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해결할 수 없고 비극적인 딜레마

 

I take an irresolvable dilemma to be a situation in which the agent’s moral choice lies between x and y and there are no moral grounds for favouring doing x over doing y[1]. We could also describe it as a situation in which the agent’s choice lies between x and y and nothing would counts as the reasonable practical answer to ‘Should I do x or y?’[2] Any putative example I gave at the outset would be bound to be controversial, for any particular situation I thought constituted an irresolvable dilemma could be one that someone else thought was to be resolved in a particular way, and some people think that there just aren’t any irresolvable dilemmas anyhow.

 

나는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란 행위자의 도덕적 선택이 x y 사이에 놓여 있고, x 를 하는 것이 y를 하는 것 보다 우위에 있을 아무런 도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또한 그것을 행위자의 선택이 x y 사이에 놓여 있고, 그 중 어느 것도 나는 x 를 해야 하는가 아니면 y 를 해야 하는가?’ 의 물음에 대한 논리적이고 실천적인 그런  답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기술할 수 있다. 논의의 처음에 내가 제시한 어떠한 추정상의 사례들도 논쟁의 소지가 다분할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보기에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의 상태를 만들었다고 생각된 상황이 다른 사람에게는 어떤 방식으로 풀릴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어쨌거나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ARE THERE ANY IRRESOLVABLE DILMMAS?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이 있는가?

 

I mentioned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hapter that the contributors to the prevailing literature on hard cases in applied ethics ‘rarely even entertain the possibility that the dilemma they are discussing is irresolvable; on the contrary, they assume that there must be one, correct, decision to be made about it which it is the business of their moral theory…to reveal or discover’. Are there any irresolvable dilemmas? Are they justified in making this assumption? Well, there is justifiability according to one’s own lights, and justifiability tout court. I begin with the former.

 

나는 지난 장()의 도입부에서, 응용 윤리학 분야에서 난제를 다룬 주요 문헌의 기고자들이 자신들이 논하고 있는 딜레마가 해결할 수 없는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그런 생각조차 거의 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 반대로, 그들은 딜레마에는 그것에 관해 내려질 수 있는 하나의 옳은 결정이 반드시 있으며, 그것을 발견해 내거나 제시해야 하는 것이 그들의 윤리 이론이 해야 할 본무라고 가정한다.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이 있는가? 그들의 이런 가정 설정은 정당한가? 그들 자신의 정당함이 있고, 간단히 정당함이 있겠다. 나는 전자에서 시작하겠다.   

 

            Act utilitarians are, by and large, justified in making the assumption, according to their own lights. For, in so far as their theory basically eliminates the conflict problem, it eliminates irresolvable conflicts. It is true that the classical statement of the supreme utilitarian value,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can be made to generate an irresolvable dilemma when each ‘greatest’ directs one differently and incompatibly. It is also true that A’s  happiness and B’s happiness or suffering may be incommensurable, creating an irresolvable dilemma, and that a third sort may be presented by a case in which x and y are the only alternatives and each will produce exactly the same amount of suffering. But the fact is that the hard cases that are discussed in applied ethics are not, by and large, of any of these sorts; when they are not, the act utilitarian is, by her own lights, justified in her assumption that she can find the one right decision to be made about them. She thinks that, excepting a few arcane cases, moral life is pretty straightforward. However, the same is not true of deontologists.

 

            행위 공리주의자들은 대체로 자기 자신들의 관점에서 가정을 세우고 그것을 정당화 시킨다. 기본적으로 그들의 이론이 상충의 문제를 무시하는 한, 그 이론은 해결이 불가능한 갈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고의 공리주의적 가치에 대한 고전적 진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그 각각의 최대가 상이하고 모순되는 것을 가리킬 경우,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를 만드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될 수 있음은 맞는 사실이다. 또한, A의 행복과 B 의 행복 혹은 고통이 같은 기준으로 비교될 수 없어서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맞다. 그리고 그 세 번째의 경우는 x y만이 유일한 대안인 상황에서 각각이 정확히 같은 양의 고통을 양산하는 경우로써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상, 응용 윤리학에서 논의되는 다루기 힘든 사례들은 대체로 이런 종류에 속하는 것들이 아니다. 그런 경우, 행위 공리주의자는, 자신 고유의 관점에 따라, 그런 어려운 경우에 대해 내려질 수 있는 하나의 올바른 결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가정을 내리고 그것을 정당화시킨다. 그는 몇몇 난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덕적 삶을 산다는 것은 매우 단순 간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와 똑같은 생각이 의무론자들의 관점에서는 참이 아니다.  

 



[1] R.B. Marcus, ‘Moral Dilemmas and Consistency’ (1980)

[2] David Wiggins, ‘Truth,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Life’ (1976)

 

 

 

 

 

One might think that deontologists would have been attracted to deontology (as opposed to utilitarianism) with its plurality of rules or principles precisely because that plurality could represent life as full of irresolvable conflict in a way that utilitarianism does not. Utilitarianism is all geared up to resolve dilemmas right, left, and centre; those who think that life is much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an utilitarianism makes out turn to deontology. But people do not, in general, seem to be attracted to, and espouse, deontology because they think that life is full of irresolvable dilemmas; rather they turn to it as a system of ethical thought which, like utilitarianism, resolves them, but in a different way. Deontologists are indeed to be found characteristically maintaining that utilitarians have made out a particular putative hard case to be too simple-they have concentrated merely on the consequences of killing someone or refusing to (in which case many others die), or keeping the promise or breaking it, of telling the truth or telling a lie, and so on—and neglected to consider the nature of the act itself. But this introduction of further considerations, with its implication that utilitarianism has overlooked genuine moral complexity, does not, in general, lead on to the conclusion that the putative dilemmas are irresolvable. Standardly, in the literature, it leads on to the conclusion that the putative dilemma is resolvable—but in the opposite way to that which the utilitarians gave.

 

어떤 사람은 의무론자들이 (공리주의에 반대하면서) 다수의 규칙과 원칙을 갖는 의무론에 이끌리게 된 정확한 이유는 그 다수의 규칙과 원칙이 공리주의로는 되지 않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로 채워진 삶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공리주의는 해결할 수 있는 딜레마들을 오른쪽 왼쪽 가운데로 완전히 정렬시킨다. 삶이 공리주의가 이해하고 있는 것 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의무론으로 눈을 돌린다. 그러나 사람들은, 대개, 삶이 해결이 어려운 문제로 꽉 차 있다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의무론을 지지하고 거기 이끌리게 되는 것 같지 않다. 그렇다기 보다는, 사람들은 의무론을 공리주의와 마찬가지로, 그러나 그와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윤리적 사고의 한 체계로서 보고 거기로 눈을 돌린다. 실제로, 의무론자들은 공리주의는 추정상의 난제를 지나칠 정도로 단순화시켜서 파악하고 있으며, (많은 다른 사람들이 죽는 경우) 누군가를 죽이거나 죽임을 거부하거나, 약속을 지키거나 깨는 것 또는 진실을 말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것 등등의 결과에 대해서만 단순히 집중할 뿐 그런 행위 자체의 본질에 대한 고려는 소홀히 한다는 주장을 특징적으로 계속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이상의 고려에 관한 이런 예비적 해설은, 그것이 공리주의가 진정한 도덕의 복잡성을 간과해 왔음을 함언하고 있기는 하나, 대체로, 추정되는 딜레마들은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게끔 하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문헌에서, 그것은 추정되는 딜레마들은 해결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게끔 한다--그러나 공리주의가 제시한 것과는 반대되는 방식을 통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anima-mia4.blogspot.com/2006/11/6_15.html

 

* 나름대로, 말하자면 내 exercise of judgment 로 (잠시일지 당분간일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식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ne does not have to agree with the three views expressed here to recognize this as a strategy available to virtue ethics, any more than one has to agree with the particular views of deontolgists who, for example, may claim that a certain rule outranks or overrides another, or that a certain rule has a certain exception clause built in, or is to be interpreted in a certain way, when they argue that a putative case of conflict is resolvable [1][1]. Whether an individual moral philosopher has resolved a putative moral dilemma correctly is one question: whether the normative ethics she espouses has the wherewithal to resolve it is entirely different question, and it is the latter with which we are concerned here.

 

                의무론자들이 도덕 규칙들 사이의 상충문제가 해결 가능하다고 주장할 경우, 그들 개개의 견해, 예를 들어 어떤 규칙은 다른 규칙 보다 상위의 덕이라던가 어떤 규칙에는 필수적인 예외조항이 있다던가, 어떤 규칙은 어느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등을 주장하는 각각의 견해에 동의할 필요가 없다는 것처럼, 지금 말한 이것이 윤리학이 구사할 있는 전략 하나임을 인정하기 위해서 여기 표명된 가지 관점에 동의해야 필요는 없다. 도덕 철학자 개개인이 도덕적 딜레마로 추정되는 일들을 옳게 해결했는가의 여부가 하나의 문제라면, 그가 신봉하는 규범 윤리학 이론에 문제를 해결할 방도가 있느냐의 여부는 그와 완전히 다른 문제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가 다루려는 것은 후자의 문제이다. 

 

            Given the similarity of their strategies, it is not surprisingly that, at this point, both deontologists and virtue ethicist may find themselves subject to the same objection. Do not their resolutions of dilemmas both depend, at bottom, on an entirely unsatisfactory notion, that of intuition (or ‘insight’ or ‘perception’ or ‘the exercise of judgment’)? How is one supposed to tell that this rule outranks that, or that this rule has a certain exception built in; how is one supposed to tell that ‘one does people no kindness by concealing this sort of truth from them’ except by intuition? Those philosophers who resolve the dilemmas in particular ways may say tha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of judgment’. But if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are going to wind up depending on some mysterious ‘exercise of judgment’ whenever they turn their attention to difficult cases, then it surely is only utilitarianism that can pretend to give us adequate action guidance.

 

                전략의 유사성을 놓고 , 지점에서, 의무론자들과 윤리학자들이 같은 반대에 처하기 쉽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이론이 제시한 딜레마의 해법들은 직관 (또는 통찰, 인식, 또는 판단의 실행) 이라고 하는, 전혀 적합하지 못한 개념에 근거하고 있지 않은가? 직관에 기초하는 경우를 빼고서 어떻게 규칙이 규칙 보다 중요하다, 또는 규칙에는 필수적인 예외조항이 있다는 주장이 당연해지는가? 어떻게이런 종류의 진실을 은닉하는 것으로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친절도 베풀지 못한다 주장이 당연해지는가?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딜레마의 문제를 푸는 철학자들은, 지금의 경우에 관해판단의 실행 필수라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만일 의무론과 윤리학 모두가 다루기 어려운 사례에 주목하는 때마다판단의 실행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에 의거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면, 우리에게 적절한 행위 지침을 제공할 있는 것은 오로지 공리주의뿐이라는 점은 분명해질 것이다.   

 



[1][1] Judith Jarvis Thomson’s deservedly famous article on abortion, ‘A Defense of Abortion’ (1971), illustrates this. The conflict between the foetus’s (putative) right to life and the mother’s right to determine what happens to her own body is in part resolved by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what the right to life involves, namely the right not to be killed unjustly. The strategy is fine; what many people disagree with is Thomson’s resolution of the conflict.

 

 

 

To this possible objection at least some deontologists respond by denying the necessity for the dependence. These are the deontologists who still subscribe to the strong codifiability thesis that I mentioned at the end of the last chapter. They suppose (a) that they have (or will be able to formulate in time) a complete and consistent set of rules in which second-order ranking rules or principles settle any conflicts among first-order rules, which have been formed with much more precision than the ‘mother’s-knee’ versions, and which may also be supposed to have had many necessary exception clauses built into them. Such a system would determine what was required in every situation and (b) would not rely on intuition or insight to resolve conflicts. It would, in Onora O’Neil’s nice description, ‘be an algorithm not just for some situations but for life’.[1][2] So it seems that, at least in theory, deontology can solve the conflict problem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without dependence on the dubious notion of ‘intuition’, or ‘exercise of judgment’.

 

                이렇게 제기될 있는 반론에 관해, 적어도 일부의 의무론자들은 그런 의존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대응을 보인다. 이들이 지난 장의 끝에 언급한 강력한 강령화 가능성의 문제에 계속적으로 찬성하는 의무론자들이다. 그들은 (a) 자신들에게 완전하고 일관된 일련의 규칙들이 있으며 (혹은 시기적절하게 그것들을 만들어 있을 것이며), 그것의 번째 규칙 또는 원칙들은 번째 규칙들이 낳은 상충의 문제를 해결하고, ‘ 어릴 배운 규칙들 보다 훨씬 정교하게 짜여지고, 또한 많은 필수 예외 조항들을 안에 내정하고 있다고 가정될 것이다.  그렇게 짜여진 규칙 체계는 모든 상황에서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결정해줄 것이며, (b) 규칙들의 상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관이나 통찰 따위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오노라 오닐의 적절한 설명에 따르면, 그것은비단 일부 상황이 아닌, 인생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쯤이 것이다. 그렇다면, 최소한 이론 상으로는 의무론은 윤리학이 없는 방식으로, ‘직관또는판단의 실천따위의 미심쩍은 개념들에 의존하지 않고서 상충 문제를 해결할 있다.

 

            Such deonologists presumably have a certain picture of what would count as an adequate normative ethics. According to this picture, and adequate normative ethics, one that is adequately action guiding, must be one that yields a decision procedure which can be used to resolve conflicts or settle moral quandaries without recourse to moral wisdom. Such a picture implicitly appeals to a certain test of adequacy of normative ethic which, at least on the face of it, act utilitarianism passes with flying colours, or it does indeed yield such a decision procedure. But, for several reasons, not all deontologists accept the production of an ‘algorithm for life’ independent of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suitable test of adequacy. Those who regard Kant’s ethics as ‘adequate’ may well reject it, for, as O’Neil notes, Kant himself insists that we can have no algorithm for judgment, since every application of a rule would itself need supplementing with further rules.[2][3]

 

                추정컨대, 그런 의무론자들은 무엇을 합당한 규범 윤리학으로 간주할 것인가에 관한 확실한 그림을 그려 놓고 있는 같다. 그에 따르자면, 적합한 규범 유리학에 따르자면, 적절한 행위 지도를 주는 윤리 이론은 도덕적 지혜에 의존하지 않고서 상충성의 문제나 도덕적 궁지의 문제를 해결할 적용할 있는 의사결정의 절차를 만들어낼 있어야만 한다. 그런 식의 구상은 규범 윤리학의 적합성에 관해 어떤 [자격] 시험과 같은 것을 말하려 하는 같고, 일견, 행위 공리주의는 대단한 성적으로 관문을 통과한 같다. 또는 그런 의사결정의 과정을 실제로 만들어 내고 있는 같다. 그런데, 가지 이유에서, 모든 의무론자들이 적합성의 시험으로서 판단의 실천과 독립된인생의 알고리즘 동의하고 있지는 않다.  칸트의 윤리학을합당한이론으로 간주하는 이들은 당연하게도 주장에 거부를 표할 것이다.  오닐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모든 규칙의 적용은 자체로 추후의 규칙에 의해 보완의 필요를 띠기 때문에 우리는 판단을 위한 어떠한 알고리즘도 가질 없다고 주장한 사람이 바로 칸트이기 때문이다.



[1][2] ‘Abstraction, Idealization and Ideology in Ethics’.

[2][3] Ibi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에도 후기가 짧다. 전에는 번역문 거의 모든 부분에 후기를 남겼는데, 서문 지나 1 장 지나고 계속 가면서 내가 이해한 바가 맞다는 보장은 없지만 적어도 텍스트의 흐름은 탄 것 같아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앞으로도 후기는 계속 이렇게 짧게 기록해 가되, 모르는 건 너무 혼자 머리 뜯지 말고 차라리 그 시간에 어디건 질문 헌팅을 다니는 게 어떨까 싶다. 영어의 경우, 꼬부랑 말 하는 사람 천지니 뭘 고민이냐 할지 모르지만, 그게 또 아니다. 번역하면서 헛갈리거나 까다롭다고 느끼게 되는 많은 부분은, 물론 우선은 영문 파악이 잘 안 되어서 문제겠지만, 우리말이 깊지 못해서 그리고 텍스트가 기본으로 전제하는 개념에 대한 내 개념이 없어서;; 생기니까. 아마 막상 멍석이 깔리면 답답함만 확인하게 될지 모른다. 위 사진은 그래서...(라고 하고 lost in translation 사진도 찾았는데 나중에 prima facie 로 이미지 검색하다 재밌는 카툰을 봐서 그걸로 올렸다. 겉으로, 말만 그랬다고 대처를 놀려 먹는 그림 같다)

 

 

And, given the availability of the v-rules (particularly the vice rules), the specification (1) still provides action guidance.

 

물론 Still 여전히지만, 여전히 라고 옮기는 것하고 이전과 다름없이라고 하는 것하고 어감이 많이 다른 것 같다. 사전을 찾아 보고서야 이게 낫겠다 하지 말고 자동적으로 떠오르면 좋을텐데, 전문가들은^^ 아마 그런 게 되겠지.  

 

Perhaps it would be more irresponsible to abandon A than to abandon B. Perhaps, when she finds out about it all, B, unlike A,(2) loses any desire to marry the swine; then it would be plain folly, and arrogant into the bargain, to try to force her into marriage rather than the still compliant and loving A. Then marrying A would be the morally right decision.

 

(2) 는 기계적으로 옮기면 결혼하겠다는 어떠한 욕망도 잃었다 이겠는데 보다시피 어색했다. any all 의 의미로 의역하느냐, 아니면 lose nothing left 로 의역하느냐 생각하다가 후자로 했다.

 

Given the sorts of cases considered so far, a resolvable dilemma which arises in circumstances in which (3) a virtuous agent might well find herself will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and what is done, such as ‘x, after much painful thought, feeling deep regret, and doing such-and-such by way of restitution’ will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4) Resolvable dilemmas which no virtuous agent would ever be faced with will also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but what is done will not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This will be explored further in the next chapter in relation to rather different sorts of cases.)

 

(3) 은 좀 헛갈렸다. 저기서 그가 뭘 깨닫는게 당연하다는 거냐? 가 정확히 잡히지 않아서. 분명히 저 말은 그 앞의 situation in which 에 걸릴 테고, 그렇다면 그가 깨닫는 건 자기가 어떤 상황에 처해졌다는 사실일텐데, 어쩐지 그렇게 하면 어정쩡한 것 같았다. 직관적으로 이게 맞지 않을까 했던 것은 그 상황에서 생기는 딜레마를 안다 (또는 따라서 그 상황에서 자신이 무얼 어떡해야 할지를 안다)” 였는데, 그쪽으로 밀어 부치기에는 말을 두 다리 건너야 하므로 문법에 어긋나는 것 같았다. 이런 경우, 차후에 변명을 남기기 위해서라도 (내 수준에서의) 문법 대로 해 두었다.

 

(4) 의 경우는 내용이 이해가 살짝 안 가서 기록을 남긴다. , 왜 그 어느 유덕한 행위자도 직면해 본 적이 없는 해결할 수 있는 딜레마의 경우, 그들이 그 상황에 빠지게 됐을 때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에 따라 해결을 볼 수 있으나 그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평가 받지 못하게 될까? 스스로를 그런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미리 잘 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 그러나 한 번도 그 상황에 처해져 본 적 없다는 것 말고는, 해결이 가능한 딜레마라는 점에서는 위의 경우와 같지 않은가. 이 부분을 잘못 읽으면, 마치 딜레마는 경험한 딜레마인 경우에만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을 할 수 있다 식으로 확대되는 게 아니냐는 생각에 헛갈렸다. 뒤에 가서 더 자세히 다루어 준다니 다행인데, 나는 이미 지금부터 네 챕터나 더 읽었는데 아무리 그때의 독서가 지금과 같은 것이 아니었다지만 어찌 이리 투명한지? 싶어서 스스로 참..싶다.

 

withh respect to resolvable dilemmas, the deontologists’ strategy is to argue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rules which has generated (5)the dilemma is merely apparent or prima facie.  

 

(5) ‘일별하기에는’ ‘언뜻 보기에는혹시 다른 숨은 뜻이 있는지를 검색하다가 사진 블로거들이 이 말을 애용한다는 걸 알았다.

 

According to her, too, many of the putative quandaries are merely apparent, resulting not from a conflict of deontological rules but from(6) too clumsy an application of the virtue or vice terms. Does kindness require not telling hurtful truths? Sometimes, (6-1)but in this case, what has to be understood is that one does people no kindness by concealing this sort of truth from them, hurtful as it may be. (An example might be a teacher’s telling a dedicated, mature student that, contrary to his hopes and dreams, (7)he was not capable of postgraduate work in philosophy.)

 

(6) 혼동하는 바람에 애먹은 부분. It is a “too clumsy application”  으로 봤었으면 풀렸을 텐데, too…to…로 착각한 바람에 꼬였다. 또 저 문장이 덕이나 악덕의 개념을 써서 문제를 풀기에는 난처한의 의미로 읽어버린 바람에 감함식으로만 자꾸 읽혀서 헛갈렸다. 나중에 그 아래 문장들을 읽다가 저게 저 말이었구나..하게 되었다. , “제대로 가르쳐 준 덕의 개념들을 잘못, 부적절하게 적용해서 딜레마인 것처럼 된 것이 문제그런 말씀이신 듯했다.

 

(6-1) 빼먹을 뻔했는데 이 말도 옮기기가 조금 까다로웠다. But in this case 를 뭐라고 옮기나. 이 경우만 빼고 는 아닐 것이고, 이 경우에 특히 도 아니고, 그렇다면 however in this case 일텐데, 내 의문은 굳이 왜 이 말을 썼을까, 이걸 사족이라고 봐야 하는지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이런 어법도 익혀 놓아야 하는 것인지 나는 지금까지 본문의 문장을 빼지 않고 (틀리는 한이 있더라도) 옮기고 있다는 점에서는 직역 중인데 (이해를 돕기 위해 뭘 추가하거나 반대로 빼거나 그러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역이 아니고) 연습을 하나는 차원에서는 직역이 도움이 될 때가 많다. 조금 헛갈리거나 어려우면 제치게 되는 가능성 자체를 없애니까.

 

(7) not capable of 를 적나라하게 대학원 갈 실력이 못 된다, 능력이 모자란다 로 해야 하나(그래야 어떤 불가피한 외적 이유로 안 된다는 가능성을 지울 수 있겠다) 아니면 그냥 갈 수 없다는 으로 (이렇게 되면 내가 볼 때 더 부드럽고 자연스레 읽히지만 오해의 여지가 있겠다) 생각 하다가 전자로 했다.

 

Or, in a different case, the nature or importance of the truth in question puts the consideration of hurt feelings (8) out of court, and it is not unkind, or callous, to speak out.

 

(8) 자주 나오는데 좀체 안 외어지는 문구. 이번에는 되겠지.

 

Does charity require that I kill the person who would be better off dead but who wants to say alive, thereby conflicting with justice? (9)  Not if, in Foot’s words, ‘a man does not lack charity because he refrains from an act of injustice which would have been for some one’s good.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none of these judgments amounts the comparative importance of the virtues in question

 

(9) 무슨 말을 하는지 알겠는데 그게 우리 말로 잘 안 풀어지던 부분. 저기서 which would have been for some one’s good 을 나는 act 에 걸리는 것을 보았고, 그런데 그 act injustice 한 것이고, 그러므로 행위자가 판단 내리기를 그런 행동은 하지 않겠다고 판단하고 그에 따랐고, 그런데 그런 사람을 그 이유에서 자비가 없다고 판단한다면, 그런 주장은 잘못되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라고 읽었다. 이걸 말로 잘 풀기가 좀 어려웠다.

 

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none of these judgments amounts the comparative importance of the virtues in question; it is not being said that, for example, the virtue of honesty is more important than, or outranks, the virtue of kindness, nor that justice outranks charity. (I shall say more about this later)

 

위 문단은 번역 문제가 아니라 생각을 던져 주었다. 그게 가능한가? 만일 내가 어떤 딜레마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면, 그런 내가 덕들은 결코 우열의 상대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전제하고 그걸 지속해 갈 수 있겠는가, 그런 전제 없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나, 문제의 해결, 하면 자동으로 떠오르는 것이 우선순위를 중요도로 정렬해서 좍 뽑고, 그 다음에 하나씩 지워 나가고 등등..이 너무 익숙한데..싶어서. 흥미롭고 매우 기대되고 그러나 벌써부터 좀 회의가 들기도 하는, 그런 생각들. 이 또한 뒤에서 더 가르쳐 준다고 하니 우선 넘어가자 하기는 했지만.

 

이 부분을 읽어 가던 때 수첩에 고정희의 시가 한 편 옮겨져 있다. 다시 보는데, 막 번역을 마친 뒤라 그런지, 그 맥락에서 그 시가 이렇게 읽힌다.

 

 

“(전략) 번이고 천천히 음미하노라면 (중략) 막막궁산 같은 어둠 어디쯤서
뿌린 씨앗들이 꽃피게 될런지요. 기우는 달님이 앞까지 따라와 안심하라, 안심하라, 쓰다듬는
열쇠를 끄르며 나는 웃고 맙니다고정희, 아름다운 사람 하나, 1990, 54―55



[1] P.Foot, ‘Euthanasia’ (1977; repr.1978), 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nd, given the availability of the v-rules (particularly the vice rules), the specification still provides action guidance. Perhaps it would be more irresponsible to abandon A than to abandon B. Perhaps, when she finds out about it all, B, unlike A, loses any desire to marry the swine; then it would be plain folly, and arrogant into the bargain, to try to force her into marriage rather than the still compliant and loving A. Then marrying A would be the morally right decision.

 

                그래서, 규칙들 (특히 악덕 [금지] 규칙들) 사용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이런 방식의 상술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행위 지침을 제시한다. 어쩌면, A 저버리는 일은 B 단념하는 보다 무책임한 것일지 모른다. 어쩌면, 모든 사실을 알게 되었을 , A 와는 달리 B 에게는 그런 비열한 인간과 결혼하고 싶은 아무런 욕구도 남아 있지 않을지 모른다. 그렇게 되면, 여전히 고분고분하고 애정이 식지 않은 A 대신B 에게 결혼을 강요하려고 애쓰는 것은 전적으로 어리석은 짓일뿐더러 오만하기까지 행동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A 결혼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 것이다.

 

            So is the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only providing action guidance, yielding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rally right decision for me to make here?’, or is it also providing action assessment, yielding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rally right thing for me to do here?’ Well, given that ‘There isn’t one’s is an answer to the latter question, albeit not an answer we usually expect, I think we should say that it is doing both.’ Given the sorts of cases considered so far, a resolvable dilemma which arises in circumstances in which a virtuous agent might well find herself will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and what is done, such as ‘x, after much painful thought, feeling deep regret, and doing such-and-such by way of restitution’ will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Resolvable dilemmas which no virtuous agent would ever be faced with will also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but what is done will not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This will be explored further in the next chapter in relation to rather different sorts of cases.)

 

                그렇다면,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의 이런 견해는 무엇이 여기서 내가 내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인가?’ 질문에 답을 주는 행위 지침만을 주고 있는가, 아니면 무엇이 내가 자리에서 해야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인가?’ 답을 주는 행위 평가 역시 내려 주는가?  글쎄, 비록 그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대답은 아니겠지만, 후자의 질문을 위한 하나의 답은 없음을 전제한다면, 나는 우리가 윤리학이 모두를 하고 있다고 주장해야 한다고 본다. 지금까지 검토해 사례들을 놓고 본다면, 유덕한 행위자 스스로 깨닫게 것이 당연한 상황에서 빚어지는 딜레마는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에 따라 해결될 있을 것이며, 실제 이루어진 행동, 예를 들면 많은 고통스러운 생각 끝에, 깊은 유감을 느끼며, 그리고 보상의 방법으로 이런 저런 것들을 하면서, x’ 같은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로 평가될 것이다. 어떤 있는 행위자도 일찍이 직면해 적이 없는 해결 가능한 딜레마들 또한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에 의해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평가되지 않을 것이다. ( 점은 다음 장에서 그에 반대되는 사례와의 연관하에 한층 논의될 것이다.)

 

 

 

 

THE CONFLICT PROBLEM: RESOLVABLE DILEMMAS

상충 문제: 해결할 있는 딜레마

 

            Still leaving the question of irresolvable dilemmas to one side, let us return to the ‘conflict problem’. Can deontology solve it, in resolvable cases,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With respect to resolvable dilemmas, the deontologists’ strategy is to argue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rules which has generated the dilemma is merely apparent or prima facie.  But the proponent of virtue ethics may employ the same strategy. According to her, too, many of the putative quandaries are merely apparent, resulting not from a conflict of deontological rules but from too clumsy an application of the virtue or vice terms. Does kindness require not telling hurtful truths? Sometimes, but in this case, what has to be understood is that one does people no kindness by concealing this sort of truth from them, hurtful as it may be. (An example might be a teacher’s telling a dedicated, mature student that, contrary to his hopes and dreams, he was not capable of postgraduate work in philosophy.)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의 문제를 계속해서 한쪽으로 놓아 두고서 상충 문제 되돌아가 보자. 해결 가능한 딜레마의 사례들의 경우, 의무론은 윤리학이 없는 방식으로 그것들을 해결할 있는가? 해결 가능한 딜레마의 문제에 관해 의무론이 취하는 전략은 딜레마를 일으키는 규칙들 사이의 충돌 단순히 외견상 혹은 일별하기에 그렇게 보인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와 같은 전략은 윤리학의 지지자들에 의해서도 사용될 있을 것이다. 윤리학자에 따르더라도, 잠정적인 도덕적 곤경들의 많은 것들이 단지 그렇게 보일 뿐이며, 그것은 의무론의 규칙들이 상충해서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덕과 악덕의 개념들을 너무나도 조화롭지 못하게 적용함으로써 생긴다. 친절은 상처가 될만한 진실을 말하지 말라고 명령하는가?  때때로, 지금 경우가 어떻건,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는 이런 종류의 진실 (그것이 아무리 쓰라린 것이라고 해도) 숨기는 것으로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친절도 베풀 없다는 것이다. (교사[] 그러고자 전념하고 있고, 전보다 발전한 학생에게, 그의 희망 꿈과는 반대로 철학과 대학원 과정을 밟을 있는 자질이 없다는 사실을 말해야만 하는 상황이 예가 있을 것이다.)

 

            Or, in a different case, the nature or importance of the truth in question puts the consideration of hurt feelings out of court, and it is not unkind, or callous, to speak out. (No one thinks a doctor unkind or callous because she tells her patients the shattering truth that they have only six months to live, though obviously it could be done in an unkind or callous way.) Does charity require that I kill the person who would be better off dead but who wants to say alive, thereby conflicting with justice? Not if, in Foot’s words, ‘a man does not lack charity because he refrains from an act of injustice which would have been for some one’s good[1]. 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none of these judgments amounts the comparative importance of the virtues in question; it is not being said that, for example, the virtue of honesty is more important than, or outranks, the virtue of kindness, nor that justice outranks charity. (I shall say more about this later)  

                다른 어떤 경우에서는 문제가 되고 있는 진실의 본질이나 중요성이 그것이 입힐 있는 감정적인 상처를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으로 하고, 그래서 진실을 입밖에 내는 것이 불친절하거나 냉정한 것이 아니게 된다. (비록 말이 불친절하고 냉정하게 전달될 있는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고 하더라도, 의사가 환자에게 앞으로 개월만 있다는 사실을 말했다는 이유로 그들을 불친절하거나 잔인하게 여기는 사람은 없다.) 자비심은 차라리 죽는 것이 나은 사람, 그러나 살기를 원하는 사람을 죽이라고 명령하고, 때문에 정의와 상충하는가? 풋의 설명으로는, 만일 누군가가 타인의 선을 위해서 행해져 왔던 부정한 행위를 자제했기 때문에 자비심이 없다고 한다면, 그렇지 않다.  여기서 이러한 판단들 어느 것도 해당 덕들이 갖는 상대적 중요성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예컨대, 정직함의 덕은 친절의 보다 중요하거나 높거나, 정의는 자비심 보다 높은 덕이라고 주장될 없다 (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말하도록 하겠다.)



[1] P.Foot, ‘Euthanasia’ (1977; repr.1978), 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