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MORAL RULES 

도덕 규칙들

 

A common objection goes as follows.

일반적인 반대 논거는 다음과 같다.

 

Deontology gives a set of clear prescriptions which are readily applicable. But virtue ethics yields only the prescription, ‘Do what the virtuous agent—the one who is just, honest, charitable etc.—would do in these circumstances.’ And this gives me no guidance unless I am (and know I am) a virtuous agent myself—in which case I am hardly in need of it. If I am less than fully virtuous, I shall have no idea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and hence cannot apply the only prescription virtue ethics has given me. True, act utilitarianism also yield only a single prescription (‘Do what maximizes happiness’), but there are no parallel difficulties in applying that; it too is readily applicable. So there is the way in which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fails to be action guiding where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succeed.  

           

의무론은 즉시 적용이 가능한 일련의 명령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윤리학은 기껏해야 덕이 있는 행위자 정의롭고, 정직하고, 자비로운, 기타 등등인 사람- 이러한 상황에 놓였을 하는 행위를 하라 규칙을 뿐이다. 그리고, 이것은 자신이 덕이 있는 사람이지 않는 (그리고 내가 그렇다는 것을 알고 있지 않는 ) –그런 경우 나에게는 행위지침이란 것이 거의 필요 없다-나에게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다. 만일 내가 완전한 덕을 지닌 사람에 미치지 못한다면, 나는 덕이 있는 사람이 무엇을 알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윤리학이 유일한 처방을 적용시킬 없다. 맞는 말이다. 행위 공리주의 또한 단일 명령을 놓는다.  (‘행복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하라’), 그러나  그것의 적용에는 이와 유사한 아무런 난점도 없다. 그것은 너무나도 용이하게 적용될 . 그와 같이,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통해서는 가능하나,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적 해석으로는 행위 지침의 제시가 달성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In response, it is worth pointing out that, if I know that I am far from perfect, and am quite unclear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in the circumstances in which I find myself, the obvious thing to do is to go and ask one, should this be possible. This is far from being a trivial point, for it gives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of an important aspect of our moral life, namely the fact that we do not always act as ‘autonomous’, utterly self-determining agents, but quite often seek moral guidance from people we think are morally better than ourselves. When I am looking for an excuse to do something I have a horrid suspicion is wrong. I ask my moral inferiors (or peers if I am bad enough), ‘Wouldn’t you do such-and-such’ if you were in my shoes?’ But when I am anxious to do what is right, and do not see my way clear, I go to people I respect and admire: people who I think are kinder, more honest, more just, wiser, than I am myself, and ask them what they would do in my circumstances.  How, or indeed whether,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can explain this fact, I do now know, but, as I said, the explanation within the terms of virtue ethics is straightforward. If you want to do what is right, and doing what is right is doing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in the circumsances,then you should find out what she would do if you do not already know.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다음을 지적해 보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겠다. 만일 내가 완벽과는 거리가 사람이고, 덕이 있는 사람이 내가 처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지가 분명하지 않다면, 그때 내가 해야 분명한 일은, 만일 그것이 가능하다면, 가서 누군가에게 묻는 것이다. 지금 이것은 전혀 사소한 지적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실, 다시 말해, 우리는 항상자율적으로,’ 완전하게 자기-결정적인 행위자로서 행동하지 않으며, 매우 자주 우리 자신 보다 도덕적으로 뛰어난 사람들에게서 도덕적인 조언을 받고자 한다는 사실이 우리의 도덕적 삶이 갖는 중요한 단면을 명쾌하게 설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내가 만일 잘못된 일이라는 꺼림직한 의구심이 드는 행동을 하기 전에 그럴듯한 핑계를 찾고 있다면, 나는 도덕적으로 나보다 못한 (또는, 만약 내가 충분히 나쁜 사람이라면 나와 비슷한 무리들) 사람을 찾아가 만일 네가 처지에 있다면 이렇게, 아니면 저렇게 하지 않겠니?’ 라고 물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가 옳은 일을 하고자 한다면, 그러나 길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는다면, 나는 존경하고 경탄하게 되는 사람, 자신 보다 친절하며, 더욱 정직하고, 정의롭고, 더욱 현명한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에게 가서, 만일 그가 나의 경우라면 어떻게 하겠는지를 물을 것이다.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이런 사실을 어떻게 설명하려는지, 아니면 실제로 그럴 있을 것인지에 나로서는 없으나, 내가 이미 말한 대로, 윤리학의 용어로는 분명하게 설명된다.  만약 당신이 옳은 일을 하고 싶다면, 그리고 옳은 일을 한다는 것은 있는 행위자가 상황에서 하는 일을 하는 것이라면, 그렇다면 당신은 반드시, 만약 이미 알고 있는 바가 아닐 경우, 사람이 무엇을 것인지를 알고 있어야만 한다.      

 

 

 

 

Moreover, seeking advice from virtuous people is not the only thing an imperfect agent trying to apply the ‘single prescription’ of virtue ethics can do. For it is simply false that, in general, ‘if I am less than fully virtuous, then I shall have no idea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as the objection claims. Recall that we are assuming that the virtues have been enumerated as, say, honesty, charity, fidelity, etc. So, ex hypothesi, a virtuous agent is one who is honest, charitable, true to her word, etc. So what she characteristically does is what is honest, charitable, true to her word, etc. and not what would be dishonest, uncharitable, untrue to her word. So, given such an enumeration of the virtues, I may well have a perfectly good idea of what the virtuous person would do in my circumstances, despite my own imperfection. Would she lie in her teeth to acquire an unmerited advantage? No, for that would be both dishonest and unjust. Would she help the wounded stranger by the roadside even though he had no right to her help, or pass by on the other side? The former, for that is charitable and the latter callous. Might she keep a death-bed promise even though living people would benefit from its being broken? Yes, for she is true to her word. And so on[1].

 

더욱이, 덕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조언을 구하는 일은 불완전한 행위자가 윤리학의 단일 처방 적용하려고 노력할 있는 유일한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체로, 반대자들이 주장하는 , 만약 내가 완전한 덕을 지닌 사람에 미치는 부족한 사람이라면, 나는 있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알지 못한다 말은 전혀 맞지 않는 주장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덕들, 다시 말해, 정직, 자선, 충실함 등등의 덕이 열거되었다고 가정하고 있는 중임을 잊지 말자. 그래서, 가설상, 덕이 있는 행위자는 정직하고 자비로우며 자기가 말에 일관되게 행동하는 행위자이다. 그래서 그가 그의 그런 특징 대로 하는 일은 정직하고 자비롭고 일관된 것이요, 부정직하고 자비롭지 못하며 일관성 없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렇게 열거된 덕이 있다는 전제 하에, 나는 당연하게도, 자신의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덕이 있는 행위자가 처지라면 무엇을 것인가에 관해 완벽하게 좋은 생각을 떠올릴 있다. 사람은 부당한 이득을 취하기 위해 새빨간 거짓말을 할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부정직한데다 정의롭지 못한 일이니까. 사람의 도움을 받을 아무런 권리도 없는 어떤 사람이 상처를 입고 길가에 누워 있을 , 사람을 그를 도울까, 아니면 그대로 지나칠까? 전자다. 왜냐하면 전자는 자비롭고 후자는 잔인한 짓이니까. 사람은 그것을 깸으로써 사람들이 득을 있는데도 임종의 약속을 지킬 있을까? 그렇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신의 말에 일관되게 행동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기타 등등

 

            This second response to the objection that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fails to be action guiding amounts to a denial of the oft-repeated claim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any rules’ (which is another version of the thought that it is concerned with Being rather than Doing), and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rules. We can now see that it comes with a large number of rules. Not only does each virtue generate a prescription—do what is honest, charitable, generous—but each vice a prohibition—do no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mean[2].

 

                번째 대응,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의 해석은 행위 지침을 주지 못한다는 반론에 대한 이러한 대응은 거듭되는 다음의 주장, ‘ 윤리학은 어떠한 규칙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 윤리학은 보다는 존재 관한 이론이라는 사고의 다른 형태), 그러므로 규칙들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대한 부정으로 있다. 우리는 이제 윤리학이 많은 규칙들을 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있다. 각각의 덕에서 하나의 규칙이 생겨날 아니라, -정직하고 자비롭고 너그러운 행동을 하라 악덕으로부터도 금지가 생성된다.  부정직하고 자비롭지 못하고, 야비한 행동을 하지 말라--   



[1] Cf. Anscombe: ‘It would be a great improvement if, instead of “morally wrong” one always named a genus such as “untruthful”, “unchaste” “unjust”…the answer  would sometimes be clear at once.’ ‘Modern Moral Philosophy’ (1958, repr.1981), 33참조. 앤스콤: 만일, “도덕적으로 틀린사람이 언제나 거짓말을 하는” “행실이 나쁜” “정의롭지 않은 유개념으로 이름붙여 진다면, 그것은 대단한 진일보일 것이다.

[2] Making this point in earlier articles, I expressed the generated rules adverbially –act honestly, charitably, generously; do not act dishonestly, etc. But the adverbs connote not only doing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but also doing it ‘in the way’ she would do it, which includes ‘for the same sort(s) of reasons(s)’, and it has seemed to me better here to separate out the issue of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 later chapter. 이전 논문에서 점을 지적하면서,  나는 생성된 규칙을 부사적으로 표현했다-정직하게, 자비롭게, 너그럽게 행동하라; 부정직하게 행동하지 말라 등등. 그런데, 부사들은 있는 사람이 무엇을 하는가(doing it)   아니라, 그가 행위를 어떤 으로 하는가 (in the way), 그와 같은 이유() 에서라는 의미를 담은 것도 또한 표기한다. 생각으로는 있는 행위자의 행위의 근거에 관한 주제는 다음의 장에서 다루기로 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나은 같다.

 

 

 

 

Once this point about virtue ethics is grasped (and it is remarkable how often it is overlooked), can there remain any reasonable for thinking that virtue ethics cannot tell us what we should do? Yes, there is one. The reason given is, roughly, that rules such as

‘Do what is honest, do not do what is uncharitable’, are, like the rule ‘Do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still the wrong sort of rule, still somehow doomed to fail to provide the action guidance supplied by the rules (or rule) of deontology and act utilitarianism.

 

            윤리학에 관련한 이런 점이 일단 이해되고 났는데도, ( 점이 얼마나 자주 간과되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윤리학이 우리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지 않는다는 견해에 어떤 타당한 근거가 남아 있을 있을까? 그렇다. 하나가 있다. 그것은 거칠게 말해 다음과 같은 주장이다. ‘정직한 행동을 하라, 자비롭지 않는 행동을 하지 말라 같은 규칙들은 있는 행위자가 하는 것을 행하라 같이, 여전히 잘못된 종류의 규칙이며, 여전히 일정 정도 의무론과 행위 공리주의의 규칙들 (혹은 규칙) 것과 같은 행위 규범의 제시에 실패할 운명에 처해 있다.

 

But how so? It is true that these rules of virtue ethics (henceforth ‘v-rules’) are couched in terms, or concepts, that are certainly ‘evaluative’ in some sense, or senses, of that difficult word. Is it this which dooms them to failure? Surely not, unless many form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fail for this reason too.

 

그러나 그런가? 이들 윤리학의 규칙들(이제부터는 -규칙들’ ‘v-rules’) 어떤 점에서 또는 어떤 점들에서 어느 정도 어려운 , ‘평가적용어나 개념들로 표현되는 것은 사실이다. 점이 규칙들을 실패의 운명이게 하는가? 여러 형태의 공리주의 이론들이 역시 이것을 이유로 실패하지 않는 , 분명코 그렇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용이 조금씩 어려워진다. 그런데 그 보다 받아 들이기 어려운 점은 내가 이 부분들을 마치 처음 읽는 것 같은 생경함에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번역을 하다 말고 섬찟해지기도 한다. 기도 차고;;;

 

 

So here (1) we have an interesting contrast between act utilitarianism on the one hand,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The latter look as though they are bound to land us with a huge problem about how we can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for whatever either says, we can ask ‘But how do we know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2)If they each just produce their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If they produce one of their abstract tests we can worry about the fact that, with sufficient ingenuity, or different further premises, these can be got to yield different results.

 

(1)    은 은근히 결단력을 요구하는 문장이었다. 얼핏, -와 같이 대조를 해 볼 수 있다로 보였지만, 그 뜻은 아닌 듯하고, 위와 같은 흐름을 따라 그 세 이론이 그런 식으로 대조된다는 것을 본다. 그게 우리 눈 앞에 놓여 있어서 그걸 우리가 가지게 되었다. 그 의미로 봤다. 마지막을 그래서 본문처럼 골랐다. 우리는 observe 하는 주체고 그 차이는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런 식으로. Contrast 도 대조라고 했다가 나중에 차이로 고쳤다.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데...

 

 

(2)    이전에 abstract test(s) 를 개념상의, 이론적인이라고 했는데, 이 문장의 대구를 보니 하나하나 덕과 규칙을 열거한 (실질적인 또는 구체적인) 목록 vs. 추상적인 개념상의 실험 이것이 더 뜻이 맞는 번역인 것 같다. 그러나 내용 자체는 밑줄 친 부분과 그 아래 문장이 잘 연결이 되어 이해되지 못해서 마음에 걸린다. with sufficient ingenuity- premises 부분은 막 보고서는 양보구로 그러다 곧 바꾸었다. 어떤 것이 개념적으로 더욱 보충된 (고차원의) 어떤 것을 놓고 본다면, 앞서 실제의 예들을 놓고 볼 때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그 말을 상대주의에 빠질 위험으로 끌고가는 문장 그렇게 봤다. 그래서 with 를 양보구가 아니라 갖춘 이라는 의미를 설명하는 구절로 옮겼다.

 

Act utilitarianism is not, or not immediately, open to the same threat. True, it may be hard, on occasion,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an action,(3) but this is a practical problem in life which all three accounts have to take on board. Though it is sometimes said that deontologists ‘take no account of consequences’, this is manifestly false, for many actions we deliberate about only fall under rules or principles when we bring in their predicted consequences.

 

(3) take on board 는 처음 읽은 대로 했었다면 오역이었을 것이다. 나는 저 문장을 세 이론이 이론으로서 감수해야 하는 삶;;; 이렇게 봤다. 몇 번 다시 읽다가 특히 아래에 general problem in life 란 말이 나오면서 그게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사로 해야 할 것 같았다. 사전을 찾고 비슷한 문장들을 보다가 그 부분이 solve take an account of have an idea of  라야 더 맞다는 걸 알았다.

 

(4) I think that one might well press something along these lines as a problem for utilitarianism, and this is a point to which I shall return below. (5) But it is hardly plausible to say it shows that act utilitarianism is immediately open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and skepticism. Suppose people’s ideas of happiness do vary; why should that matter, for practical purposes? This person will be happy if I give her a book on the religious contemplation and upset if I give her a sexy novel, someone else will delight in the novel but be bored to tears by the other. If I can afford both books, act utilitarianism makes it perfectly clear what I should do, without having to define happiness or worry about the fact that these two people doubtless have very different ideas of it. (6)As Jonathan Glover robustly remarks, ‘most of us, whether utilitarians or not, take some account of the likely effects of our actions on people’s happiness, and we should all be in a mess if there was no correspondence between trying to make someone happier and succeeding.

 

(3)    는 이번 번역에서 제일 애를 먹은 문장이었다. 말로는 풀리지만 문장으로 떨어지지 않는 전형적인 문장. 여기서 다시 한 번 생각하지만, 번역은 우리말을 잘 알고, 잘 쓰는 사람이 할 일인 것 같다. 스스로 우리 말을 다루는데 즐거움을 느끼고 또 어느 정도 정확히 알고 있다고 생각이 될 때, 마찬가지로 유려한 번역 이전에 외국어 용어나 문장 구조를 나름대로 파악할 줄 안다고 생각될 때, 그 뒤에 해 보는 일이 번역일 때 더 좋을 것 같다. 조금 더 써 본다면..나는 번역을 위한 번역이고 독서를 위한 독서고, 그렇게 나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내 눈에는 각각은 각기 집중해야 할 길이 다르고, 각기 더 높은 효과를 볼 방도도 다르다고 생각한다. 간단히 말하면, 나는 독서는 토론과 질의응답을 통해 가장 도움을 받을 거라고 생각하고, 번역은 우리말 쓰기 단련, 외국어 실력 단련 배경지식의 깊이 등으로 좋아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둘 다, 두 가지 모두 왜 그 책인가, 왜 그 부분인가라는 동기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리라고 생각한다. 뭔가 잘못되어서, (4) 인데 (3) 으로 찍혔다. 아무튼 저 문장은 우선은 may well –해도 당연하다 하겠다의 의미고, press something as 는 찾기가 애먹었고 잘 못 찾아서, -라고 정형화하다 formatting 하다 그 뜻인 듯 한데 가물가물 우리 말로 잘 잡히지 않았다. Along the line 그 연장선상에서정도로 다가 왔지만 정확하지 못했다. 여러 번 말이 꼬였다.

 

(4)    반복인지 모르겠으나, 저자를 따라 가다 보니 그가 숙어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고, 좀 비공식적인 톤의 글 스타일이 있고, 말을 길게 풀고 그런 편이라는 점을 알겠다.

 

 

(5)    이 문장의 경우 내가 이해를 잘 못해서 그런지 남을 위해 노력하는 것‘succeeding’ 에서의 그 succeeding 이 말 그대로 성공이라 해얄지, 그 결과라로 해얄지가 단박에 느껴지지 않았다. 직감적으로는 그런 노력의 결과로 봐야 할 것 같았었지만.

 

So let us say, for the moment, that act utilitarianism is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the spectre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but that virtue ethics, in company with deontology, is. And, (7)having said it and acknowledged the problem, let us put it on one side for later chapters. For the moment I shall assume that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give an open-ended, and familiar, list in their second premises. Deontology, we may suppose, lists such familiar rules as ‘Do not kill’, ‘Tell the truth’, ‘Keep promis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promote their well-being’, etc.; virtue ethics lists such familiar character traits as justice, honesty, charity, courage, practical wisdom, generosity, loyalty, etc. And, having assumed that, we can return to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ethics, even given such a list, somehow fails to provide guidance in the way that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7) 밑줄 친 두 부분 모두 양보라던가 원인 동명사구를 상정하지 않고, 그러므로 그리고 정도로 받았다.

 



[1] J. Glover, Causing Death and Saving Lives, 3.

[2] Indeed, given the size of the problem one might say ‘for a later book’. But I do return to it in Chapters 8-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 here we have an interesting contrast between act utilitarianism on the one hand,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The latter look as though they are bound to land us with a huge problem about how we can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for whatever either says, we can ask ‘But how do we know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If they each just produce their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If they produce one of their abstract tests we can worry about the fact that, with sufficient ingenuity, or different further premises, these can be got to yield different results. So both lay themselves open to the threat of moral cultural relativism or, even worse, moral skepticism. Maybe we can do no more than list the rules, or character traits, accepted by our own culture or society and just have to accept that all we can know is what is right according to us, which might be wrong according to some other culture. Or, even worse, when we remember how much moral disagreement there is between ‘us’, maybe we cannot even do that. Maybe we have to accept that there isn’t anything that counts as knowing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all there is, is feeling convinced that it is because it is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rule one personally wants to adhere to, or because it is what would be done by the sort of person one personally wants to be.

 

그런 식으로, 여기서 행위 공리주의를 편에 의무론과 윤리학을 다른 편에 놓는 흥미로운 차이가 나타난다. 후자의 견해는 우리에게 어떤 행동이 옳은지를 어떻게 있느냐는 크나큰 문제를 지우려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어느 하나가 무엇을 주장하건 간에, ‘그러나 어떤 도덕 규칙 또는 원칙이 옳은지, 어떤 성격적 특성이 덕이 되는지를 어떻게 있는가?’ 라는 의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 각각이 열거된 목록을 제시한 뿐이라면, 우리는 그것이 옳은 목록인지를 고려할 있을 것이다. 만일 그들이 우리가 사실을 검토할 있는, 충분한 정교함과 추가 전제를 갖춘, 추상적인 검증의 하나를 제시한다면, 이들은 다른 결과를 산출한다고 이해될 있을 것이다. 그렇게  fdms d..sksms 양자 모두에게는 도덕적 문화적 상대주의, 혹은 더욱 심하게는, 도덕적 회의주의에 빠지기 쉬운 가능성이 있다. 아마도 우리는 우리 고유의 문화나 사회가 수용하는 규칙이나 성격 특성을 열거할 있을 , 이상이 아닌지도 모르며, 우리가 있는 모든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옳은 것이요 다른 문화를 따르면 틀린 것일 있다는 사실을 받아 들여야만 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보다 심한 경우, ‘우리라는 사이에 얼마나 많은 도덕적 불일치가 놓여 있는지를 상기한다면, 조차도 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 아마도 우리는, 어떤 행위가 옳다는 것을 안다고 말할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받아 들어야만 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모든 것은 확신의 느낌, 그것이 누군가가 개인적으로 지키려고 하는 특정한 규칙에 부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또는 그것이 그가 개인적으로 그렇게 되고 싶어 하는 유형의 사람이 일이기 때문이라는, 확신의 감정이다.    

 

Act utilitarianism is not, or not immediately, open to the same threat. True, it may be hard, on occasion,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an action, but this is a practical problem in life which all three accounts have to take on board. Though it is sometimes said that deontologists ‘take no account of consequences’, this is manifestly false, for many actions we deliberate about only fall under rules or principles when we bring in their predicted consequences. A deontological surgeon wondering whether she should perform a particular operation on a patient may be in doubt, not because she has any doubts about the correctness of her principles, but because it is so hard for her to predict whether the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will be that the patient enjoys several more years of life or is finished off. A surgeon who subscribes to virtue ethics has the same problem: she may not doubt that charity, which is concerned with others’ good, is a virtue; her doubt is over whether the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will be that her patient is benefited or harmed.      

 

행위 공리주의는 그러한 징조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즉각적이지 않다. 맞다. 때때로 행위의 결과를 예측한다는 것은 어려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 모두가 풀어 내야 하는 삶의 실천적인 문제이다. 때때로 의무론자들이 결과에 관해 아무런 견해도 취하지 않는다 주장이 있으나, 이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숙고하는 많은 행위는 우리가 그것의 예상된 결과를 감안하는 경우에만 규칙이나 원칙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의무론자인 어느 의사가 어떤 환자에게 어떤 수술을 집도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놓고 생각 중일 , 그는 자기 원칙의 옳음이 의심스럽기 때문이 아니라, 수술이 환자에게 년의 삶을 누릴 있게 아니면 그대로 삶을 종결 짓게 결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고민 중일 것이다. 윤리학을 옹호하는 외과의사도 같은 문제에 빠진다. 그는 타인의 선을 염려하는 자선이 덕임을 의심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의 고민은 자신이 집도할 수술이 과연 환자를 이롭게 하는 것이 아니면 해롭게 하는 것이 지에 관한 숙고일 것이다.        

 

 

 

The difficulty of being able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one’s actions does not bring with it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or moral skepticism; it is just a general problem in life. However, if the consequences concern happiness, as in the utilitarian account, doesn’t the threat come in there? Different cultures, different individuals, have different ideas of happiness. How can we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if we cannot define precisely and correctly that ‘happiness’ we are supposed to be maximizing?

 

행위의 결과를 예측할 있음의 어려움이 도덕적 상대주의나 도덕적 회의주의의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단지 삶의 일반적인 문제의 하나일 따름이다. 그러나, 공리주의 이론에서처럼, 만일 결과가 행복에 관여한다면, 거기에는 위험이 있지 않겠는가? 다른 문화, 다른 개인들은 서로 다른 행복에 관해 생각들을 가진다. 만약 우리가 최대화시켜야 한다는 행복 무엇인지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정의할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어떤 행위가 옳다는 것을 있는가?

 

I think that one might well press something along these lines as a problem for utilitarianism, and this is a point to which I shall return below. But it is hardly plausible to say it shows that act utilitarianism is immediately open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and skepticism. Suppose people’s ideas of happiness do vary; why should that matter, for practical purposes? This person will be happy if I give her a book on the religious contemplation and upset if I give her a sexy novel, someone else will delight in the novel but be bored to tears by the other. If I can afford both books, act utilitarianism makes it perfectly clear what I should do, without having to define happiness or worry about the fact that these two people doubtless have very different ideas of it. As Jonathan Glover robustly remarks, ‘most of us, whether utilitarians or not, take some account of the likely effects of our actions on people’s happiness, and we should all be in a mess if there was no correspondence between trying to make someone happier and succeeding[1].

 

누군가가 이러한 방식을 따라 어떤 점을 공리주의의 문제라고 역설한다면, 나는 그러는 것이 무리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점은 아래에서 되돌아가 논의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것이 행위 공리주의가 도덕적 상대주의와 회의주의에 빠질 즉각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고 말한다면 설득력이 거의 없는 주장이라 하겠다. 행복에 관한 사람들의 생각이 다양하다고 가정해 보자. 실천적인 목적에서 그것이 문제가 되어야 하는가? 사람은 만일 내가 그에게 종교적 명상에 관한 책을 준다면 행복해 하고, 성적인 소설을 건네면 당황할 것이다. 다른 사람은 야한 소설을 읽고 즐거움을 느끼지만, 나머지 소설은 읽는 동안 지루해서 눈물이 나올 지경일 있다. 만일 내가 권을 모두 제공할 있는 상황이라면, 행위 공리주의는, 행복을 정의해야만 하는 없이, 또는 사람의 행복에 관한 생각은 의심의 여지 없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에 관한 고려 없이, 완벽하리만큼 분명하게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밝혀 것이다. 조나단 글로버 Jonathan Glover 확고하게 피력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들 대부분 공리주의자건 아니건 우리의 행위가 사람들의 행복에 미칠 파장을 고려하며, 만일 누군가를 행복하게 주려는 노력과 그것의 달성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혼란에 빠져 있을 것이다.    

 

So let us say, for the moment, that act utilitarianism is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the spectre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but that virtue ethics, in company with deontology, is. And, having said it and acknowledged the problem, let us put it on one side for later chapters[2]. For the moment I shall assume that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give an open-ended, and familiar, list in their second premises. Deontology, we may suppose, lists such familiar rules as ‘Do not kill’, ‘Tell the truth’, ‘Keep promis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promote their well-being’, etc.; virtue ethics lists such familiar character traits as justice, honesty, charity, courage, practical wisdom, generosity, loyalty, etc. And, having assumed that, we can return to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ethics, even given such a list, somehow fails to provide guidance in the way that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그러므로, 당장은 행위 공리주의는 도덕적 상대주의나 회의주의의 망령에 즉각적으로 빠질 위험이 없으나 의무론과 함께 윤리학은 그렇다고 두자. 그리고, 그렇게 말했고 그런 문제를 인정하였으므로, 다음 ()에서 다룰 내용으로 놓아 두도록 하자. 나는 여기서 의무론과 윤리학이 그들의 번째 전제에서 나중의 여지가 있는, 그러면서 알려져 있는 하나의 목록을 제시했다고 가정하겠다. 우리가 예상할 있듯이, 의무론은 살인하지 말라’, ‘진실을 말하라’, ‘약속을 지켜라’, ‘남에게 나쁜 짓을 하거나 해를 입히지 말라’’남을 도와라/남을 복되게 하도록 애써라등의 익히 알려진 규칙들을, 윤리학은 정의로움, 정직함, 자선, 용기 있음, 실천적 지혜, 너그러움, 충실함 익숙한 성격적 특성들을 열거한다. 따라서, 점을 가정하면서, 윤리학이 그러한 목록이 주어진 경우에서조차 행위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제시하는 식의 지침을 주지 못하는가를 묻는 문제로 되돌아 있다. 



[1] J. Glover, Causing Death and Saving Lives, 3.

[2] Indeed, given the size of the problem one might say ‘for a later book’. But I do return to it in Chapters 8-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o proper Catholic could hold it, but some madman brought up in the Catholic faith might. Or someone might specify the ‘best consequences’ as those in which certain moral rules were adhered to. ‘We all have some idea of what best consequences might be’, not because this is given in the first premise of the act utilitarian account, but because we are all familiar with the idea that, by and large, if an action has, as a consequence, that many people are made happy, or much suffering is relieved, this counts as a good consequence.

 

 

Proper 의 의미에서 적합한말고 true ‘진정한’ ‘진실된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알았으나, 그 뒤에 나오는 some madman brought up in the Catholic faith might 과 짝이 잘 안 맺어져서 시간이 걸렸다. 나는 처음에 그 뒷 부분을 카톨릭의 교리에 지나치게 빠진 광인, engrossed in 식으로 읽어 버렸고, 그렇다면 앞의 proper sound 하다는 의미의 proper 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천천히 생각해 보니 내가 madman 에서 오는 인상을 지나치게 크게 본 나머지, 카톨릭의 교리를 듣고 자랐다로 그냥 옮기면 될 것을 잘못 읽었음을 알았다. 그 다음에 밑줄 친 부분은 뜻을 몰라서가 아니라 우리 말 선택이 좀 왔다갔다 했던 부분. ‘- 에 대한 생각이 있다, 관념이 있다’ ‘-를 알고 있다둘 다 맞지만, 저기서의 idea conception 이 좋은 것 같은데, conception 이 개념과 생각의 의미가 둘 다 이고 또 have thought think in a way think of 와 같으니까 <가지다> 로 하려면 어떤 목적격의 말이 나오게 하는 것이 좋겠고, -를 알다로 하려면 또 그에 맞춰야겠다 싶어서 우선은 두 개를 각각 한 번씩 써서 옮겨 봤다. 첫 번째 (우리는-에 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우리에게는 에 관한 개념이 있다)  후자가 더 낫다 싶다.

 

 

이 부분부터는 영어 보다 내용에 더 눈이 갔었다. 저자의 설명처럼 철학 전공자가 아닌 나 같은 일반인도 최선의 결과나 선이나 도덕을 생각할 때면 저자가 지적한 식대로의 생각이 당연한 듯 떠오르니까. 그래서 과연 그 문제를 저자가 어떻게 하나씩 깨 갈지 궁금하고 기대가 되었다 

 

 

We do not expect ‘Purify the Aryan race’, ‘Keep women in their proper place, subordinate to men’, ‘Kill the infidel’. But we know only too well that these not only might be specified, but have been specified, as correct moral rules. As far as the first premise of the deontological account of right action goes, we do not, in fact, have any idea, given by that premise, of what correct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we bring our own ideas to it.

 

 

첫 번째 밑줄에서는 하마터면 정반대로 뜻을 옮길 뻔했다. Purify 를 깨끗이 하다 즉 싹 씻어 버리다로 보고서는 아리안들을 다 죽인다로 본 바람에. 그 아래의 밑줄은 사실 의미상 이해를 했지, 영문법 상의 어떤 지식으로 한 것이 아니다. Only too well that 은 분명 숙어 같은데 only 로도 too 로도 well 로도 정확한 구절을 찾지 못했다. 어쨌든, that 이하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너무 잘 알고 있는 나머지 할 정도다 의 의미로 옮겼다. 그리고 저 구절이 포함된 문장이 이번 번역문의 일종의 주제문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 아래의 goes 는 은근히 우리말 선택이 까다로웠다. 1 전제가 흘러가는 한/그 전제가 말하는 것의 내용에 관한 한/그 전제가 포괄하는 것에 관한 한/그 전제의 내용 상/..등등을 계속 늘어 놓아 보았지만 딱 마음에 드는 것이 없었다.

 

 

So, understood as a first premise comparable to those of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far from being a truism, is like the first premises of the others, uninformative. All three start to be informative only when the second premise is added.

 

 

참 다채롭기도 하여라..하며 혼자 웃었다. 그래도 이번 것은 어쩐지 마음에 들었다. 정확도가 또 문제겠지만;;; “어떤 행위는 덕이 있는 행위자가 어떤 상황에서 그에게 있는 덕의 특성 대로 하는 행위인 경우에만 옳다반복되는 uninformative 인데, ‘도움이 안된다로 옮겼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한 번은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무엇인가를 알려 주기 시작하는 것이다로 옮겨 봤다.   

   

 

We can work out that the act utilitarian will say, for example, that it is right to tell a lie when telling the truth would make no one happy and someone very unhappy. But whether we know what a deontologist and a virtue ethicist will say about such a case after they have produced their second premises depends on the form they take.

 

 

Work out 의 의미를 나는 해결하다” “풀다로만 생각하고서, 사전 없이 해 보겠다고 하다가 엉뚱하게 할 뻔했다. 내용상 말이 안 되길래 사전을 폈더니 생각을 떠올리다, 어떤 것을 끄집어 올려 보다등의 의미가 있었다. 그 다음 depend on  문장은 에 달려 있다와 따라 달라진다 중에서 후자를 골라, 그에 맞게 약간 더 뜻이 통하게 번역을 했다. 흔히 depend on 에 달려 있다라고 라고만 하는데, 오히려 어떤 경우네는 라면 가 되고 가 아니라면 가 되는 등, 조건에 따라 다르다의 의미로 옮겨야 더 좋은 경우들이 있는 것 같다. 

 

 

If a list of correct moral rules or virtues is given, we have something fairly concrete. If one list contains ‘Do not lie’ and the other ‘Honesty’, we can work out that the deontologist and virtue ethicist are probably not going to agree with the act utilitarian about the rightness of telling the lie. But what if the deontologist’s second premise is one of the others I gave?

 

 

밑줄 친 문장은 이번 번역문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 우선 조건절이므로 그렇게 받았다. “만일 주어진 것이 전제가 아니라 어떤 나열된 것, 덕이나 규칙의 목록이라면.” 문제는, 그런 조건의 내용이 그 뒤의 문장과 어떻게 이어지는 지를 잘 모르겠다라는 것이다. 갑자기 거기서 왜 “we have something fairly concrete.” 가 나왔을까? 전제의 형식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열거된 목록을 놓고 따지면, 더 구체적인 생각이 가능하다 (내가 생각할 때 가장 근접한 뜻) 을 말하려는 것일까? 그 위에서 저자가 말한 주장 (의무론과 덕 윤리학은 어떤 형식이냐에 따라 우리가 그들이 논리를 예측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말할 수 있다) 을 설명하기가 꽤 쉬워진다. 꽤 구체적으로 위에 주장한 바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증명할 수 있다) 도 가능할 것 같았다. 게다가 이해를 도와 주리라고 생각한 다음 문장들이 갈수록 막연해서 더 헛갈릴 것 같길래, 순전히 나 편하라고^^; 직감적으로 든 처음 생각대로 옮겼다.  

 

 

Virtue ethics is similarly non-committal.  Non committal: a person or a person’s behavior or manner not expressing or revealing commitment to a definite opinion or course of action: her tone was noncommittal, and her face gave nothing awa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meone might specify the ‘best consequences’ as those in which the number of Roman Catholic was maximized (and the number of non-Catholics minimized). It would be a very odd view to hold; no proper Catholic could hold it, but some madman brought up in the Catholic faith might. Or someone might specify the ‘best consequences’ as those in which certain moral rules were adhered to. ‘We all have some idea of what best consequences might be’, not because this is given in the first premise of the act utilitarian account, but because we are all familiar with the idea that, by and large, if an action has, as a consequence, that many people are made happy, or much suffering is relieved, this counts as a good consequence.

 

누군가는 로마 카톨릭 신자의 수가 최대화되는 (그래서 -로마 카톨릭 신자수가 최소화 되는) 것이 최선의 결과라고 정의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매우 이상한 관점이다. 진정한 카톨릭 신자라면 어느 누구도 그런 생각을 없겠으나, 카톨릭의 교리 안에서 자란 광인은 그럴 있을 지도 모른다. 아니면, 누군가는 특정한 도덕 규칙이 고수되는 결과를 최선의 결과라고 정의할 있다. ‘우리 모두는 무엇이 최선의 결론인가에 관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런 개념이 행위 공리주의의 번째 전제 안에서 주어져서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약 어떤 행위가 결과적으로 사람들을 행복하게 주거나 고통을 줄여 준다면 그것을 선한 결과로 간주한다 사고에 대체로 익숙하기 때문이다.    

 

                Similarly, when we read the deontologist’s first premise, we suppose that ‘we all have some idea of what correct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We expect (something like) ‘Do not kill’ and ‘Keep promises’. We do not expect ‘Purify the Aryan race’, ‘Keep women in their proper place, subordinate to men’, ‘Kill the infidel’. But we know only too well that these not only might be specified, but have been specified, as correct moral rules. As far as the first premise of the deontological account of right action goes, we do not, in fact, have any idea, given by that premise, of what correct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we bring our own ideas to it.

 

그와 비슷하게, 의무론의 번째 전제를 읽을 경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우리 모두에게는 무엇이 올바른 도덕적 규칙 또는 원칙인가에 관한 어떤 개념이 있다.’ 우리는 살인하지 말라그리고 약속을 지켜라 같은 것들을 예상한다. 우리는 아리안 인종을 정화시켜라’ ‘여성으로 하여금 남성에게 복종하는 본분을 지키게 하라’ ‘이교도를 처단하라 같은 것들을 예상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것들이 옳은 도덕 규칙으로 정의될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그렇게 정의되어 왔다는 사실 또한 너무나도 알고 있다. 옳은 행위에 관한 의무론의 번째 전제가 말하고 있는 내용에 관한 , 우리는 주어진 전제로부터는 사실상, 무엇이 옳은 도덕 규칙이며 원칙인가에 관해 아무런 생각도 떠올리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에 대해 우리 자신의 고유한 개념들을 떠올린다  

 

So, understood as a first premise comparable to those of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far from being a truism, is like the first premises of the others, uninformative. All three start to be informative only when the second premise is added.

 

그와 같이, ‘어떤 행위는 덕이 있는 행위자가 어떤 상황에서 그에게 있는 덕의 특성 대로 하는 행위인 경우에만 옳다 정의, 행위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번째 전제에 비견되는 전제는 자명한 이치이기는 커녕, 다른 이론들의 번째 전제들 마찬가지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이론 모두 번째 전제가 추가되었을 때라야만 무엇인가를 알려 주기 시작하는 것이다.       

 

 

 

  

 

 

 

EPISTEMOLOGICAL PROBLEMS

 

인식론적 문제들

 

            At this stage we may notice an interesting division in the three accounts, a division which puts act utilitarianism on one side,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As soon as act utilitarianism produces its second premise, saying that the best consequences are those in which happiness is maximized, we seem to know where the act utilitarian stands. (I shall question below whether we really do, but we certainly seem to.) We can work out that the act utilitarian will say, for example, that it is right to tell a lie when telling the truth would make no one happy and someone very unhappy. But whether we know what a deontologist and a virtue ethicist will say about such a case after they have produced their second premises depends on the form they take.

 

                단계에서,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를 쪽에, 의무론과 윤리학을 다른 쪽에 놓는 흥미로운 구분을 주목할 있을 것이다. 행위 공리주의가 최선의 결과란 행복이 최대화되는 결과라고 하는 번째 전제를 만들어 내자마자,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아는 것처럼 보인다. (아래에서 나는 우리가 정말로 그런지를 의문할 것이나, 확실히 우리는 그런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가, 예를 들어, 진실을 말하는 것이 누구도 행복하게 주지 못하면서 누군가를 몹시 불행하게 만든다면 거짓을 말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게 되리라는 것을 생각해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 의무론과 윤리학이 번째 전제를 제시한 어떤 주장을 것인지를 우리가 알고 있느냐의 여부는 그들 이론이 어떤 형식을 취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If a list of correct moral rules or virtues is given, we have something fairly concrete. If one list contains ‘Do not lie’ and the other ‘Honesty’, we can work out that the deontologist and virtue ethicist are probably not going to agree with the act utilitarian about the rightness of telling the lie. But what if the deontologist’s second premise is one of the others I gave? We all know that there has been, and is, much dispute about what God has laid down, and about what it is rational to accept, and so on—in short, much dispute about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en a deontologist produces one of her abstract tests for the correctness of a moral rule, we may be sure that she will defend and justify the rules she believes are correct in terms of it—but what these will be we do not know. Will she defend rules prohibiting suicide or abortion or rules permitting them? Will she turn out to be a pacifist or a supporter of killing in self-defense? We do not know.  

 

                만일 옳은 도덕 규칙이나 덕의 목록이 주어진다면, 구체적인 생각이 가능하다. 하나의 목록은 거짓말 하지 말라, 다른 하나는 정직 포함하고 있다면, 우리는 의무론자와 윤리학자가 거짓말하는 행위의 옳음에 관한 행위 공리주의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으리라는 결론을 내려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의무론의 번째 전제가 내가 제시한 다른 것의 하나라면 어떻게 되는가?  우리 모두는 신이 명한 것이 무엇인가, 무엇을 받아 들여야 합리적인가 기타 등등에 관해 많은 논쟁이 있어 왔고 그것은 지금도 그렇다는 , 간단히 말해 어떤 도덕 규범이나 원칙이 옳은가를 둘러싼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지금도 그렇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의무론자가 도덕적 규칙이나 원리의 옳음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실험 하나를 벌이려 , 우리는 그가 자신이 옳다고 믿고 있는 규칙을 옹호하고 정당화시킬 것이라는 점은 확신할 있다. 그러나 규칙들이 어떤 것들이 것인지에 관해서는 우리는 아는 것이 없다. 그는 자살이나 낙태를 금지하는 규칙을 옹호할 것인가 아니면 허용하는 규칙을 옹호할 것인가? 그는 평화론자가 것인가, 아니면 자기방어에 의한 살인을 지지하는 옹호자가 것인가? 우리는 알지 못한다.   

 

Virtue ethics is similarly non-committal. We all know, it is said, that there has been, and is, much dispute about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When a virtue ethicist produces one of her abstract tests, we may be sure that she will defend the character traits she believes are the virtues in terms of it, and dismiss the ones she does not accept—but what these will be we do not know. Will she defend humanity, modesty, and compassion or (like Hume, Aristotle, and Nietzsche, respectively) will she dismiss them? Will she defend impartiality or friendship? We do not know.

 

윤리학도 그와 비슷하게 애매하다. 우리는, 말해지는 바대로, 어떤 성격적 특성이 덕인가에 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윤리학자가 하나의 개념적인 실험을 하려고 , 우리는 그가 덕의 이름에 걸맞는 덕을 옹호하고, 그가 인정하지 못하는 것들은 버리리라는 점은 확신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들이 어떤 것이 지는 우리는 모르는 바이다. 그는(각각 ,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니체처럼) 인류애, 중용, 그리고 동정을 옹호할 것인가 아니면 폐기 처분할 것인가? 그는 공평성을 지지할 것인가, 아니면 우정을 지지할 것인가? 우리는 알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