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 2006-10-28  

중얼중얼..
이젠 온라인에서도 지내련다, 한 뒤다 보니, 쓸만한 시간들이 아쉬워져요. 가을 되고 빠르게 저무는 나날들 같고, 그렇지만 제 역할 제 몫들은 여전히 바위들이죠. 그걸 거스르지 않으면서 살려면 꾀도 있어야 하고 요령도 있어야 되겠더라고요. 겪어서 안 것이라 저한테는 틀림없는 거예요. 며칠 마실을 다녀 오신 아버지께서 곰탕 먹자고 고기며 뼈를 사 들고 오셨을 때, 그래서 속으로 잘 됐다 그랬죠. 한 솥 안치고, 방에서 나와 식탁에서 노래도 듣고 전화도 걸고, 점점 일을 벌려서 이것저것.. 한국에서 방송이 하나 있을 거래요. 미국 쇠고기 생산공정 과정을 취재하고 온 필름이라더군요. 한미 FTA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보자는 차원에서 제작되었다고 하고요. 보지도 않고서는 여러 생각들이 들었어요. 제가 먼저라고^^ 보호에 대한 감상, 답도 없는 정체성 생각이 먼저 들더군요. 미국 대 한국의 문제 그런 것 보다 먼저요. 지금 내가 있는 곳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나를 설명하는 것 사이..그렇잖아요. 우리 한국인 그런 거 나는 몰라 하며 되는대로 먹고 사는데, 그러다 그게 고기건 뭐건 제가 병들거나 죽거나 하면 그때는 또 미국에 거주하던 한 한국인, 모두 다 그렇게 절 실어 낼 거 아녜요. 채식 대 육식, 먹고 산다는 것 대 먹는 것으로만 살 수 없다는 것, 남의 바가지깨진 것하고 우리네 그거 안 깨진 것하고, 그리고 미국과 한국..방송 보면 정말 복잡하겠구나 그런 생각도 들었었고요. 어쨌거나 너무 충격에 의존하지 않은 필름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 프로그램이 정말로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관해 사람들이 재고하게 되기를 바라는 데 목적을 두었다면요. 그게 분명하다고 해도, 가치판단의 문제들이 응어리진 내용들일 게 분명한 것 같은데, 충격이 너무 앞에 오면, 왜 금연 홍보 프로그램처럼요, 충격만 남고 의미는 전도되고 말 수도 있으니까요. 난 고기 좋아하는 사람 아니니까 마음 먹으면 육식 끊는 일이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데..이러다 ‘봐봐, 이렇다니까. 또 이렇게 ‘나’ 로 문제가 금방 치환이 되잖아. FTA 문제는 나랑 미국의 문제, 그 수준이 아닌데..’ 이런 생각도 들고.. * '그만 끄적대자, 아마 이것도 짤린 건데..' 했는데 다 올라가네요. 그림자님 아침 잘 챙겨 드셨어요? 저는 오늘 아침에 생두부 더운 김 살짝 입혀서 반 모도 훨씬 넘게 먹고 나왔지요- (^^)
 
 
비로그인 2006-10-28 0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굿모닝~! 오늘 너무 일찍 일어나서, 아침은 혼자 새벽에 야금야금 먹었어요. 흠..생두부를 그렇게도 먹을 수 있군요. 나중에 한번 시도해 봐야 겠어요.
신문에서 저도 그 얘기 읽었어요. 한 걱정하면서..
아이들이 갈비탕을 좋아해서(갈비탕이 좋은 건지, 그 안의 당면 건져 먹는 재미로 좋아하는 건지는 잘 모르지만..) 자주 끓여 먹는데, 저야 이제 늙었으니까 상관없지만, 여기서 자라는 아이들 걱정이 먼저 되더군요.(저도 결국은 "나" "우리 가족"을 벗어나지 못하는거죠?) 그래도 일단 이런 프로그램이 없는 것보다는, 있는게 훨씬 나으리라 생각되요. 암튼, 글자수의 압박 때문에 저도 이만 총총..주말 잘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