmas. So it is to a consideration of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hard cases—a surprisingly large topic—that we now turn.

                 그밖에 다른 어떤 것에 문제가 소지가 있을까? 윤리학이 체계화의 가능성을 너무나도 일찍 포기해 버렸다는 견해, 다시 말해 충분히 성문화 되어 있지 않다는 견해에 주어지는 지배적인 비판은, 윤리학이 우리가 난제 또는 딜레마에 부딪혔을 경우 행위 지침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제 난제-- 놀라울 정도로 주제-- 와의 연관 하에 윤리학을 검토할 차례가 되었다.



[1] T.L. Beauchamp and J. F. Childress, (ed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4th edn. (1994), 67

 

[2] Some virtue ethicists might want to insist on a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rtues and the vices; not only that to each virtue there corresponds at least one particular vice but also that every vice is opposed to some particular virtue. Of course one can, formally, insist that to laziness there corresponds the virtue of being the opposite of lazy, which happens to lack a word in English (industriousness’ doesn’t really work); more plausibly one could claim that describing someone as ‘responsible’ in a character reference describes them as having a particular virtue for which we have the adjective but not the noun. But I do not myself believe that things are that tidy.

일부 윤리학자들은 덕과 악덕 사이의 강한 상응성을 주장하고 싶어할 모른다. 각각의 덕에는 적어도 가지씩의 악덕이 상응할 아니라 모든 악덕은 어느 특정 덕에 대립된다. 물론 어떤 이는, 공식적으로, 게으름에는 게으른 상태의 반대에 해당하는 , 영어에서는 말이 빠져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근면성 실제 경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응한다고 주장할 있다; 조금 타당성 있는 다음의 주장이 가능하다. 어떤 사람의 성품을 언급할 누군가를 책임감이 있다 묘사하는 것은 사람에게 형용사는 있으나 명사는 없는 어떤 덕이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도 그런 주장들이 그리 [논리] 정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