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 course, I am not claiming that this is now universally recognized, only that it is much more common than it used to be, particularly in books of applied ethics as opposed to books about what normative ethics is or should be. So should we say that those who have given up the original idea ‘reject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as, it is said, virtue ethicists do? Clearly, they share with virtue ethicists the view that ethics is not as codifiable as used to be commonly supposed, but there is still, I think, a lingering view that it is, or ought to be, more codifiable than virtue ethics makes it out to be.

 

물론, 나는 이것이 이제는 보편적인 인식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다만 그것이 과거에 흔히 그랬던 것에 비해 훨씬 일반적이며, 규범 윤리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다룬 책에 반대하는 응용 윤리학 서적에서 특히 그렇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러한 원래의 견해를 포기해 사람들이 윤리학자들이 하고 있는 식대로 윤리학 이론이 체계적으로 성문화 있다는 생각을 받아 들이지 않는다 주장 해야 하는가? 그들은 분명히 윤리학자들과 다음의 견해, 윤리학은 과거에 흔히 그럴 것이라고 가정되었던 것만큼 체계화가 가능하지 않다는 견해, 공유한다. 그러나, 생각으로는, 여전히, 윤리학은 윤리학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보다 많이 체계화될 있거나 그래야만 한다는 견해가 잔존하고 있는 같다.  

 

 Sometimes this amounts to no more than the mistake I noted earlier, namely the view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any rules or principles, combined, I suspect, with a gut unwillingness to join the virtue ethics camp. Beauchamp and Childress, whose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from being initially dismissive, has become increasingly friendly to virtue ethics in its successive editions, are still to be found insisting that virtue ethics needs to be supplemented by a list of principles, which they give. They do not say, but they might well, that it doesn’t codify enough. But the list looks like this: 

 

때때로 덕 윤리학이 어떤 규칙이나 원칙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견해는 내가 이미 언급한 잘못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내가 의심하고 있기로는 거기에는 덕 윤리학 진영에 동참하는 것이 내키지 않는다는, 어떤 직감적인 마지못함이 결부되어 있다. 뷰챔프(Beaucamp) 와 차일드리스(Childress) 의료 윤리학의 원리들 의 경우, 초기에는 무시하는 듯한 태도였으나 책이 판을 거듭할수록 점차 덕 윤리학에 우호적인 태도로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저자들은 여전히 덕 윤리학이 자신들이 제시하는 일련의 원칙들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고집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덕 윤리학이 충분히 체계적으로 성문화 되어 있지 않음을 직접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다고 당연시 해 버린다. 그러나, 그 목록은 이와 같다.     

 

 

 

 

Principles                                             Corresponding Virtues

            Respect for autonomy                        Respectfulness

            Nonmaleficence                                 Nonmalevolence

            Beneficence                                         Benevolence

            Justice                                                             Justice or fairness

Rules   

            Veracity                                              Truthfulness

            Etc.[1]

 

원칙들                                                                   상응하는 덕들

 

                자율성 존중의 원칙                                                     존중

                악행금지의 원칙                                                          악의 없음

                선행의 원칙                                                                   박애(어진 마음)

                정의의 원칙                                                                   정의로움 또는 공명정대함

 

규칙들

                정직                                                                                       진실됨

                기타 등등

 

            Now if this is all that is at issue, let us by all means sa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reject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t does not need to be supplemented by such principles; it embodies them already—and many many more besides. (It is a noteworthy feature of our virtue and vice vocabulary that, although our list of generally recognized virtue terms is, I think, quite short, our list of vice terms is remarkably—and usefully—long, far exceeding anything that anyone who thinks in terms of standard deontological rules has ever come up with. Much invaluable action guidance comes from avoiding courses of action that are irresponsible, feckless, lazy, inconsiderate, uncooperative, harsh, intolerant, indiscreet, incautious, unenterprising, pusillanimous, feeble, hypocritical, self-indulgent, materialistic, grasping, short-sighted, … and on and on.)[2]

 

, 만일 것이 문제가 되는 전부라면, 윤리학은 윤리가 체계적으로 성문화될 있다는 생각을 결코 거부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하도록 하자. 윤리학은 그런 원칙들로 보충되어야 필요가 없다. 이미 그것은 그러한 원칙들을 구체화 시켜 놓고 있다. 그리고 밖에도 아주 많은 원칙들이 있다 (주로 덕의 용어로 인정되는 윤리학의 목록이, 내가 생각할 , 짧기는 하나, 악덕을 설명하는 용어들은 놀라우리만치그러나 충분히 유익하게길고, 의무론의 표준 규칙으로 구성된 지금까지의 어떤 목록도 훌쩍 넘어설 만큼 길다. 점은 윤리학의 주목할만한 특징이다. 많은 귀중한  행위 지침이 무책임하고, 경솔하고, 나태하고, 남에 대한 배려가 없고, 비협조적이고, 가혹하고, 편협하고, 경솔하고, 무모하고, 진취적이지 못하고, 나약하고, 의지박약하고, 위선적이고, 제멋대로고, 물질 만능주의적이고, 욕심이 지나치고, 근시안적이고……그밖에 기타 등등인 행동을 하지 않으려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What else might still be at issue? A prevailing criticism of virtue ethics, related to the idea that it gives up on codifiability too soon, that it does not codify enough, is that it fails to provide action guidance when we come to hard cases or dilemmas. So it is to a consideration of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hard cases—a surprisingly large topic—that we now turn.

                 그밖에 다른 어떤 것에 문제가 소지가 있을까? 윤리학이 체계화의 가능성을 너무나도 일찍 포기해 버렸다는 견해, 다시 말해 충분히 성문화 되어 있지 않다는 견해에 주어지는 지배적인 비판은, 윤리학이 우리가 난제 또는 딜레마에 부딪혔을 경우 행위 지침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제 난제-- 놀라울 정도로 주제-- 와의 연관 하에 윤리학을 검토할 차례가 되었다.



[1] T.L. Beauchamp and J. F. Childress, (ed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4th edn. (1994), 67

 

[2] Some virtue ethicists might want to insist on a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rtues and the vices; not only that to each virtue there corresponds at least one particular vice but also that every vice is opposed to some particular virtue. Of course one can, formally, insist that to laziness there corresponds the virtue of being the opposite of lazy, which happens to lack a word in English (industriousness’ doesn’t really work); more plausibly one could claim that describing someone as ‘responsible’ in a character reference describes them as having a particular virtue for which we have the adjective but not the noun. But I do not myself believe that things are that tidy.

일부 윤리학자들은 덕과 악덕 사이의 강한 상응성을 주장하고 싶어할 모른다. 각각의 덕에는 적어도 가지씩의 악덕이 상응할 아니라 모든 악덕은 어느 특정 덕에 대립된다. 물론 어떤 이는, 공식적으로, 게으름에는 게으른 상태의 반대에 해당하는 , 영어에서는 말이 빠져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근면성 실제 경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응한다고 주장할 있다; 조금 타당성 있는 다음의 주장이 가능하다. 어떤 사람의 성품을 언급할 누군가를 책임감이 있다 묘사하는 것은 사람에게 형용사는 있으나 명사는 없는 어떤 덕이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도 그런 주장들이 그리 [논리] 정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